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자세별 안압 상승 위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by 서플팩트 posted Dec 07,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ffects of Different Sleeping Postures on Intraocular Pressure and Ocular Perfusion Pressure in Healthy Young Subjects (2013)

https://doi.org/10.1016/j.ophtha.2013.01.011

 

해당 논문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수면 중 다양한 자세가 안압(Intraocular Pressure, IOP)과 안구 관류압(Ocular Perfusion Pressure, OPP)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이다. 안압은 녹내장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안구 관류압은 안구의 혈류를 유지해 시신경 건강을 지키는 데 필수적이다. 연구 결과, 수면 자세는 안압과 관류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부 자세는 특정 눈의 안압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했다.

안압은 일상적인 안과 검사에서 주요 측정 요소 중 하나로, 특히 녹내장의 위험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누운 자세에서는 앉은 자세보다 안압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수면 중 자세 변화는 하루 중 약 1/3의 시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자세 변화에 따른 안압과 관류압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녹내장 관리와 예방에 필수적이다.

 

연구 설계 및 방법

1. 대상

  • 참여자: 20명의 건강한 한국인 성인(남성 11명, 여성 9명, 평균 연령 27.8세)
  • 선별 기준: 안과적 문제(녹내장, 망막 질환), 이전 안과 수술 경험, 고안압(22mmHg 이상), 굴절 이상(-9 디옵터 초과), 가족력 등이 없는 대상자만 포함

2. 실험 과정

  • 수면 자세: 총 5가지 자세를 실험

    1. 앉은 자세(정자세)
    2. 바로 누운 자세(정와위)
    3. 우측 측면을 아래로 한 자세(우측 측와위)
    4. 좌측 측면을 아래로 한 자세(좌측 측와위)
    5. 엎드린 자세로 머리를 좌우로 돌린 상태(머리 좌회전, 우회전)
  • 측정 항목

    • 안압: ICare Rebound Tonometer로 각 자세에서 5분 후 측정
    • 관류압(OPP): 혈압 측정값을 바탕으로 계산
  • 측정 시간: 저녁 6~8시 사이로 통일하여 일중 안압 변동의 영향을 최소화

 

연구 결과

1. 수면 자세에 따른 안압 변화

  • 전체 경향: 모든 누운 자세에서 안압이 앉은 자세보다 유의미하게 증가(P<0.001)
  • 특정 자세에서의 하위안(아래쪽 눈) 증가
    • 측와위 자세: 아래쪽 눈(하위안)의 안압이 위쪽 눈보다 높았음
      • 우측 측와위: +1.4 mmHg
      • 좌측 측와위: +1.4 mmHg
    • 엎드린 자세: 머리를 돌린 방향의 눈(하위안)에서 안압이 상승
      • 머리 우회전: +1.2 mmHg
      • 머리 좌회전: +1.5 mmHg

2. 안구 관류압(OPP) 변화

  • 관류압 상승: 모든 누운 자세에서 앉은 자세보다 관류압이 증가(P<0.001)
  • 눈 간 차이 없음: 관류압은 하위안과 상위안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음

3. 엎드린 자세의 영향

  • 머리를 돌린 상태로 엎드린 자세에서는 안압이 측와위 자세보다 더 크게 증가.
    • 머리 좌회전: +3.2 mmHg (하위안)
    • 머리 우회전: +2.0 mmHg (하위안)

4. 추가적인 관찰

  • 엎드린 자세에서 머리를 돌린 상태는 경정맥 압박으로 인해 하위안의 안압이 더 크게 상승한 것으로 추정
  • 관류압 공식의 적용으로 인해, 실제 환경에서의 변화와 실험 결과 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Intraocular Pressure (IOP)

각 수면 자세에서의 안압(Intraocular Pressure)을 보여준다.

핵심 결과

  • Sitting (앉은 자세)

    • 기준값으로, 두 눈의 안압이 동일하게 14.2 mmHg로 가장 낮았다.

  • Supine (바로 누운 자세)

    • 안압이 상승했으며, 오른쪽 눈은 16.2 mmHg, 왼쪽 눈은 16.1 mmHg로 거의 유사했다.

  • RLD (우측 측와위)

    • 오른쪽 눈(IOP: 17.7 mmHg)이 왼쪽 눈(IOP: 16.3 mmHg)보다 약 1.4 mmHg 높았다. 이는 아래쪽에 위치한 눈이 안압 상승을 경험한다는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 LLD (좌측 측와위)

    • 왼쪽 눈(IOP: 17.2 mmHg)이 오른쪽 눈(IOP: 15.8 mmHg)보다 약 1.4 mmHg 높았다.

  • PRHT (엎드린 자세,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림)

    • 왼쪽 눈(IOP: 18.1 mmHg)이 오른쪽 눈(IOP: 16.9 mmHg)보다 높았다.

  • PLHT (엎드린 자세, 머리를 왼쪽으로 돌림)

    • 오른쪽 눈(IOP: 19.4 mmHg)이 왼쪽 눈(IOP: 17.9 mmHg)보다 약 1.5 mmHg 높았으며, 전체 수면 자세 중 가장 높은 안압을 보였다.

의미

  • 하위안의 안압 상승
    모든 측와위와 엎드린 자세에서 아래쪽에 위치한 눈(하위안)의 안압이 상승했다. 이는 중력, 혈류, 체액 이동 등의 영향으로 하위안의 안압이 상위안보다 높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 엎드린 자세에서의 위험성
    특히 머리를 돌린 엎드린 자세는 하위안의 안압이 가장 크게 상승해, 장기적으로 녹내장과 같은 질환의 진행 위험을 높일 수 있다.

2. Ocular Perfusion Pressure (OPP)

이 그래프는 안구 관류압(Ocular Perfusion Pressure)을 보여준다. 관류압은 안구로의 혈류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지표다.

핵심 결과

  • Sitting (앉은 자세)

    • 기준값으로, 두 눈의 OPP는 오른쪽 45.6 mmHg, 왼쪽 45.5 mmHg로 가장 낮았다.

  • Supine (바로 누운 자세)

    • 관류압이 상승했으며, 두 눈의 OPP는 각각 54.4 mmHg54.6 mmHg로 유사했다.

  • RLD (우측 측와위)

    • 오른쪽 눈(OPP: 56.5 mmHg)이 왼쪽 눈(OPP: 57.9 mmHg)보다 낮았다.

  • LLD (좌측 측와위)

    • 왼쪽 눈(OPP: 56.0 mmHg)이 오른쪽 눈(OPP: 57.5 mmHg)보다 낮았다.

  • PRHT (엎드린 자세,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림)

    • 관류압은 오른쪽 눈 56.3 mmHg, 왼쪽 눈 55.0 mmHg로 나타났다.

  • PLHT (엎드린 자세, 머리를 왼쪽으로 돌림)

    • 관류압은 오른쪽 눈 52.0 mmHg, 왼쪽 눈 53.5 mmHg로 다소 낮았다.

의미

  • OPP의 전반적 상승
    모든 누운 자세에서 관류압이 앉은 자세보다 높았다. 이는 누운 자세에서 심장이 눈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압력이 감소해 상대적으로 관류압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 눈 간 차이 없음
    관류압은 안압과 달리 눈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자세 변화가 안압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관류압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론

수면 자세는 안압과 관류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하위안의 안압 상승은 장기적으로 녹내장 진행 위험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추가 연구를 통해 녹내장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적절한 수면 자세를 권장하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Who's 서플팩트

profile

서플팩트 - 과학적으로 검증된 정보로 건강을 챙기세요

쿠팡에서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link.coupang.com/a/bMmBJI

아이허브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www.iherb.com
값싼 영양제 제품 찾기 - https://cheaplifer.com/cheapsup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