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Effect of sleeping in a head-up position on intraocular pressure in patients with glaucoma (2010)

https://doi.org/10.1016/j.ophtha.2009.11.015

 

해당 논문은 환자가 수면 중 머리를 30도 올린 자세를 취했을 때 야간 안압 상승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 방법이 녹내장의 진행을 억제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을 탐구한 연구이다. 녹내장은 시신경 손상과 시야 상실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안압(Intraocular Pressure, IOP)은 녹내장의 진행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누운 자세에서는 안압이 최대 6 mmHg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정상인뿐만 아니라 녹내장 환자에서도 관찰된다. 이러한 안압 상승은 공막 정맥압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녹내장 진행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

 

연구 방법

  1. 대상자 선정

    • 대상자는 안압이 적절히 조절되고 있으나 시신경 출혈(Disc Hemorrhage)이 새롭게 발생한 녹내장 환자 17명으로 선정되었다.
    • 평균 나이 65.4세, 남성 8명, 여성 9명
    • 환자는 평균적으로 2.6개의 녹내장 약물을 사용하고 있었다(최소 1개, 최대 4개).
    • 제외 기준: 각막 질환, 누운 자세 불가 환자
  2. 실험 설계

    • 실험은 2일에 걸쳐 동일한 환경의 수면 연구소에서 진행되었다.
    • 첫 번째 밤: 환자는 평평한 자세에서 수면
    • 두 번째 밤: 머리를 30도 올린 자세에서 수면(특수 제작된 경사 베개 사용)
    • 수면 시간은 22시부터 8시까지였으며, 2시간 간격으로 안압과 혈압을 측정했다.
  3. 측정 방법

    • 안압(Primary Outcome): Tonopen 장비를 이용하여 각 측정 시점마다 두 번의 측정을 평균화
    • 혈압(Secondary Outcome): 자동 혈압계를 사용하여 수축기혈압(SBP), 이완기혈압(DBP), 평균혈압(MBP) 측정
    • 안구 관류 압력(OPP): 기존 공식에 따라 계산
    • 측정 시간: 깨어 있는 시간(18시, 20시, 22시, 8시)과 수면 시간(자정, 2시, 4시, 6시)으로 구분

 

연구 결과

  1. 야간 안압 변화

    • 자정부터 오전 6시까지의 평균 안압
      • 평평한 자세: 18.6 mmHg
      • 30도 자세: 15.4 mmHg
    • 평균적으로 3.2 mmHg 감소(P=0.03),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7명 중 16명(94.1%)이 30도 자세에서 낮은 안압을 보였다.
    • 35%의 환자는 안압이 20% 이상 감소
  2. 깨어 있는 시간의 안압

    • 18시, 20시, 22시, 8시 측정 시 두 자세 간 차이는 없었다.
  3. 혈압 및 관류 압력

    • 수축기혈압(SBP), 이완기혈압(DBP), 평균혈압(MBP), 안구 관류 압력(OPP)은 두 자세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ig3.jpg

 

그래프 설명

  1. 그래프 구성

    • X축은 실험에 참여한 개별 환자를 나타낸다.
    • Y축은 평균 야간 안압(mmHg)을 표시한다.
    • 각 환자에 대해 두 개의 막대 또는 점이 존재하며, 하나는 평평한 자세의 안압, 다른 하나는 30도 자세의 안압을 나타낸다.
  2. 주요 관찰 결과

    • 대부분의 환자(94.1%)에서 30도 자세가 평평한 자세보다 낮은 안압을 보였다.
    • 30도 자세에서의 평균 안압이 평평한 자세에 비해 일정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약 35%의 환자는 30도 자세에서 안압이 20% 이상 감소했다.
  3. 결론

    • 그래프는 30도 자세가 야간 안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임을 시각적으로 증명한다.
    • 개별 환자마다 안압 감소의 정도가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에서 30도 자세가 유의미한 안압 감소를 보였다.

 

연구 결론

머리를 30도 올린 자세에서 수면한 환자는 평평한 자세에서 수면한 경우보다 평균 3.2 mmHg 낮은 야간 안압을 보였다. 이 자세 변화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으로 야간 안압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녹내장의 진행을 억제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장기적 효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640 0
86 670nm 근적외선이 망막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08 83 0
85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에 670nm 빛이 미치는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08 75 0
84 670nm 빛이 노화된 시력을 회복시킨다 1 file 서플팩트 2024.12.08 769 0
83 수면 자세가 녹내장에 미치는 영향: 시야 손실과의 연관성 file 서플팩트 2024.12.08 100 0
82 간헐적 단식, 체중 감량 효과 뒤에 숨겨진 모발 손상 file 서플팩트 2024.12.08 140 0
81 침대 머리 높이기 vs 베개 사용: 안압 관리 방법 비교 file 서플팩트 2024.12.08 80 0
» 수면 자세와 녹내장: 머리 높이 30도 조절의 안압 감소 효과 Effect of sleeping in a head-up position on intraocular pressure in patients with glaucoma (2010) https://doi.org/10.1016/j.ophtha.2009.11.015 해당 논... file 서플팩트 2024.12.08 109 0
79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S) 환자에서 야간 안압 변동: 녹내장 위험성과의 관계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2.07 95 0
78 수면 자세별 안압 상승 위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07 1240 0
77 고령자의 성생활이 뇌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2.03 74 0
76 성경험이 해마 신경 생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호르몬과 신경 건강의 새로운 관계 file 서플팩트 2024.12.03 74 0
75 중년기의 성적 경험이 신경 세포 생성과 기억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2.03 77 0
74 성적 활동과 인지 기능의 관계: 노년층의 언어 유창성과 시공간 능력 향상 file 서플팩트 2024.12.03 81 0
73 만성 스트레스와 해마 손상: 성적 활동의 회복 효과와 신경세포 생존 증가 file 서플팩트 2024.12.03 114 0
72 밤빛 노출과 사망 위험: 생체리듬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2.02 78 0
71 고폴리페놀 지중해식(Green-MED) 식단과 운동이 노화로 인한 뇌 위축을 예방하는 방법 file 서플팩트 2024.12.02 95 0
70 요리와 건강: 조리 방법별 실내 공기 오염 영향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2.02 91 0
69 BROAD vs 표준 광치료: 계절성 우울증 증상 개선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01 89 0
68 광치료 vs 인지행동치료: 계절성 우울증 단기 효과 비교 연구 요약 file 서플팩트 2024.12.01 78 0
67 광치료로 대학생 우울증 완화: 수면 개선과 집중력 향상 효과 확인 file 서플팩트 2024.12.01 82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