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Improved mood following a single immersion in cold water (2021)

https://doi.org/10.1002/lim2.53

 

해당 논문은 일회성 냉수 침지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냉수 수영이나 장기간의 노출이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으나, 본 연구는 수영 활동 없이 냉수 침지 자체가 심리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냉수 침지 후 긴장, 우울, 피로와 같은 부정적 감정이 감소하고 활력 및 자존감이 상승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방법 및 세부 내용

참여자 모집 및 특성

  • 총 모집 인원: 64명
  • 연령대: 평균 21세(CWI 그룹) 및 23세(통제 그룹)
  • 배제 기준
    • 고혈압, 심혈관 질환, 냉감성 혈관 질환(예: 레이노병) 등 질환자
    • 우울증 및 불안장애 등 정신 건강 상태로 치료 중인 사람
  • 최종 분류: 냉수 침지 그룹(CWI) 42명, 통제 그룹 22명

실험 설계

  1. 사전 설문 및 기분 측정:
    • 모든 참여자는 실험 전 Profile of Mood States (POMS) 단축판 설문을 작성하여 초기 기분 상태를 평가
    • 평가 지표
      • 부정적 감정(긴장, 분노, 우울, 피로, 혼란)
      • 긍정적 감정(활력, 자존감)
    • Connectedness to Nature Scale로 자연과의 연결 정도도 측정
  2. 냉수 침지(CWI) 절차
    • 약 13.6°C의 바닷물에 가슴 높이까지 침지
    • 각 참가자는 최대 20분 동안 물에 머물 수 있도록 하며, 평균 18분 동안 침지 진행
    • 침지 중 머리를 물에 담그는 것을 제한했으나, 파도로 인해 비의도적인 노출 가능
  3. 통제 그룹 활동
    • 통제 그룹은 동일한 시간 동안 일상적인 활동만 수행
  4. 사후 설문 및 기분 재측정
    • 냉수 침지 후 바로 POMS 설문을 재작성하여 기분 상태 변화를 분석
    • 통제 그룹은 7~8일 후 동일한 설문을 재작성

안전 관리

  • 침지 환경
    • 물 온도: 13.6°C
    • 해변에서 진행, 안전 장비 구비(구명 튜브, 응급 처치 키트 등)
  • 응급 대비
    • 저체온증 증상(피부 창백, 혼란, 떨림 등)을 감시
    • 침지 후 따뜻한 음료와 담요 제공
  • 부상 및 이탈
    • 한 명은 13분 후 저체온증 증상으로 이탈, 또 다른 한 명은 가벼운 외상 발생

 

연구 결과

1. 총 기분 장애 점수(Total Mood Disturbance, TMD)

  • 냉수 침지 그룹: 51점 → 36점으로 큰 감소(유의미한 차이, p<0.001)
  • 통제 그룹: 42점 → 40점으로 변화 없음

2. 부정적 감정 변화

  • 냉수 침지 그룹: 모든 부정적 감정 지표(긴장, 분노, 우울, 피로, 혼란)에서 유의미한 감소
    • 긴장: 4.6 → 2.1
    • 분노: 2.1 → 0.85
    • 우울: 2.9 → 0.77
    • 피로: 6.4 → 4.2
    • 혼란: 5.8 → 3.0
  • 통제 그룹: 대부분 변화 없음. 우울만 0.3 → 1.3으로 증가

3. 긍정적 감정 변화

  • 냉수 침지 그룹: 활력과 자존감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
    • 활력: 7.1 → 8.2
    • 자존감: 14.1 → 16.3
  • 통제 그룹: 변화 없음

 

output.png

 

그래프 설명

이 그래프는 냉수 침지(CWI)와 통제 그룹(CON)에서 감정 상태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냉수 침지 그룹은 긴장(Tension), 분노(Anger), 우울(Depression), 피로(Fatigue), 혼란(Confusion) 같은 부정적인 감정 지표가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활력(Vigour)과 자존감(Esteem-Related) 같은 긍정적인 지표는 상승하였다. 반면 통제 그룹에서는 대부분의 부정적 지표가 큰 변화가 없었고, 우울 점수는 오히려 약간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냉수 침지가 기분 개선에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감정 상태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론

냉수 침지는 단 한 번의 노출로도 심리적 웰빙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는 스트레스와 기분 문제를 겪는 현대인에게 특히 유용하며,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냉수 침지의 효과를 정교하게 입증할 필요가 있다. 추가 연구는 최적의 노출 시간, 온도, 빈도와 같은 "냉수 요법의 적정 용량"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640 0
26 3년 연구로 입증된 간헐적 단식의 인지 기능 향상 및 대사 개선 file 서플팩트 2024.11.20 87 0
25 간헐적 단식의 뇌 보호 효과: 산화 스트레스와 학습 능력 개선 file 서플팩트 2024.11.19 59 0
24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에 도움을 주는 냉수 침지의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19 61 0
» 냉수 침지가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Improved mood following a single immersion in cold water (2021) https://doi.org/10.1002/lim2.53 해당 논문은 일회성 냉수 침지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 file 서플팩트 2024.11.19 72 0
22 냉수 샤워가 고온 운동 후 회복에 미치는 효과: 심박수와 열적 쾌적성 개선 file 서플팩트 2024.11.19 84 0
21 냉수 샤워의 건강 효과: 병결 감소와 업무 생산성 향상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19 73 0
20 전신 냉각 요법이 수면과 심리 웰빙에 미치는 효과: 젊은 성인 대상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1.19 68 0
19 임신과 간접 설탕 효과: 설탕 및 감미료가 태아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1.19 82 0
18 설탕 음료와 인공감미료 음료, 장기 섭취가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1.19 76 0
17 설탕 음료 vs. 아스파탐 음료: 식후 대사 반응 비교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19 95 0
16 퍼플루오로알킬물질(PFAS)의 피부 흡수율 분석: 탄소 사슬 길이와의 관계 file 서플팩트 2024.11.11 90 0
15 지구 표면수 및 지하수의 PFAS 오염 현황과 규제 초과율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0.26 149 0
14 미세플라스틱이 태아 조직에 미치는 영향: 임신 기간 중 흡입 노출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0.24 101 0
13 알츠하이머 쥐 모델에서 멘톨 흡입의 인지 기능 개선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0.23 99 0
12 폐기되는 수박 껍질, 고섬유질 쿠키로 재탄생하다: 건강과 혈당 관리 효과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08.28 114 0
11 설탕 첨가 음료 섭취가 세포 노화에 미치는 영향: 텔로미어 길이 단축과의 연관성 file 서플팩트 2024.08.24 136 0
10 매일 식초 섭취로 우울증 개선: 비만 성인 대상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08.18 210 0
9 키토제닉 식단 vs 자유당 제한: 체중 감량과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08.18 196 0
8 성생활 빈도, 우울증, 사망률 간의 상관관계: NHANES 연구 결과 요약 file 서플팩트 2024.08.18 200 0
7 간헐적 에너지 제한 다이어트가 뇌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08.18 550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