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과 생물학적 노화의 연관성: 주요 우울 장애와 텔로미어 단축 연구 결과

by 서플팩트 posted Nov 24,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ccelerated cellular aging: results from a large psychiatric cohort study (2014)

https://doi.org/10.1038/mp.2013.151

 

해당 논문은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MDD)와 생물학적 노화 가속 간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이다. MDD 환자들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암과 같은 노화 관련 질환의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점에서 생물학적 노화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는 텔로미어 길이(Telomere Length, TL)를 통해 MDD 환자들의 세포 노화 상태를 분석하며, 우울증의 심각도와 지속 기간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

  1. 대상자 모집 및 분류

    • 총 2,40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 대조군(510명): 우울증 병력이 없는 건강한 사람
      • 우울증 완화 환자(802명): 과거에 MDD 병력이 있지만 최근 6개월 동안 증상이 없는 사람
      • 현재 MDD 환자(1,095명): 지난 6개월 내 MDD 진단을 받은 사람
    • 연구 대상자들은 연령, 성별, 교육 수준, 건강 상태 등의 요인을 기반으로 세부적으로 분석되었다.
  2. 텔로미어 길이 측정

    • 아침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텔로미어 길이를 측정했다.
    • 텔로미어 길이는 텔로미어 서열 복사 수와 단일 복사 유전자 복사 수의 비율(T/S 비율)로 나타내며, 이를 통해 평균 길이를 산출했다.
    • 텔로미어 단축 속도는 연간 약 14bp로 추정되었다.
  3. 우울증 특성 평가

    • 우울증 심각도: 설문지(Inventory of Depressive Symptoms)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정상~매우 심각으로 분류
    • 우울증 지속 기간: 과거 4년간 우울증 증상이 지속된 월 수를 기준으로 분석
  4. 통계 분석

    •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신체활동, 흡연 및 음주 습관 등을 보정한 후, 텔로미어 길이와 MDD 상태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1. MDD와 텔로미어 단축

    • 텔로미어 길이의 평균값
      • 대조군: 5,541bp
      • 우울증 완화 환자: 5,459bp
      • 현재 MDD 환자: 5,461bp
    • 우울증 완화 환자와 현재 MDD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83bp, 84bp 더 짧은 텔로미어를 보였다.
    • 이는 생물학적 노화가 약 4~6년 더 가속화된 결과에 해당한다.
  2. 우울증 심각도와 텔로미어

    • 우울증이 더 심각할수록 텔로미어 길이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경증 우울증: 텔로미어 단축이 미미
      • 중증 및 중증 이상 우울증: 대조군 대비 7~10년 더 빠른 생물학적 노화
  3. 우울증 지속 기간의 영향

    • 최근 4년간 우울증 증상이 24개월 이상 지속된 환자 그룹에서 가장 짧은 텔로미어를 보였다.
    • 이는 우울증이 장기적으로 세포 노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나타낸다.
  4. 우울증 완화 이후에도 남는 영향

    • 우울증 완화 환자 역시 대조군보다 텔로미어가 짧았다.
    • 이는 과거 우울증 병력이 생물학적 노화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 생활습관 요인과 독립적 연관성

    • 흡연,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 생활습관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텔로미어 단축과 MDD 간의 연관성은 유의미하게 유지되었다.

 

fig1.png

 

우울증 심각도와 텔로미어 길이

  • 그래프는 대조군과 우울증 심각도에 따라 그룹화된 환자군의 평균 텔로미어 길이를 나타낸다.

    1. 경증 우울증 환자: 대조군보다 약간 짧은 텔로미어를 보인다.
    2. 중증 및 매우 중증 우울증 환자: 우울증 심각도가 높아질수록 텔로미어가 더 짧아진다.
  • 매우 중증 우울증 환자의 경우 대조군보다 약 7~10년 더 가속화된 생물학적 노화 수준을 보인다.

 

우울증 지속 기간과 텔로미어 길이

  • 최근 4년간 우울증 증상이 지속된 기간에 따라 그룹화된 환자군의 평균 텔로미어 길이를 나타낸다.

    1. 1~9개월 지속: 텔로미어 길이가 대조군과 크게 차이나지 않음
    2. 10~23개월 지속: 텔로미어가 조금 더 짧아짐
    3. 24개월 이상 지속: 텔로미어가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짧아지며 이는 약 7~10년의 생물학적 노화에 해당한다.

 

연구 결론

  • 우울증과 생물학적 노화의 연관성

    • 이번 연구는 MDD가 신체적 노화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우울증은 단순히 정신 건강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텔로미어 단축을 통해 신체적 건강에도 장기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우울증 치료와 예방의 중요성

    • 우울증 초기 치료 및 예방이 텔로미어 단축을 완화하고 생물학적 노화를 늦출 가능성을 제시한다.
    • 이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Who's 서플팩트

profile

서플팩트 - 과학적으로 검증된 정보로 건강을 챙기세요

쿠팡에서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link.coupang.com/a/bMmBJI

아이허브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www.iherb.com
값싼 영양제 제품 찾기 - https://cheaplifer.com/cheapsup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