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조회 수 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Treatment with 670 nm Light Up Regulates Cytochrome C Oxidase Expression and Reduces Inflammation in a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Model (201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57828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안질환인 황반변성(AMD)은 눈의 중심 시야를 담당하는 황반 부위의 세포 손상 및 염증으로 인해 시력 감퇴를 유발한다. 이 연구는 670nm 파장의 빛이 AMD를 앓는 모델 마우스에서 염증을 줄이고 미토콘드리아 효소 발현을 증가시켜, 세포 손상을 완화하는지 평가했다. 특히, 기존 연구와 달리 이번 실험에서는 직접적인 빛 노출 없이 환경 조명으로 빛을 제공했음에도 치료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했다.

 

쉬운 요약

  • 670nm 빛이 ‘미토콘드리아를 깨우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고 비유할 수 있다. 빛을 받은 그룹에서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COX)가 활성화되면서 마치 휴면 상태였던 세포 에너지가 다시 작동을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 배경

AMD와 노화

  • AMD는 황반 부위의 기능 저하로 중심 시야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주로 노화에 의해 발생하며, 염증 및 세포 손상이 핵심 특징이다.
  • AMD의 주요 원인
    • 산화적 스트레스: 고도의 대사 활동을 하는 망막세포가 노화와 함께 ATP 생산 감소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겪는다.
    • 염증 반응: 나이가 들수록 염증 관련 단백질(C3)과 같은 보체 단백질의 축적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세포 손상이 가속화된다.
    •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 미토콘드리아의 효율이 떨어지면서 세포 내 에너지 생산이 감소하고, 이는 염증과 산화적 손상을 유발한다.

670nm 빛의 역할

  •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COX)의 활성화: COX는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조절하며 ATP 생산을 담당하는 핵심 효소다. 670nm 빛은 COX를 활성화하여 ATP 생산을 증가시키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한다.
  • 치료 가능성: 이전 연구에서도 670nm 빛이 정상 노화 마우스에서 염증 지표를 감소시키고 망막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AMD를 모사한 마우스 모델에서 같은 효과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

실험 대상

  • 대상 동물
    • 16개월 된 CFH 결핍 마우스(CFH⁻/⁻) 29마리
    • 이 마우스는 AMD 환자의 약 50%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변형을 반영하며, 염증과 황반 손상 증상을 나타낸다.

실험 설계

  • 빛 노출 그룹
    • 하루 6분, 2회씩, 총 14일 동안 670nm 파장의 LED 빛을 환경 조명 형태로 제공
    • 빛은 마우스가 빛 앞에 직접 위치하지 않아도 반사된 빛이 도달하도록 설계된 케이지에서 조사
  • 대조군
    • 동일한 환경에서 670nm 빛 없이 생활

분석 방법

  • 염증 지표 측정: C3(보체 단백질), GFAP(글리아 섬유성 산성 단백질), Vimentin(망막 스트레스 단백질) 발현 정도를 면역염색과 qPCR로 분석
  • 미토콘드리아 효소 발현: COX 발현 정도를 qPCR과 Western blot으로 분석
  • 대식세포 변화: RPE(망막색소상피) 대식세포의 수, 돌기 길이, 돌기 수, 세포 크기 등을 면역염색으로 분석
  • 아밀로이드 베타(Aβ) 침착: Bruch’s 막에서 Aβ 축적 여부를 분석

 

연구 결과

1. 미토콘드리아 효소 발현 증가

  • COX 발현 증가
    • 빛 노출 그룹에서 COX 발현이 약 50% 증가
    • Western blot과 qPCR 결과에서 동일한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빛이 미토콘드리아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2. 염증 반응 감소

  • C3 발현 감소
    • Bruch’s 막에서의 C3 축적이 약 50% 감소
    • 광수용체 외층에서 C3 발현이 약 20% 감소
    • qPCR 결과에서도 C3 발현이 약 50% 감소
  • 망막 스트레스 감소
    • 뮐러 세포 스트레스 마커인 GFAP와 Vimentin 발현이 빛 처리 후 유의미하게 감소
    • 뮐러 세포 돌기 수와 길이가 감소, 이는 빛 치료 후 망막의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졌음을 의미

3. 대식세포 형태 변화

  • 돌기 길이 증가
    • 대식세포 돌기 길이가 27μm에서 54μm로 약 2배 증가
    • 돌기 수와 돌기 영역 크기 또한 유의미하게 증가
  • 세포 크기 감소: 대식세포의 세포체 크기가 작아져 더 활동적인 형태로 변화.
  • 세포 간 거리 증가: 대식세포 간 평균 거리가 91μm에서 151μm로 증가.

4. 아밀로이드 베타(Aβ) 변화 없음

  • Aβ 침착 변화 없음: Bruch’s 막에서 Aβ 축적량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염증 감소가 Aβ 축적과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

 

fig3.jpg

 

미토콘드리아 COX 발현 증가

  • COX 발현 비교

    • 670nm 빛을 받은 마우스 그룹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망막을 면역염색(immunostaining)으로 관찰한 결과, 빛 처리 그룹에서 COX 발현이 명확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COX는 주로 광수용체 내층(Photoreceptor Inner Segment)과 외핵층(Outer Plexiform Layer)에서 발현되며, 빛 노출 후 해당 영역에서 염색 강도가 현저히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 정량 분석

    • qPCR 및 Western blot 결과를 통해 COX 발현이 빛 노출 후 약 50% 증가했음이 통계적으로 입증되었다.

핵심 포인트

  1. 미토콘드리아 활성화의 증거

    • COX는 미토콘드리아에서 ATP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로, 발현 증가가 ATP 생산량의 증가 및 세포 대사 활성화를 나타낸다.
    • 이는 670nm 빛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개선해 세포의 에너지 상태를 회복시킨다는 것을 강력히 뒷받침한다.
  2. 염증 감소와의 연관성

    • COX 활성화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COX 발현 증가는 염증 지표(C3, GFAP, Vimentin)의 감소와 직접적으로 연관될 가능성이 크다.

 

연구 결론

이 연구는 670nm 파장의 빛이 AMD 모델에서 염증을 억제하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임을 입증했다. 특히, 환경 조명 형태로 빛을 제공했음에도 치료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향후 비침습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AMD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인간 대상 임상 연구를 통해 치료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Who's 서플팩트

profile

서플팩트 - 과학적으로 검증된 정보로 건강을 챙기세요

쿠팡에서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link.coupang.com/a/bMmBJI

아이허브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www.iherb.com
값싼 영양제 제품 찾기 - https://cheaplifer.com/cheapsup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Atachment
첨부 '1'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40 Votes0
    read more
  2. 670nm 근적외선이 망막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83 Votes0 file
    Read More
  3.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에 670nm 빛이 미치는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75 Votes0 file
    Read More
  4. 670nm 빛이 노화된 시력을 회복시킨다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1 Views769 Votes0 file
    Read More
  5. 수면 자세가 녹내장에 미치는 영향: 시야 손실과의 연관성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0 Votes0 file
    Read More
  6. 간헐적 단식, 체중 감량 효과 뒤에 숨겨진 모발 손상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0 Votes0 file
    Read More
  7. 침대 머리 높이기 vs 베개 사용: 안압 관리 방법 비교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80 Votes0 file
    Read More
  8. 수면 자세와 녹내장: 머리 높이 30도 조절의 안압 감소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9.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S) 환자에서 야간 안압 변동: 녹내장 위험성과의 관계 분석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95 Votes0 file
    Read More
  10. 수면 자세별 안압 상승 위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40 Votes0 file
    Read More
  11. 고령자의 성생활이 뇌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분석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74 Votes0 file
    Read More
  12. 성경험이 해마 신경 생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호르몬과 신경 건강의 새로운 관계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74 Votes0 file
    Read More
  13. 중년기의 성적 경험이 신경 세포 생성과 기억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77 Votes0 file
    Read More
  14. 성적 활동과 인지 기능의 관계: 노년층의 언어 유창성과 시공간 능력 향상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81 Votes0 file
    Read More
  15. 만성 스트레스와 해마 손상: 성적 활동의 회복 효과와 신경세포 생존 증가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4 Votes0 file
    Read More
  16. 밤빛 노출과 사망 위험: 생체리듬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78 Votes0 file
    Read More
  17. 고폴리페놀 지중해식(Green-MED) 식단과 운동이 노화로 인한 뇌 위축을 예방하는 방법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5 Votes0 file
    Read More
  18. 요리와 건강: 조리 방법별 실내 공기 오염 영향 연구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1 Votes0 file
    Read More
  19. BROAD vs 표준 광치료: 계절성 우울증 증상 개선 연구 결과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89 Votes0 file
    Read More
  20. 광치료 vs 인지행동치료: 계절성 우울증 단기 효과 비교 연구 요약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78 Votes0 file
    Read More
  21. 광치료로 대학생 우울증 완화: 수면 개선과 집중력 향상 효과 확인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82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