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Effect of Cold Shower on Recovery From High-Intensity Cycling in the Heat (2019)

https://doi.org/10.1519/JSC.0000000000003017

 

해당 논문은 고온 환경에서 고강도 자전거 운동을 수행한 후 냉수 샤워(CWS, Cold Water Shower)가 심박수, 코어 체온(Tc), 타액 코티솔 수치 및 열적 쾌적성(TCS)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연구이다. 냉수 샤워는 간단하고 접근성이 높은 회복 방법으로, 고온 환경에서 운동 후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을지 검토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연구 개요

  • 연구 대상:

    • 20~25세의 건강한 남성 9명(평균 연령: 20.9세)
    • 평균 체질량지수(BMI): 22.9kg/m², 체지방률: 16.6%
    • 피험자들은 주당 3일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수행하는 습관이 있었으며, 실험 전 48시간 동안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 추가 운동을 삼가도록 요청받았다.
  • 실험 환경 및 설계

    • 고온 환경: 35°C의 온도, 40~60%의 상대 습도
    • 운동 강도: VO2peak(최대 산소 섭취량)의 65%로 45분간 고강도 자전거 운동 수행
    • 회복 조건
      1. 냉수 샤워(CWS): 15분 동안 15°C의 물로 샤워
      2. 수동 회복(SIT25): 25°C의 방에서 수동적으로 휴식
    • 교차 연구 설계로 피험자들은 7일 간격으로 두 가지 조건을 모두 경험

 

연구 방법

  1. 운동 전 측정

    • 심박수(HR), 코어 체온(Tc), 열적 편안감(TCS), 타액 코티솔 수치를 측정
    • 초기 상태에서 모든 지표는 두 조건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음
  2. 운동 후 회복 기간

    • 각 조건에서 15분 동안 지정된 회복 활동 수행
    • 이후 2시간 동안 25°C의 방에서 추가 회복 진행
    • 회복 기간 동안 30분, 1시간, 2시간 시점에서 심박수, 체온, 코티솔, 열적 쾌적성을 측정
  3. 측정 지표

    • 심박수(HR): 가슴 스트랩과 손목 시계로 지속적으로 측정
    • 코어 체온(Tc): 섭취 가능한 온도 캡슐을 사용하여 측정
    • 코티솔: 타액 샘플을 채취하여 민감한 효소 면역 분석법으로 분석
    • 열적 쾌적성(TCS): -4(매우 불편)에서 +4(매우 편안)까지의 척도로 평가

 

주요 연구 결과

1. 심박수(HR) 변화

  • 냉수 샤워(CWS) 조건에서 첫 30분 동안 심박수 회복이 더 빨랐다.
    • CWS 조건: 심박수가 평균 18% 감소
    • SIT25 조건: 심박수가 평균 7% 감소
  • 이는 냉수 샤워가 심혈관 스트레스를 더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30분 이후 두 조건 간의 심박수 감소 속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2. 코어 체온(Tc) 변화

  • 두 조건 모두 운동 후 체온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냉수 샤워(CWS)가 수동 회복(SIT25)보다 더 빠른 체온 감소를 유도하지는 못했다.
  • 냉수 샤워는 약 34%의 피부 노출 면적에 의존하는 반면, 냉수 침수(CWI)는 약 90%의 신체 면적을 활용해 더 효과적인 열 손실을 유도한다.

3. 타액 코티솔 수치

  • 운동 후 코티솔 수치는 두 조건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코티솔 감소는 체온 감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냉수 샤워는 체온을 충분히 낮추지 못해 코티솔 감소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4. 열적 쾌적성(TCS)

  • 냉수 샤워(CWS)는 실험 직후 열적 편안감을 크게 개선했다.
    • CWS 조건: 매우 편안(+4)
    • SIT25 조건: 약간 편안(+1)
  • 이는 냉수 샤워가 피부의 온도 감각을 자극하여 편안한 느낌을 유도한 것으로 해석된다.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Heart Rate (심박수)

  • CWS(냉수 샤워): 심박수가 첫 30분 동안 빠르게 감소(약 18%)하여 심혈관 스트레스를 더 효과적으로 줄였음을 보여준다.

  • SIT25(수동 회복): 심박수 감소가 더 느렸으며, 1시간 이후에서야 안정적인 회복이 이루어졌다.

  • 냉수 샤워는 고온 환경에서 운동 후 심박수 회복을 가속화하는 데 유리하다.

2. Core Temperature (코어 체온)

  • 두 조건 모두에서 코어 체온이 감소했지만, CWS와 SIT25 간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 냉수 샤워가 체온 감소에 특별히 더 효과적이지는 않았다.

  • 냉수 샤워는 체온 감소보다는 심박수 회복과 열적 편안감에 주된 효과를 보인다.

3. Cortisol (코티솔)

  • 두 조건 모두에서 운동 후 코티솔 수치가 감소했으나, CWS와 SIT25 간 큰 차이는 없었다.

  • 코티솔 감소는 체온 감소와 밀접하게 연관되므로, 냉수 샤워가 코티솔 감소에 미치는 효과는 제한적이다.

  • 냉수 샤워는 스트레스 호르몬(Cortisol) 감소를 목표로 할 경우 적합하지 않다.

4. Thermal Comfort Sensation (열적 편안감)

  • CWS: 운동 후 즉각적으로 열적 편안감을 크게 개선(+4, 매우 편안)

  • SIT25: 열적 편안감은 더디게 개선되며, 운동 직후에는 비교적 낮은 편안감(+1)을 보였다.

  • 냉수 샤워는 운동 직후 열적 편안감을 빠르게 회복시켜 심리적 안정과 만족감을 제공한다.

 

연구 결론

냉수 샤워는 고온 환경에서 운동 후 열적 편안감을 빠르게 개선하고 심박수 회복을 가속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심혈관 스트레스를 줄이고 운동 후 심리적 상쾌함을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그러나 체온 감소나 염증 반응 완화와 같은 생리적 회복에는 제한적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냉수 침수(CWI)와 같은 강력한 회복 방법이 더 적합할 수 있다.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87 Votes0
    read more
  2. 냉수 샤워의 건강 효과: 병결 감소와 업무 생산성 향상 연구

    Date2024.11.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9 Votes0 file
    Read More
  3. 냉수 샤워가 고온 운동 후 회복에 미치는 효과: 심박수와 열적 쾌적성 개선

    Date2024.11.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2 Votes0 file
    Read More
  4. 냉수 침지가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Date2024.11.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1 Votes0 file
    Read More
  5.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에 도움을 주는 냉수 침지의 효과

    Date2024.11.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7 Votes0 file
    Read More
  6. 간헐적 단식의 뇌 보호 효과: 산화 스트레스와 학습 능력 개선

    Date2024.11.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9 Votes0 file
    Read More
  7. 3년 연구로 입증된 간헐적 단식의 인지 기능 향상 및 대사 개선

    Date2024.11.2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1 Votes0 file
    Read More
  8. 간헐적 단식, 스트레스로 인한 인지 저하 완화 효과: 염증 조절의 역할

    Date2024.11.20 By서플팩트 Reply0 Views218 Votes0 file
    Read More
  9. 간헐적 단식으로 당뇨병 인지 저하 개선: 장내 미생물의 역할

    Date2024.11.20 By서플팩트 Reply0 Views291 Votes0 file
    Read More
  10. 중장년층 인슐린 저항성 개선을 위한 간헐적 단식과 건강식단 비교 연구

    Date2024.11.20 By서플팩트 Reply0 Views449 Votes0 file
    Read More
  11. 늦은 취침, 다음 날까지 지속되는 심박수 상승 유발

    Date2024.11.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267 Votes0 file
    Read More
  12. 수면 시간, 낮잠, 수면의 질이 뇌졸중 위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

    Date2024.11.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5 Votes0 file
    Read More
  13. 최적 수면 시간과 낙상 예방 전략 - 한국 성인 대상 연구

    Date2024.11.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2 Votes0 file
    Read More
  14. 낮잠과 건강: 수면 패턴이 사망률 및 심혈관 위험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1.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5 Votes0 file
    Read More
  15. 무거운 이불로 만성 통증 완화: 과학적으로 입증된 비약물 치료법

    Date2024.11.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3 Votes0 file
    Read More
  16. 무거운 이불로 불안 감소: 정신과 병동에서의 효과 검증 연구

    Date2024.11.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6 Votes0 file
    Read More
  17. 무거운 이불로 불면증 완화: 우울증 및 불안증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확인

    Date2024.11.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1 Votes0 file
    Read More
  18. 수면 전 멜라토닌 증가: 무거운 이불의 잠재적 효과 분석

    Date2024.11.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75 Votes0 file
    Read More
  19. ADHD 아동 수면 개선 방법: 무거운 이불의 효과 연구

    Date2024.11.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7 Votes0 file
    Read More
  20. 스웨덴 코호트 연구로 본 장수 비결: 생체표지자와 생활습관의 영향

    Date2024.11.2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0 Votes0 file
    Read More
  21. 지중해식 식단이 텔로미어 길이 연장에 미치는 영향: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연구 결과

    Date2024.11.23 By서플팩트 Reply0 Views288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