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경화증 관리, 단식 모방 식단이 제안하는 새로운 해법

by 서플팩트 posted Nov 30,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A Diet Mimicking Fasting Promotes Regeneration and Reduces Autoimmunity and Multiple Sclerosis Symptoms (2016)

https://doi.org/10.1016/j.celrep.2016.05.009

 

단식 모방 식단(Fasting-Mimicking Diet, FMD)은 다발성 경화증(MS)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서 염증을 억제하고 신경 재생을 촉진하며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해당 논문은 FMD가 염증성 T세포를 감소시키고, 조절 T세포(Treg)를 증가시키며,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전구세포(OPC)의 재생과 분화를 촉진하여 미엘린 재형성을 돕는 과정을 동물 모델과 초기 임상 시험에서 확인했다.

 

연구 결과

1. 자가면역 억제

  1. 염증 억제

    • FMD는 TH1, TH17과 같은 염증성 T세포의 수를 크게 줄였다.
    • 프로염증성 사이토카인(IL-17, IFN-γ)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염증 반응 억제와 관련이 있다.
  2. 조절 T세포(Treg) 증가

    • FMD를 시행한 동물에서는 조절 T세포(Treg)가 두 배 이상 증가하여 면역 균형을 회복하고 자가면역 반응을 억제했다.
  3. 자가반응성 림프구의 세포사멸

    • 자가면역성 림프구의 사멸이 증가했으며, 이후 재급식을 통해 새로운 면역세포로 대체되었다.

2. 신경 재생 촉진

  1.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재생 촉진

    • FMD는 탈수초 부위에서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전구세포(OPCs)의 분화를 촉진하여 새로운 미엘린을 형성했다.
    • 미엘린 재생 과정이 가속화되어 신경 손상 복구가 향상되었다.
  2. 미엘린 보호 효과

    • FMD는 탈수초 및 축삭 손상을 줄였으며, 이는 신경 보호 효과를 보여준다.
  3. 척수 내 염증 세포 감소

    • FMD 그룹에서는 척수 조직에서 면역세포 침윤이 75% 감소하여 염증이 완화되었다.

3. 임상 연구 결과

  1. 삶의 질 향상

    • 초기 임상 시험에서 FMD는 환자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을 개선했다.
    • 특히 신체적, 정신적 건강 지표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2. 안전성 및 실현 가능성

    • FMD는 안전하고 환자들이 실천 가능한 방법으로 평가되었으며, 100%의 높은 순응도를 보였다.
  3. 재발률 감소

    • 6개월 동안 FMD를 실시한 그룹에서 MS 재발률이 감소하였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경증 증상 완화가 확인되었다.

 

fig5.jpg

 

단식 모방 식단이 자가면역 억제와 신경 재생을 돕는 기전

  1. 면역 억제 메커니즘

    • 내인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증가: FMD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부신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킨다. 이 호르몬은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조절 T세포(Treg) 증가: Treg는 염증성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면역 조절 세포이다. FMD는 이 세포의 비율을 높여 자가면역 반응을 완화한다.
    • 자가면역 T세포 억제: FMD는 염증을 유발하는 T세포(TH1, TH17)의 사멸을 촉진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세포가 더 건강한 면역 환경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 면역세포 침윤 감소: 중추신경계(CNS)로 침투하는 자가면역 T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수를 감소시켜 염증과 신경 손상을 방지한다.
  2. 신경 재생 및 미엘린 재생

    •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재생: FMD는 손상된 신경 축삭을 감싸는 미엘린을 생성하는 올리고덴드로사이트의 재생을 촉진한다.
    • 올리고덴드로사이트 전구세포(OPC) 활성화: FMD는 OPC가 성숙한 올리고덴드로사이트로 분화하도록 유도하여 손상 부위에 새로운 미엘린을 형성하게 한다.
    • 미엘린 재형성: 재생된 올리고덴드로사이트는 탈수초된 신경 축삭을 감싸며 신경 신호 전달을 복구한다.
  3. 전반적인 회복 과정

    • 염증과 탈수초 감소: 자가면역 세포의 수와 염증이 감소하면서 탈수초 부위가 줄어든다.
    • 신경 기능 회복: 새로운 미엘린 형성과 축삭 보호로 인해 신경 신호 전달이 정상화되고 증상이 완화된다.

 

연구 결론

FMD는 자가면역 억제와 신경 재생을 동시에 지원하여 다발성 경화증 치료에 효과적인 새로운 접근법으로 제안된다. 주기적인 FMD 시행은 안전성과 실현 가능성이 높으며, 삶의 질 개선과 증상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대규모 임상 연구를 통해 장기적 효과와 최적의 적용 방식을 추가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Articles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