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조회 수 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The efficacy of weighted blankets for sleep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trial (2023)

https://doi.org/10.1111/jsr.13990

 

ADHD를 가진 아동의 약 25-50%는 수면 문제를 경험하며, 이는 주의력 저하, 과잉 행동 심화, 학업 저하, 그리고 가족의 전반적인 스트레스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해당 논문은 무거운 이불(Weighted Blanket, WB)을 활용한 비약물적 개입이 ADHD 아동의 수면 질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무작위 교차 시험이다. 이 연구는 무거운 이불이 ADHD 아동의 수면 유지, 총 수면 시간, 수면 효율을 유의미하게 개선할 수 있는지를 검증했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 무작위 교차 설계: 4주간 무거운 이불 사용 후 4주간 경량 이불(Control Blanket) 사용(또는 반대 순서)
    • 연구 기간 동안 모든 참가자는 두 종류의 이불을 사용하며 각 이불의 효과를 비교 평가
  2. 대상

    • 총 94명의 ADHD 아동(평균 연령 9세, 남아 57.4%)
    • ADHD 하위 유형: 부주의형, 과잉 활동형, 혼합형
    • 포함 기준
      • ADHD로 진단받았으며, 수면 문제가 있는 아동
      • 안정적인 약물 치료 상태 및 기존 무거운 이불 사용 경험 없음
  3. 측정 방법

    • 객관적 수면 데이터: 액티그래프(Actigraphy)를 통해 수면 효율(SE), 총 수면 시간(TST), 수면 중 각성 시간(WASO), 수면 시작 지연 시간(SOL) 측정
    • 주관적 데이터: 부모와 아동의 설문 조사로 수면 문제 및 만족도 평가
    • 수면 일지: 매일의 수면 패턴을 기록

 

연구 결과

1. 객관적 수면 데이터

  • 총 수면 시간(TST)
    • 무거운 이불 사용 시 평균 7.72분 증가(Cohen's d = 0.24, p = 0.027)
    • 특히 11-14세 아동의 경우 16.3분 증가(Cohen's d = 0.53, p = 0.009)
    • 부주의형 ADHD 아동에서 15.6분 증가(Cohen's d = 0.58, p = 0.016)
  • 수면 효율(SE)
    • 평균 0.82% 증가(Cohen's d = 0.23, p = 0.038)
  • 수면 중 각성 시간(WASO)
    • 평균 2.79분 감소(Cohen's d = -0.27, p = 0.015)
  • 수면 시작 지연 시간(SOL)
    • 유의미한 변화 없음(p = 0.432)

2. 주관적 수면 평가

  • 부모 보고 결과, 무거운 이불 사용 시 아동의 수면 문제가 유의미하게 감소(p = 0.031)

3. 특정 아동 그룹에서 두드러진 효과

  • 11-14세 연령층에서 무거운 이불 사용 시 수면 질 및 유지 개선 효과가 두드러짐
  • ADHD 부주의형 아동에게서 총 수면 시간(TST)의 개선이 더욱 뚜렷함

4. 무거운 이불 사용에 대한 아동의 만족도

  • 무거운 이불 사용 시 수면의 질과 담요에 대한 만족도가 경량 이불에 비해 현저히 높음(p < 0.000)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Total Sleep Time (TST) Comparison

  • 아동이 수면 중 실제로 잠든 총 시간을 나타낸다.

    • 전체적으로 무거운 이불 사용 시 평균 약 7.72분 증가

    • 특히 11-14세 아동(+16.3분)과 부주의형 ADHD 아동(+15.6분)에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

    • 이는 무거운 이불이 수면 지속 시간을 늘려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Sleep Efficiency (SE) Comparison

  • 총 수면 시간(TST)을 침대에서 보낸 시간으로 나눈 백분율(%). 높은 값일수록 효율적인 수면을 의미한다.

    • 전체적으로 무거운 이불 사용 시 0.82% 증가

    • 11-14세 아동(+2.1%)에서 가장 두드러진 개선 효과가 관찰됨

    • 이는 무거운 이불이 불필요한 각성을 줄이고 수면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Wake After Sleep Onset (WASO) Comparison

  • 아동이 수면 중 깨어 있는 시간의 총합(분). 낮을수록 안정적인 수면을 나타낸다.

    • 전체적으로 무거운 이불 사용 시 2.79분 감소

    • 특히 부주의형 ADHD 아동(-4.0분)에서 가장 효과적

    • 이는 무거운 이불이 수면 중 깨어나는 시간을 줄여 안정적인 수면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론

무거운 이불은 ADHD 아동의 수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약물 없이도 총 수면 시간, 수면 효율, 수면 유지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연령대와 ADHD 하위 유형에 맞춘 맞춤형 접근으로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과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비약물적 수면 개선 도구로 무거운 이불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권장된다.

 

쿠팡에서 중력이불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1LnXy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640 0
46 집중 명상 훈련이 텔로머라아제 활성도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1.24 66 0
45 만성 우울증과 텔로미어 단축: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의 생물학적 영향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1.24 90 0
44 텔로머라아제와 노화: 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 file 서플팩트 2024.11.24 95 0
43 만성 스트레스와 면역력 저하: 코르티솔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23 85 0
42 세포 노화와 산화 스트레스: 텔로미어 단축을 늦추는 생활 습관 file 서플팩트 2024.11.23 72 0
41 텔로미어 손상이 미토콘드리아와 대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와 건강 관리 방법 file 서플팩트 2024.11.23 105 0
40 지중해식 식단이 텔로미어 길이 연장에 미치는 영향: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1.23 67 0
39 스웨덴 코호트 연구로 본 장수 비결: 생체표지자와 생활습관의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1.23 94 0
» ADHD 아동 수면 개선 방법: 무거운 이불의 효과 연구 The efficacy of weighted blankets for sleep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trial (2023) ht... file 서플팩트 2024.11.21 83 0
37 수면 전 멜라토닌 증가: 무거운 이불의 잠재적 효과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1.21 64 0
36 무거운 이불로 불면증 완화: 우울증 및 불안증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확인 file 서플팩트 2024.11.21 83 0
35 무거운 이불로 불안 감소: 정신과 병동에서의 효과 검증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21 103 0
34 무거운 이불로 만성 통증 완화: 과학적으로 입증된 비약물 치료법 file 서플팩트 2024.11.21 81 0
33 낮잠과 건강: 수면 패턴이 사망률 및 심혈관 위험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1.21 79 0
32 최적 수면 시간과 낙상 예방 전략 - 한국 성인 대상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21 81 0
31 수면 시간, 낮잠, 수면의 질이 뇌졸중 위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21 96 0
30 늦은 취침, 다음 날까지 지속되는 심박수 상승 유발 file 서플팩트 2024.11.21 84 0
29 중장년층 인슐린 저항성 개선을 위한 간헐적 단식과 건강식단 비교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20 225 0
28 간헐적 단식으로 당뇨병 인지 저하 개선: 장내 미생물의 역할 file 서플팩트 2024.11.20 130 0
27 간헐적 단식, 스트레스로 인한 인지 저하 완화 효과: 염증 조절의 역할 file 서플팩트 2024.11.20 93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