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가 면역 글로불린 증가와 항염증 효과를 유발하는 메커니즘

by 서플팩트 posted Feb 22,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ffect of CLA supplementation on immune function in young healthy volunteers (2005)

https://doi.org/10.1038/sj.ejcn.1602102

 

해당 논문은 CLA(공액리놀레산) 보충이 건강한 성인의 면역 기능과 혈중 지질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CLA는 육류 및 유제품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지방산으로, 다양한 건강 효과가 보고되어 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CLA 보충은 면역글로불린(IgA, IgM) 증가,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감소, 항염증성 사이토카인(IL-10) 증가 등의 면역 기능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 방법

  • 실험 방식: 무작위 이중 맹검(randomized double-blind), 대조군(reference-controlled) 연구

  • 보충 기간: 12주간 CLA 또는 대조군(고올레산 해바라기유) 보충 후, 12주간 세척(washout) 기간 진행
  • 참가자: 건강한 25~50세 남녀 28명(각 그룹 14명씩)
  • CLA 보충군: CLA 9,11 및 CLA 10,12 이성질체를 50:50 비율로 혼합한 CLA 보충제 3g(500mg 캡슐 6개) 섭취
  • 대조군: 고올레산 해바라기유(sunflower oil) 보충제 3g 섭취
  • 평가 항목
    • 면역 기능 관련 지표: 면역글로불린(IgA, IgM, IgE), 지연형 과민반응(DTH),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10)
    • 혈중 지질: 총콜레스테롤, HDL(고밀도 지단백), LDL(저밀도 지단백),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 혈당 수치
    • 림프구 아형 분석(Helper T 세포, Cytotoxic T 세포, NK 세포, ICAM-1, L-selectin)

 

연구 결과

1. CLA 보충이 면역글로불린 수치에 미치는 영향

  • IgA(점막 면역의 주요 항체) 증가: CLA 보충군에서 12주 후 10% 증가, 세척 기간 후에도 지속됨

  • IgM(1차 면역 반응 항체) 증가: CLA 보충군에서 6주 후 8% 증가, 세척 후 20% 증가
  • IgE(알레르기 반응 관련 항체) 감소: CLA 보충군에서 12주 후 10% 감소, 세척 후에도 감소 유지됨
  • CLA 보충은 면역 방어 기능을 강화하는 IgA, IgM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IgE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CLA가 면역 조절 작용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2. CLA 보충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 TNF-α(염증 촉진 사이토카인) 감소: CLA 보충군에서 12주 후 10% 감소
  • IL-1β(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감소: CLA 보충군에서 6주 후 10% 감소, 그러나 12주 후에는 유의미한 변화 없음
  • IL-10(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증가: CLA 보충군에서 6주 후 20%, 12주 후 30% 증가
  • CLA 보충군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감소하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 CLA가 면역 균형을 조절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3. CLA 보충이 지연형 과민반응(DTH) 반응에 미치는 영향

  • CLA 보충군에서 지연형 과민반응(IFN-γ 생성)이 30% 감소
  • 세척 후에도 감소가 유지됨
  • 이는 CLA가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면역 조절 효과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4. CLA 보충이 혈중 지질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 총콜레스테롤: CLA 보충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대조군에서는 10% 감소)
  • HDL(좋은 콜레스테롤) 감소: CLA 보충군에서 12주 후 7% 감소
  • LDL(나쁜 콜레스테롤) 변화 없음
  • 중성지방 증가: CLA 보충군에서 12주 후 증가 경향 확인됨
  • 유리지방산(FFA) 감소: CLA 보충군에서 6주 후 30% 감소
  • 혈당 변화 없음: CLA 보충군과 대조군 모두 혈당 수치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음
  • CLA 보충이 HDL 감소 및 중성지방 증가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적인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output.png

 

CLA 보충이 면역 기능과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

1. 면역글로불린(IgA, IgM, IgE) 변화

  • IgA 증가: CLA 보충군에서 12주 후 IgA 수치가 20% 증가했다. IgA는 점막 면역을 담당하는 항체로, 증가할 경우 감염 방어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 IgM 증가: CLA 보충군에서 6주 후 8%, 세척 후 20% 증가했다. IgM은 초기 감염에 대한 방어를 담당하는 항체로, 면역 기능이 활성화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IgE 감소: CLA 보충군에서 12주 후 10% 감소했다. IgE는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된 항체이므로, CLA 보충이 알레르기 반응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IL-10) 변화

  • TNF-α 감소: CLA 보충군에서 12주 후 10% 감소했다. TNF-α는 염증 반응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CLA가 염증 억제 효과를 가질 가능성을 나타낸다.
  • IL-1β 감소: CLA 보충군에서 6주 후 10% 감소했으나, 12주 후에는 원래 수치로 회복되었다. 이는 CLA의 단기적인 항염증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 IL-10 증가: CLA 보충군에서 6주 후 20%, 12주 후 30% 증가했다. IL-10은 항염증 작용을 하는 사이토카인으로, CLA 보충이 염증을 완화하고 면역 균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전반적인 결론

  • CLA 보충은 면역글로불린(IgA, IgM)을 증가시키면서도 알레르기 반응 관련 IgE를 감소시켜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 염증을 유발하는 TNF-α와 IL-1β는 감소하는 반면, 항염증 작용을 하는 IL-10은 증가하여 CLA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CLA 보충이 면역력 강화 및 염증 반응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면역 균형을 조절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연구 결론

CLA 보충은 면역력 강화와 염증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연구 결과, CLA를 보충한 참가자들은 면역글로불린(IgA, IgM) 증가,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된 IgE 감소, 염증 촉진 사이토카인 감소,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증가 등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CLA가 면역 체계를 조절하고, 염증 반응을 완화하며, 알레르기 반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장기적인 효과와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쿠팡에서 CLA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cfUVI1
아이허브 CLA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cla-conjugated-linoleic-acid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