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exual Activity and Cognitive Decline in Older Adults (2018)

https://doi.org/10.1007/s10508-018-1193-8

 

해당 논문은 성생활 빈도와 성관계 시 정서적 친밀감이 고령자의 인지능력 저하와 관련이 있는지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영국의 50세 이상 고령자 6016명(남성 2672명, 여성 3344명)이며, 데이터는 2012년(1차)과 2014년(2차)에 걸쳐 수집됐다. 연구는 일화 기억 성능과 성생활 간의 연관성을 탐구하며, 성생활이 인지능력 저하를 늦추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했다. 결과적으로, 성생활 빈도와 정서적 친밀감은 현재의 일화 기억 성능과 긍정적인 연관이 있었으나, 이러한 요인들이 인지능력 저하를 늦추는 데에는 명확한 증거가 부족했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

  • 참여자: 50세 이상의 고령자 6016명(평균 연령: 66세)
  • 데이터 수집: 영국 고령화 연구(ELSA)의 6차 웨이브(2012년)와 7차 웨이브(2014년)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측정 항목

  1. 일화 기억 평가
    • 단어 목록 회상 테스트를 사용. 10개의 단어를 읽고 즉각적 및 지연된 회상을 평가
    • 점수 범위: 0점에서 20점(점수가 높을수록 더 나은 기억 성능)
  2. 성생활 빈도
    • 설문을 통해 지난 한 달 동안 성생활(성교, 자위, 애무 포함) 빈도를 평가
    • 성생활이 없는 경우 "전혀 없음"으로 점수를 부여
  3. 정서적 친밀감
    • 지난 3개월 동안 성관계 중 느낀 정서적 친밀감을 1점(거의 없음)에서 5점(항상 있음)으로 평가
  4. 통제 변수
    • 나이, 성별, 교육 수준, 운동 빈도, 수면의 질, 식습관(과일·채소 섭취), TV 시청 시간, 흡연 및 음주 여부

데이터 분석

  • 선형 회귀 분석: 성생활 빈도와 정서적 친밀감이 일화 기억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 조절 효과 검증: 나이와 성별이 연관성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분석

 

연구 결과

  1. 성생활 빈도와 일화 기억

    • 성생활 빈도가 높은 참여자는 현재 일화 기억 점수가 더 높았음
    • 특히, 60세 이상에서 성생활 빈도와 기억 성능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남
    • 이는 성생활이 뇌 건강 유지에 중요한 요소일 가능성
  2. 정서적 친밀감과 기억 성능

    • 정서적 친밀감이 높은 성생활은 현재와 2년 후의 기억 성능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
    • 이는 친밀한 관계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뇌 건강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
  3. 인지 저하와의 관계

    • 2년 동안 성생활 빈도와 정서적 친밀감은 인지 저하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이는 성생활이 인지 저하 예방보다는 현재의 기억 성능 유지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Sexual Activity and Memory Performance

    • 성생활 빈도는 현재 일화 기억 성능(Concurrent, T1)과 긍정적인 연관이 있으며, 회귀 계수 β값은 0.10으로 나타났다.
    • 추후 기억 성능(Subsequent, T2) 및 변화(Change, T2-T1)와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2. Emotional Closeness and Memory Performance

    • 정서적 친밀감은 현재 일화 기억 성능(Concurrent, T1)과 추후 기억 성능(Subsequent, T2)에서 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회귀 계수 β값은 각각 0.16과 0.15로 나타났다.
    • 변화(Change, T2-T1)에서도 양의 값을 보였으나, 비교적 낮은 영향력(β=0.07)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론

성생활과 정서적 친밀감은 고령자의 일화 기억 성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60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이러한 연관성이 두드러지며, 이는 나이가 들수록 성생활이 뇌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성생활이나 정서적 친밀감이 인지능력 저하를 늦추는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긴 연구 기간과 다양한 인지 평가가 필요하다.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40 Votes0
    read more
  2. 670nm 근적외선이 망막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83 Votes0 file
    Read More
  3.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에 670nm 빛이 미치는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75 Votes0 file
    Read More
  4. 670nm 빛이 노화된 시력을 회복시킨다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1 Views769 Votes0 file
    Read More
  5. 수면 자세가 녹내장에 미치는 영향: 시야 손실과의 연관성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0 Votes0 file
    Read More
  6. 간헐적 단식, 체중 감량 효과 뒤에 숨겨진 모발 손상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0 Votes0 file
    Read More
  7. 침대 머리 높이기 vs 베개 사용: 안압 관리 방법 비교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80 Votes0 file
    Read More
  8. 수면 자세와 녹내장: 머리 높이 30도 조절의 안압 감소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9.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S) 환자에서 야간 안압 변동: 녹내장 위험성과의 관계 분석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95 Votes0 file
    Read More
  10. 수면 자세별 안압 상승 위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40 Votes0 file
    Read More
  11. 고령자의 성생활이 뇌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분석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74 Votes0 file
    Read More
  12. 성경험이 해마 신경 생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호르몬과 신경 건강의 새로운 관계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74 Votes0 file
    Read More
  13. 중년기의 성적 경험이 신경 세포 생성과 기억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77 Votes0 file
    Read More
  14. 성적 활동과 인지 기능의 관계: 노년층의 언어 유창성과 시공간 능력 향상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81 Votes0 file
    Read More
  15. 만성 스트레스와 해마 손상: 성적 활동의 회복 효과와 신경세포 생존 증가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4 Votes0 file
    Read More
  16. 밤빛 노출과 사망 위험: 생체리듬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78 Votes0 file
    Read More
  17. 고폴리페놀 지중해식(Green-MED) 식단과 운동이 노화로 인한 뇌 위축을 예방하는 방법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5 Votes0 file
    Read More
  18. 요리와 건강: 조리 방법별 실내 공기 오염 영향 연구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1 Votes0 file
    Read More
  19. BROAD vs 표준 광치료: 계절성 우울증 증상 개선 연구 결과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89 Votes0 file
    Read More
  20. 광치료 vs 인지행동치료: 계절성 우울증 단기 효과 비교 연구 요약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78 Votes0 file
    Read More
  21. 광치료로 대학생 우울증 완화: 수면 개선과 집중력 향상 효과 확인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82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