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The effect of a high-polyphenol Mediterranean diet (Green-MED) combined with physical activity on age-related brain atrophy: the Dietary Interven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olyphenols Unprocessed Study (DIRECT PLUS) (2022)

https://doi.org/10.1093/ajcn/nqac001

 

해당 논문은 고령화로 인한 뇌 위축을 예방하기 위해 고폴리페놀 식품을 포함한 Green-MED(고폴리페놀 지중해식) 식단과 신체 활동의 효과를 탐구한 18개월 간의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복부 비만 또는 지질대사 이상을 가진 성인 284명(평균 연령 51세)으로, 이들은 세 그룹(일반 건강 지침 그룹, 전통 지중해식 그룹, Green-MED 그룹)으로 나뉘어 연구에 참여했다. 뇌 구조의 변화는 MRI를 통해 해마 점유율(Hippocampal Occupancy Score, HOC)과 뇌실 확장(Lateral Ventricle Volume, LVV)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연구 방법

  1. 참가자 분류

    • 일반 건강 지침(HDG): 기본적인 건강 식이 지침과 신체 활동 권장
    • 전통 지중해식(MED): 전통적인 지중해식 식단(칼로리 제한, 호두 28g/일 섭취 포함)
    • Green-MED 식단: 전통 지중해식에 추가적으로 녹차(3~4컵/일)와 만카이(100g/일)를 섭취하며, 붉은 고기 및 가공육을 제한
  2. 중재 내용

    • 식단 구성
      • MED 그룹: 식단에서 단순 탄수화물을 줄이고, 붉은 고기 대신 가금류와 생선을 사용
      • Green-MED 그룹: 고폴리페놀 식품(녹차, 만카이) 섭취량 증가 및 붉은 고기 섭취 감소
    • 신체 활동: 모든 그룹에게 동일한 신체 활동 권장(주당 MET 증가)
  3. MRI 기반 뇌 구조 측정

    • HOC(해마 점유율): 해마 위축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한 지표
    • LVV(뇌실 확장): 뇌 구조의 손상을 나타냄

 

연구 결과

1. Green-MED 식단의 뇌 위축 예방 효과

  • HOC 감소 억제
    • Green-MED 그룹: HOC 감소율 -0.8%
    • HDG 그룹: HOC 감소율 -1.3%
    • Green-MED 식단은 HDG 대비 해마 점유율 감소를 38% 줄임
  • LVV 확장 억제
    • Green-MED 그룹: LVV 증가율 2.3%
    • HDG 그룹: LVV 증가율 4.3%
    • 뇌실 확장 속도 또한 Green-MED 그룹에서 유의미하게 느려짐

2. 폴리페놀 식품의 영향

  • 소변 내 폴리페놀 농도
    • 유로리틴 A티로솔 농도가 높을수록 HOC 감소율이 낮아짐
    • 폴리페놀은 뇌 신경 염증 억제, 산화 스트레스 감소, 혈류 개선에 기여
  • 식품별 기여
    • 녹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함유로 신경 염증 감소
    • 만카이: 플라보노이드(카테킨, 케르세틴 등) 함유로 신경 보호
    • 호두: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을 완화하여 뇌 건강 증진

3. 대사 건강과 뇌 위축의 상관관계

  • 체중 및 대사 개선
    • 체중 감소와 인슐린 저항성 개선(HOMA-IR)은 HOC 감소와 LVV 확장을 억제하는 데 기여
    • 대사 건강 개선이 뇌 구조 보호의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

4. 고령층(50세 이상)에서 더 두드러진 효과

  • Green-MED 식단은 50세 이상에서 뇌 구조 손상 예방 효과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음
  • 이는 노화에 따른 뇌 위축이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고폴리페놀 식단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시사

 

fig4.jpg

 

Change in HOC (Hippocampal Occupancy Score)

  • 각 그룹(HDG, MED, Green-MED)에서 18개월 동안의 HOC 변화를 보여준다.
    • HDG와 MED 그룹 모두에서 HOC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 Green-MED 그룹은 18개월 동안 HOC 감소가 거의 없었음을 보여주었다.
  • Green-MED 식단은 해마 위축(노화와 관련된 뇌의 구조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

 

Change in LVV (Lateral Ventricle Volume)

  • 각 그룹의 LVV(뇌실 부피) 확장율을 보여준다.
    • HDG 그룹은 LVV 확장이 가장 컸다.
    • Green-MED 그룹은 LVV 확장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했으며, MED 그룹도 HDG 대비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 뇌실 부피 증가는 뇌 위축의 지표로, Green-MED 식단이 노화로 인한 뇌의 부피 감소를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HOC Change in Participants ≥ 50 Years Old

  • 50세 이상 참가자의 HOC 변화를 그룹별로 비교하였다.
    • HDG 그룹에서 HOC 감소가 가장 뚜렷했다.
    • MED와 Green-MED 그룹은 HDG에 비해 HOC 감소가 유의미하게 적었다.
    • 특히, Green-MED 그룹에서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 50세 이상 참가자에게 Green-MED 식단은 해마 위축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LVV Change in Participants ≥ 50 Years Old

  • 50세 이상 참가자의 LVV 확장 변화를 그룹별로 비교하였다.
    • HDG 그룹에서 LVV 확장이 가장 컸다.
    • MED와 Green-MED 그룹은 LVV 확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했으며, Green-MED 그룹이 가장 두드러진 억제 효과를 보였다.
  • 고령 참가자에게 Green-MED 식단은 뇌 위축의 지표인 뇌실 확장을 줄이는 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

 

연구 결론

Green-MED 식단은 노화로 인한 뇌 위축(HOC 감소)과 뇌실 확장(LVV 확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했으며, 특히 5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두드러진 보호 효과를 보였다. 녹차, 만카이, 호두 등 고폴리페놀 식품을 포함한 이 식단은 뇌 구조 손상을 완화하며, 건강한 노화를 지원하는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40 Votes0
    read more
  2. 670nm 근적외선이 망막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83 Votes0 file
    Read More
  3.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에 670nm 빛이 미치는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75 Votes0 file
    Read More
  4. 670nm 빛이 노화된 시력을 회복시킨다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1 Views769 Votes0 file
    Read More
  5. 수면 자세가 녹내장에 미치는 영향: 시야 손실과의 연관성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0 Votes0 file
    Read More
  6. 간헐적 단식, 체중 감량 효과 뒤에 숨겨진 모발 손상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0 Votes0 file
    Read More
  7. 침대 머리 높이기 vs 베개 사용: 안압 관리 방법 비교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80 Votes0 file
    Read More
  8. 수면 자세와 녹내장: 머리 높이 30도 조절의 안압 감소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9.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S) 환자에서 야간 안압 변동: 녹내장 위험성과의 관계 분석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95 Votes0 file
    Read More
  10. 수면 자세별 안압 상승 위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40 Votes0 file
    Read More
  11. 고령자의 성생활이 뇌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분석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74 Votes0 file
    Read More
  12. 성경험이 해마 신경 생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호르몬과 신경 건강의 새로운 관계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74 Votes0 file
    Read More
  13. 중년기의 성적 경험이 신경 세포 생성과 기억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77 Votes0 file
    Read More
  14. 성적 활동과 인지 기능의 관계: 노년층의 언어 유창성과 시공간 능력 향상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81 Votes0 file
    Read More
  15. 만성 스트레스와 해마 손상: 성적 활동의 회복 효과와 신경세포 생존 증가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4 Votes0 file
    Read More
  16. 밤빛 노출과 사망 위험: 생체리듬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78 Votes0 file
    Read More
  17. 고폴리페놀 지중해식(Green-MED) 식단과 운동이 노화로 인한 뇌 위축을 예방하는 방법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5 Votes0 file
    Read More
  18. 요리와 건강: 조리 방법별 실내 공기 오염 영향 연구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1 Votes0 file
    Read More
  19. BROAD vs 표준 광치료: 계절성 우울증 증상 개선 연구 결과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89 Votes0 file
    Read More
  20. 광치료 vs 인지행동치료: 계절성 우울증 단기 효과 비교 연구 요약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78 Votes0 file
    Read More
  21. 광치료로 대학생 우울증 완화: 수면 개선과 집중력 향상 효과 확인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82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