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조회 수 8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650-nm Red-Light Feeding Instruments in the Control of Myopia (2023)

https://doi.org/10.1159/000529819

 

해당 논문은 650nm 적색광 장치가 근시 진행 억제 및 조절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설계된 연구이다. 근시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가장 흔한 시각적 질환 중 하나로, 방치되면 심각한 시력 저하와 합병증(망막 박리, 녹내장, 황반 출혈 등)을 초래할 수 있다. 기존 안경, 약물, 기타 광학 치료법과 비교했을 때 적색광 치료법은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 방법

  1. 대상

    • 총 164명의 6~18세 근시 학생이 참여
    • 경도~중등도 근시군(SER ≤-0.5D ~ >-6.0D)과 고도 근시군(SER ≤-6.0D)으로 나누어 분석
    • 경도~중등도 근시군은 다시 적색광 치료군(RLMM)과 단일초점안경군(SVSMM)으로 분류
  2. 치료 방식

    • 적색광 치료군(RLMM, RLS)은 650nm 적색광 장치를 하루 2회, 한 번에 3분씩 사용(주 5일)
    • 치료 후 2분간 눈을 감고 쉬도록 함
    • 모든 참여자는 연구 기간 동안 최적의 도수 안경을 착용
    • 단일초점안경군(SVSMM)은 적색광 치료 없이 안경만 착용
  3. 평가 지표

    • 안구 축장(Axial Length, AL): 안구의 길이를 측정하여 근시 진행 속도를 파악
    • 구면 굴절치(Spherical Equivalent, SER): 굴절 상태를 분석하여 근시 정도를 평가
    • AL/CR 비율: 축장과 각막 곡률 반경의 비율로 근시 진행 정도를 세밀하게 분석
  4. 데이터 분석

    •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 치료 전후의 축장 변화, 구면 굴절치 변화 등을 비교하며,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함(p < 0.05)

 

연구 결과

  1. 안구 축장 변화:

    • 단일초점안경군(SVSMM): 평균 0.08mm 증가
    • 경도~중등도 적색광 치료군(RLMM): 평균 -0.03mm 감소
    • 고도 근시 적색광 치료군(RLS): 평균 -0.07mm 감소
    • 결과적으로, 고도 근시군에서 가장 효과가 컸음(p < 0.001)
  2. 구면 굴절치(SER) 변화

    • RLMM과 RLS 모두 SER 변화에서 안구 축장 억제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고도 근시군에서의 효과가 더 두드러짐
  3. 연령별 효과

    • 연령(6~12세, 13~18세)에 따른 치료 효과 차이는 크지 않음
    • 이는 적색광 장치가 모든 연령대에서 유사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시사
  4. 안구 구조적 변화

    • 적색광 치료 후 맥락막 두께 증가가 관찰됨
    • 맥락막 두께 증가는 산소 및 영양 공급을 개선하며, 근시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추가 발견 및 부작용

  1. 추가 발견

    • 장치의 효과는 안구 길이가 긴 경우에 더 컸음
      • 안구 길이 24mm 이상의 참가자: 평균 -0.19mm 감소
      • 안구 길이 24mm 이하의 참가자: 평균 -0.02mm 감소
    • 이는 고도 근시 환자에게 적색광 장치가 더욱 적합하다는 점을 보여줌
  2. 부작용

    • 가장 흔한 부작용은 시각적 잔상(afterimage)으로, 이는 치료 후 잠시 눈을 감고 쉬는 것으로 완화됨
    • 현재까지 보고된 장기적인 부작용은 없으나, 장기간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Axial Length Changes (mm)
    단일초점안경군(SVSMM)에서는 축장이 증가(0.08mm)했지만, 적색광 치료군(RLMM, RLS)에서는 축장이 감소(-0.03mm, -0.07mm)했다. 특히 고도 근시군(RLS)에서 억제 효과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2. Spherical Equivalent Changes (D)
    구면 굴절치(SER) 변화는 적색광 치료군(RLMM, RLS)에서 동일하게 약간의 감소(0.06D)를 보였고, 안경군(SVSMM)에서는 더 큰 감소(-0.26D)가 관찰되었다.

  3. AL/CR Ratio Changes
    적색광 치료군(RLMM, RLS)에서는 AL/CR 비율이 감소(-0.01, -0.02)했고, 안경군(SVSMM)에서는 소폭 증가(0.04)했다.

 

결론 및 제언

  • 결론

    • 650nm 적색광 장치는 근시 진행 억제에 효과적이며, 특히 고도 근시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으로 입증됨

    • 안구 축장 증가 억제, 맥락막 두께 증가 등 긍정적인 구조적 변화를 유도
    • 치료 효과는 연령이나 초기 근시 정도와 상관없이 나타남
  • 제언

    • 장기적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대규모, 장기 연구가 필요함
    • 적색광 치료를 기존 안경 및 약물 치료와 병행할 경우의 추가 효과를 연구할 가치가 있음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97 Votes0
    read more
  2. 650nm 적색광 치료의 근시 억제 효과

    Date2024.1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0 Votes0 file
    Read More
  3. 670nm 광선 치료: 황반변성 염증 억제 효과

    Date2024.1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217 Votes0 file
    Read More
  4. 670nm 근적외선,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로 시력 보호

    Date2024.1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2 Votes0 file
    Read More
  5. 670nm 빛의 염증 억제 효과, 노화된 눈을 살리다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80 Votes0 file
    Read More
  6. 670nm 근적외선이 망막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7 Votes0 file
    Read More
  7. 노화로 인한 황반변성에 670nm 빛이 미치는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9 Votes0 file
    Read More
  8. 670nm 빛이 노화된 시력을 회복시킨다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1 Views1183 Votes0 file
    Read More
  9. 수면 자세가 녹내장에 미치는 영향: 시야 손실과의 연관성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18 Votes0 file
    Read More
  10. 간헐적 단식, 체중 감량 효과 뒤에 숨겨진 모발 손상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0 Votes0 file
    Read More
  11. 침대 머리 높이기 vs 베개 사용: 안압 관리 방법 비교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3 Votes0 file
    Read More
  12. 수면 자세와 녹내장: 머리 높이 30도 조절의 안압 감소 효과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11 Votes0 file
    Read More
  13.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S) 환자에서 야간 안압 변동: 녹내장 위험성과의 관계 분석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238 Votes0 file
    Read More
  14. 수면 자세별 안압 상승 위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58 Votes0 file
    Read More
  15. 고령자의 성생활이 뇌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분석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83 Votes0 file
    Read More
  16. 성경험이 해마 신경 생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호르몬과 신경 건강의 새로운 관계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1 Votes0 file
    Read More
  17. 중년기의 성적 경험이 신경 세포 생성과 기억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286 Votes0 file
    Read More
  18. 성적 활동과 인지 기능의 관계: 노년층의 언어 유창성과 시공간 능력 향상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1 Votes0 file
    Read More
  19. 만성 스트레스와 해마 손상: 성적 활동의 회복 효과와 신경세포 생존 증가

    Date2024.1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0 Votes0 file
    Read More
  20. 밤빛 노출과 사망 위험: 생체리듬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321 Votes0 file
    Read More
  21. 고폴리페놀 지중해식(Green-MED) 식단과 운동이 노화로 인한 뇌 위축을 예방하는 방법

    Date2024.12.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272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