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치료 vs 인지행동치료: 계절성 우울증 단기 효과 비교 연구 요약

by 서플팩트 posted Dec 01,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Randomized Trial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Versus Light Therapy for Seasonal Affective Disorder: Acute Outcomes (2015)

https://doi.org/10.1176/appi.ajp.2015.14101293

 

해당 논문은 계절성 우울증(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의 급성 에피소드 치료에서 인지행동치료(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SAD, 이하 CBT-SAD)와 광치료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설계된 연구이다. 계절성 우울증은 햇빛의 감소와 같은 계절적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주요 우울증의 하위 유형으로,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며 우울한 기분, 에너지 감소, 과수면, 탄수화물 갈망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SAD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을 결정하기 위해 이 연구는 두 가지 치료법의 단기 효과와 치료 종료 시점에서의 우울증 완화 정도를 조사했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및 참여자

  • 대상자: 18세 이상의 성인 177명
    • DSM-IV-TR 기준에 따라 주요 우울증(재발형) 및 계절성 패턴을 충족하는 환자
    • 광치료 그룹: 89명, CBT-SAD 그룹: 88명
  • 참가자 모집: 지역 광고와 의료 기관 추천을 통해 모집
  • 치료기간: 6주
  • 연구 장소: 미국 버몬트 대학교의 기분 및 계절 연구소

배제 기준

  1. 현재 광치료 또는 심리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2. 과거에 광치료 또는 SAD를 위한 CBT를 받은 경우
  3. 급성 자살 위험이 있거나 다른 중증 정신질환 치료가 필요한 경우
  4.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확인된 경우
  5. 연구 기간 동안 1주 이상 부재가 예정된 경우

치료 방법

  1. 광치료

    • 사용 장비: 10,000lux의 차가운 백색광을 발산하는 장치
    • 치료 방법: 매일 아침 30분 동안 빛을 쬐는 것으로 시작하며, 환자의 반응과 부작용에 따라 치료 시간을 점진적으로 15분씩 늘려 최대 2시간까지 조정
    • 목표: 빛 노출을 통해 환자의 생체 리듬을 조정하고 계절성 우울증 증상을 완화
  2. CBT-SAD

    • SAD에 특화된 인지행동치료로, 그룹 형태(4~8명)로 진행
    • 주 2회, 회당 90분, 총 6주간 시행
    • 주요 내용
      • 행동 활성화: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활동을 식별하고 일정에 포함
      • 인지 재구성: 겨울철의 어둠, 추운 날씨와 관련된 부정적 사고 도전
      • 재발 예방 계획: 다음 겨울철에 대비해 부정적 예기 사고와 행동 변화를 조기 인식하고 이를 대처하기 위한 CBT 기술 활용

 

연구 결과

  1. 우울증 완화 정도

    • 치료 종료 후 두 그룹 모두 우울증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
    • SIGH-SAD(계절성 우울증에 특화된 우울증 평가척도)의 점수는 광치료 그룹이 평균 11.5점, CBT-SAD 그룹이 평균 12.9점으로 나타났으며,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음
    • BDI-II(우울증 자가평가 척도)에서도 비슷한 결과로, 광치료는 7.2점, CBT-SAD는 8.2점으로 나타남
  2. 완치율

    • SIGH-SAD 기준: 광치료 47.2%, CBT-SAD 47.6%
    • BDI-II 기준: 광치료 63.6%, CBT-SAD 56.0%
    • 두 치료법 모두 상당히 높은 완치율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음
  3. 부작용 및 탈락률

    • 광치료 그룹에서는 1명만 탈락
    • CBT-SAD 그룹에서는 13명이 중도 탈락했으며, 이 중 7명은 치료를 시작하지 않았음
  4. 치료 효과의 차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

    • 동반 진단이 있는 환자는 치료 전반에 걸쳐 더 높은 우울증 점수를 보임
    • 연령, 성별, 약물 사용 여부 등의 요인은 두 치료법 간 결과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SIGH-SAD Scores Over Time

  • 그래프 개요

    • SIGH-SAD 점수는 계절성 우울증(SAD)의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 척도로, 점수가 낮을수록 우울 증상이 더 적음을 의미한다.
    • 6주 동안 인지행동치료(CBT-SAD)광치료(Light Therapy)의 효과를 비교했다.
  • 결과 해석

    • CBT-SAD 그룹: 치료 초기(24.4점)에서 시작해 치료 종료 시점(12.9점)까지 점진적으로 점수가 감소했다.
    • 광치료 그룹: 초기 점수는 22.2점에서 시작해, 치료 종료 시점에는 11.5점으로 나타났다.
    • 두 그룹 모두 시간에 따라 유사한 감소 패턴을 보였으며, 종료 시점에서는 점수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특이점: 두 치료법 모두 3주차 이후부터 점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패턴을 보여 치료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를 시사한다.

2. BDI-II Scores Over Time

  • 그래프 개요

    • BDI-II 점수는 자가 보고 방식의 우울 증상 평가 척도로, 점수가 낮을수록 우울 증상이 적음을 의미한다.
    • 치료 전(1주차), 치료 중간(3주차), 치료 후(6주차)의 변화를 비교했다.
  • 결과 해석

    • CBT-SAD 그룹: 1주차 22.7점에서 시작해 치료 중간 13.8점, 종료 시점에서는 8.2점까지 감소했다.
    • 광치료 그룹: 초기 점수는 23.4점으로 CBT-SAD와 유사했으며, 3주차 12.1점, 6주차 7.2점으로 감소했다.
    • 두 치료법 모두 비슷한 점수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종료 시점에서는 광치료 그룹이 약간 더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 특이점: CBT-SAD 그룹은 초기와 중간 점수 차이가 크며, 치료 중간(3주차)에서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광치료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결론

CBT-SAD와 광치료는 계절성 우울증 증상 완화에 있어 동등한 효과를 나타냈다. 두 치료법 모두 치료 종료 시점에서 유사한 수준의 우울증 감소를 보였으며, 환자의 개인적인 상황과 선호도에 따라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광치료와 CBT-SAD 모두 SAD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 옵션임을 입증했다.


쿠팡에서 광치료기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3Se6g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Who's 서플팩트

profile

서플팩트 - 과학적으로 검증된 정보로 건강을 챙기세요

쿠팡에서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link.coupang.com/a/bMmBJI

아이허브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www.iherb.com
값싼 영양제 제품 찾기 - https://cheaplifer.com/cheapsup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