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imulation of hair regrowth in an animal model of androgenic alopecia using 2-deoxy-D-ribose (2024)
https://doi.org/10.3389/fphar.2024.1370833
안드로겐성 탈모(AGA)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탈모 유형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2-디옥시-D-리보스(2dDR)를 포함한 하이드로겔이 AGA를 유발한 쥐 모델에서 모발 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2dDR이 혈관 신생을 촉진하여 모낭 성장과 모발 재생을 지원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 방법
(1) AGA 동물 모델 생성
C57BL/6 쥐에게 테스토스테론 에난테이트(TE)를 주입하여 DHT 농도를 높이고, 모낭 퇴행을 유도함
- 대상 그룹
- 정상 대조군(NC)
- 탈모 모델(T-1, 치료 없음)
- 빈 하이드로겔(T-2)
- 2dDR-SA 하이드로겔(T-3)
- 미녹시딜(T-4)
- 2dDR + 미녹시딜 병합 치료(T-5)
(2) 치료 조건
각 치료제를 21일 동안 매일 탈모 부위에 도포
(3) 평가 지표
다양한 지표를 통해 2dDR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
- 모발 길이 및 두께: 치료 전후의 변화 측정
- 모낭 밀도: 피부 단위 면적당 모낭 수
- 생장 단계 비율(A/T 비율): 아나겐(생장기)과 텔로겐(휴지기) 모낭 비율
- 혈관 밀도: 피부 내 혈관 수 증가 여부
- 모낭 멜라닌 함유량: 색소 생성 및 건강한 모낭 상태를 반영
연구 결과
(1) 모발 성장 효과
- 2dDR-SA 하이드로겔(T-3): 모발 길이(6.20mm)와 두께가 정상 대조군(NC) 및 미녹시딜(T-4)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
- 병합 치료(T-5): 2dDR과 미녹시딜을 병합했을 때 추가적인 이점은 관찰되지 않음
(2) 모낭 밀도 및 생장 단계 비율(A/T)
- 모낭 밀도: T-3 그룹에서 모낭 밀도가 NC(48.9개/mm²)와 유사하게 유지(58.1개/mm²)
- A/T 비율: T-3(1.87) 및 T-4(1.69) 그룹에서 높은 아나겐 비율을 보여 건강한 모발 성장을 확인
(3) 혈관 밀도 및 멜라닌 생성
-
혈관 밀도: T-3(4.06개) 그룹에서 피부 내 혈관 수가 NC(4개)와 비슷하게 증가, 혈류 공급이 모발 성장을 지원
- 멜라닌 함유량: T-3 그룹에서 멜라닌 생성이 증가하여 모낭의 색소 침착 개선
연구의 시사점
- 효과적인 대체 치료 가능성: 2dDR-SA 하이드로겔은 기존 FDA 승인 약물인 미녹시딜과 유사한 모발 재성장 효과를 보였으며, 부작용 없이 지속적인 약물 방출이 가능
- 다양한 탈모 유형에 적용 가능: 화학요법 유발 탈모와 같은 다른 유형의 탈모 치료에도 사용될 가능성 있음
그래프 설명
-
Hair Length (mm)
- 2dDR-SA(T-3) 그룹과 미녹시딜(T-4) 그룹은 정상 대조군(NC)과 유사한 모발 길이를 보였다.
- 탈모 모델(T-1)과 빈 하이드로겔(T-2) 그룹은 유의미하게 짧았다.
-
Follicle Density (follicles/mm²)
- 2dDR-SA(T-3) 그룹에서 모낭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미녹시딜(T-4)과 비슷한 수준이다.
- 탈모 모델(T-1) 그룹은 밀도가 현저히 낮았다.
-
A/T Ratio
- 생장기(아나겐)와 휴지기(텔로겐) 모낭 비율을 나타내며, T-3과 T-4 그룹은 NC에 가깝게 높은 비율을 보였다.
- T-1 그룹은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
Blood Vessels (count)
- 혈관 수는 T-3 그룹에서 NC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했다.
- T-1과 T-2 그룹은 혈관 수가 매우 낮았다.
연구 결론
2dDR-SA 하이드로겔은 모낭 밀도 증가, 생장기 연장, 혈관 신생 촉진을 통해 안드로겐성 탈모를 효과적으로 개선했다. 기존 FDA 승인 치료제인 미녹시딜과 유사한 성과를 보였으며, 탈모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앞으로 2dDR의 작용 메커니즘을 더 명확히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