무거운 이불로 불면증 완화: 우울증 및 불안증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확인

by 서플팩트 posted Nov 21,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weighted chain blankets for insomnia in psychiatric disorders (2020)

https://doi.org/10.5664/jcsm.8636

 

해당 논문은 주요 우울 장애(MDD), 양극성 장애, 범불안 장애(GAD), ADHD 등을 동반한 불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무거운 이불(Weighted Blanket)의 효과를 조사한 연구이다. 불면증은 이러한 정신 건강 장애에서 흔히 발생하며, 일상적인 약물 및 인지행동치료로 충분히 개선되지 않는 경우 대체 치료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거운 이불이 수면의 질뿐만 아니라 낮 시간 동안의 활동성 및 정신 건강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방법

  • 대상자
    • 120명의 환자가 스웨덴 스톡홀름 지역 정신 건강 클리닉에서 모집되었다.
    • 임상적으로 2개월 이상 지속된 불면증(Insomnia Severity Index, ISI ≥ 15점)과 MDD, 양극성 장애, GAD 또는 ADHD 진단을 받은 환자
  • 연구 설계
    • 무작위 대조군 연구로, 무거운 이불 그룹과 경량 이불 그룹(플라스틱 체인, 약 1.5kg)으로 나뉘어 4주 동안 진행
    • 무거운 이불은 6~8kg으로 구성되며, 체중과 편안함에 따라 선택 가능
  • 평가 도구
    • 1차 지표: ISI를 통해 불면증 심각도를 측정
    • 2차 지표: 피로 증상 지수(FSI), 병원 우울 및 불안 척도(HAD), 야간 및 주간 활동 기록(Actigraphy)
  • 평가 기간
    • 4주 간의 통제 연구와 12개월 동안의 장기 추적 연구로 구성

 

연구 결과

  1. 불면증 완화 효과

    • ISI 점수 감소
      • 실험군의 평균 ISI 점수는 시작 시 21.7에서 4주 후 9.2로 크게 감소
      • 대조군의 ISI 점수는 21.2에서 18.8로 소폭 감소
      • 무거운 이불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며(Cohen’s d = 1.90), 대조군 대비 약 26배 높은 반응률(59.4%)을 보였다.
    • 임상적 완화
      • 실험군의 42.2%는 ISI 점수가 7점 이하로 감소, 임상적으로 불면증이 완화된 것으로 평가됨
  2. 야간 수면 질 개선

    • 수면 유지 능력
      • 무거운 이불 사용자는 자주 깨지 않고 수면을 지속하는 능력이 개선됨
    • WASO(수면 중 깨어 있는 시간)
      • 반응자 그룹에서 WASO 시간이 유의미하게 감소
    • 객관적 평가
      • Actigraphy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결과, 무거운 이불은 수면의 연속성을 높이고 야간 각성 빈도를 줄였다.
  3. 주간 활동성 증가

    • 피로 감소
      • FSI 점수가 무거운 이불 그룹에서 85.1에서 52.9로 크게 감소하며 피로 증상이 완화됨
    • 활동 정점의 지속 시간
      • 실험군은 낮 시간 동안 더 높은 활동 수준을 유지하며, 활동 정점 시간이 늦춰져 전반적인 에너지 효율성이 증가
    • 객관적 데이터
      • Actigraphy 기록에서 낮 활동 정점의 지속 시간 및 강도가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증가
  4. 정신 건강 증상 개선

    • 우울 증상 감소
      • HAD-D 점수가 실험군에서 평균 10.5에서 6.1로 감소
    • 불안 증상 완화
      • HAD-A 점수는 13.8에서 10.3으로 감소
    • 이러한 결과는 무거운 이불이 불면증을 개선함으로써 낮 시간 동안의 활동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우울과 불안 증상도 완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5. 장기적 효과

    • 무거운 이불을 12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한 환자들은 초기 효과를 유지하였으며, 대조군에서 무거운 이불로 전환한 환자들 또한 유사한 효과를 경험
    • 12개월 후, 92%가 반응을 보였으며, 78%는 임상적 완화를 달성했다.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ISI Scores Over Time (ISI 점수 변화)

    • 불면증 심각도(ISI)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무거운 이불 그룹은 첫 주부터 눈에 띄게 ISI 점수가 감소하여 4주 후에는 평균 점수가 9.2로 감소(임상적 완화). 대조군은 감소폭이 작았고, 오히려 3주 후 점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다.
  2. FSI Scores (Pre and Post, 피로 점수 전후 변화)

    • 피로 증상 지수(FSI)가 치료 전후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비교하였다.
    • 무거운 이불 그룹은 피로 점수가 크게 감소(약 38점 감소)하며 주관적 피로가 개선된 반면, 대조군은 소폭 감소(약 10점 감소)했다.
  3. HAD-D Scores (Pre and Post, 우울 증상 점수 전후 변화)

    • 우울 증상(HAD-D)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 무거운 이불 그룹은 우울 증상이 뚜렷이 개선(평균 10.5 → 6.1)되었고, 대조군은 비교적 적은 변화(9.5 → 8.9)를 보였다.
  4. HAD-A Scores (Pre and Post, 불안 증상 점수 전후 변화)

    • 불안 증상(HAD-A)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 무거운 이불 그룹은 불안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13.8 → 10.3), 대조군은 소폭 감소(13.6 → 12.9)했다.

 

연구 결론

무거운 이불은 정신 건강 장애로 인해 불면증을 겪는 환자들에게 효과적이고 안전한 비약물 치료 옵션으로 평가된다. 단순히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낮 시간 동안의 피로와 활동성을 개선하며, 우울 및 불안 증상도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불면증 관리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쿠팡에서 중력이불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1LnXy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