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Brighter nights and darker days predict higher mortality risk: A prospective analysis of personal light exposure in >88,000 individuals (2024)

https://doi.org/10.1073/pnas.2405924121

 

빛은 인간의 생체리듬을 조율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낮 동안 밝은 빛은 생체리듬을 안정화하고 신체 기능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하지만, 밤에 밝은 빛에 노출되면 생체리듬이 혼란에 빠지면서 다양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이 같은 생체리듬 혼란은 심혈관 질환, 대사 질환 등의 주요 사망 원인과도 연관이 깊다. 해당 논문은 개인의 빛 노출 데이터와 사망률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약 8만 9천 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특히, 개인이 하루 동안 겪는 빛 노출 패턴이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했다.

 

연구 방법

  • 대상자: 영국 Biobank에 등록된 40세 이상 성인 약 89,000명을 대상으로 진행
  • 데이터 수집: 손목에 착용하는 빛 센서를 사용해 7일간 빛 노출 데이터를 측정
    • 낮 시간: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를 낮 빛 노출 시간으로 정의
    • 밤 시간: 오전 0시 30분부터 오전 6시까지를 밤 빛 노출 시간으로 정의
  • 결과 분석: 약 8년 동안의 추적 관찰을 통해 사망률 데이터를 수집하고, 빛 노출과 사망 위험 간의 관계를 평가
  • 조정 요소: 연구는 연령, 성별, 소득 수준, 흡연, 운동량, 도시화 정도 등 다양한 혼란 변수를 조정해 분석

 

연구 결과

1. 밤 빛 노출과 사망 위험

  • 밤에 밝은 빛에 더 많이 노출된 사람들은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 밤 빛 노출 상위 10%: 사망률이 평균 21~34% 증가
    • 심혈관 및 대사 질환 사망 위험은 33~46% 증가
  • 밤 빛은 생체리듬을 억제해 수면 장애를 유발하고, 이는 대사 및 심혈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2. 낮 빛 노출과 사망 위험

  • 낮 동안 밝은 빛을 더 많이 받은 사람들은 사망 위험이 낮았다
    • 낮 빛 노출 상위 10%: 사망률이 평균 17~34% 감소
    • 심혈관 및 대사 질환 사망 위험은 39%까지 감소
  • 낮 동안 밝은 빛은 생체리듬의 진폭을 강화하고, 밤에 빛에 대한 민감도를 낮춤으로써 생체리듬 안정성을 유지한다.

3. 생체리듬의 변화와 사망률

  • 생체리듬의 진폭이 낮거나 위상이 지나치게 이르거나 늦은 경우 사망률이 증가했다.
    • 진폭 억제: 사망률 4~10% 증가
    • 위상 변화: 평균보다 1시간 이상 이른 경우 사망 위험 16~30% 증가, 늦은 경우 13~20% 증가
  • 생체리듬 혼란은 신체 대사와 심혈관 건강을 악화시키며, 이는 사망 위험을 높인다.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All-Cause Mortality vs Night Light Exposure

  • 밤 빛 노출 정도(0-50%, 50-70%, 70-90%, 90-100%)에 따른 전체 사망률 위험도를 나타냄

    • 밤 빛 노출이 많을수록 사망 위험(Hazard Ratio, HR)이 증가

    • 특히, 상위 10% (90-100%) 그룹은 HR이 1.21로, 가장 낮은 그룹(0-50%) 대비 사망 위험이 21% 높음

  • 밤에 밝은 빛에 노출되는 것이 생체리듬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건강 악화 및 사망 위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음

2. All-Cause Mortality vs Day Light Exposure

  • 낮 빛 노출 정도에 따른 전체 사망률 위험도를 보여줌

    • 낮 빛 노출이 많아질수록 사망 위험(HR)이 감소

    • 상위 10% (90-100%) 그룹의 HR은 0.83으로, 사망 위험이 17% 감소

  • 낮 동안 충분한 빛을 받으면 생체리듬이 강화되고 건강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3. Cardiometabolic Mortality vs Night Light Exposure

  • 밤 빛 노출 정도에 따른 심혈관 및 대사 질환 관련 사망률을 나타냄

    • 밤 빛 노출이 증가할수록 심혈관 및 대사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증가

    • 상위 10% (90-100%) 그룹의 HR은 1.33으로, 사망 위험이 33% 더 높음

  • 밤에 밝은 빛은 대사 및 심혈관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4. Cardiometabolic Mortality vs Day Light Exposure

  • 낮 빛 노출 정도에 따른 심혈관 및 대사 질환 관련 사망률을 보여줌

    • 낮 빛 노출이 많을수록 심혈관 및 대사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감소

    • 상위 10% (90-100%) 그룹의 HR은 0.61로, 위험이 39% 감소

  • 낮 동안 밝은 빛에 충분히 노출되면 심혈관 및 대사 건강이 유지되고, 질병 위험이 줄어듦

 

연구 결론

밤 빛 노출은 심혈관 및 대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망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낮 동안 충분한 빛에 노출되면 생체리듬이 안정화되고 건강이 증진되며,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칙적인 낮과 밤 빛 노출 관리는 건강과 장수를 위한 핵심 전략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640 0
86 670nm 근적외선이 망막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08 83 0
85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에 670nm 빛이 미치는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08 75 0
84 670nm 빛이 노화된 시력을 회복시킨다 1 file 서플팩트 2024.12.08 769 0
83 수면 자세가 녹내장에 미치는 영향: 시야 손실과의 연관성 file 서플팩트 2024.12.08 100 0
82 간헐적 단식, 체중 감량 효과 뒤에 숨겨진 모발 손상 file 서플팩트 2024.12.08 140 0
81 침대 머리 높이기 vs 베개 사용: 안압 관리 방법 비교 file 서플팩트 2024.12.08 80 0
80 수면 자세와 녹내장: 머리 높이 30도 조절의 안압 감소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08 109 0
79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S) 환자에서 야간 안압 변동: 녹내장 위험성과의 관계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2.07 95 0
78 수면 자세별 안압 상승 위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07 1240 0
77 고령자의 성생활이 뇌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2.03 74 0
76 성경험이 해마 신경 생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호르몬과 신경 건강의 새로운 관계 file 서플팩트 2024.12.03 74 0
75 중년기의 성적 경험이 신경 세포 생성과 기억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2.03 77 0
74 성적 활동과 인지 기능의 관계: 노년층의 언어 유창성과 시공간 능력 향상 file 서플팩트 2024.12.03 81 0
73 만성 스트레스와 해마 손상: 성적 활동의 회복 효과와 신경세포 생존 증가 file 서플팩트 2024.12.03 114 0
» 밤빛 노출과 사망 위험: 생체리듬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Brighter nights and darker days predict higher mortality risk: A prospective analysis of personal light exposure in >88,000 individuals (2024) https://... file 서플팩트 2024.12.02 78 0
71 고폴리페놀 지중해식(Green-MED) 식단과 운동이 노화로 인한 뇌 위축을 예방하는 방법 file 서플팩트 2024.12.02 95 0
70 요리와 건강: 조리 방법별 실내 공기 오염 영향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2.02 91 0
69 BROAD vs 표준 광치료: 계절성 우울증 증상 개선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01 89 0
68 광치료 vs 인지행동치료: 계절성 우울증 단기 효과 비교 연구 요약 file 서플팩트 2024.12.01 78 0
67 광치료로 대학생 우울증 완화: 수면 개선과 집중력 향상 효과 확인 file 서플팩트 2024.12.01 82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