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조회 수 1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The Metabolic Syndrome, Inflammation, and Risk of Cognitive Decline (2004)

https://doi.org/10.1001/jama.292.18.2237

 

대사 증후군은 복부 비만,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HDL 콜레스테롤, 고혈압, 고혈당의 5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이 연구는 대사 증후군이 노인의 인지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며, 염증 수준이 이러한 관계를 어떻게 조정하는지 조사했다. 대사 증후군과 염증은 개별적으로도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며, 두 요인이 결합될 경우 인지 저하 위험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연구 배경

  • 대사 증후군의 구성 요소와 인지 저하

    • 고혈압: 중년 및 노년기에 혈압이 높으면 치매 및 인지 저하 위험 증가
    • 고혈당: 당뇨병은 신경퇴행 및 혈관성 치매와 관련 있음
    •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은 뇌 염증과 혈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
    • 이상지질혈증: LDL 수치 상승과 HDL 수치 감소가 뇌혈관 질환 위험을 증가시킴
  • 염증의 역할

    • 염증성 바이오마커(CRP, IL-6)는 대사 증후군의 병리학적 영향을 강화할 수 있음
    • 염증은 당뇨병, 죽상동맥경화증, 신경염증 등을 통해 인지 기능 저하를 촉진

 

연구 방법

  • 대상자

    • 총 2,632명의 평균 연령 74세 노인 대상
    • 흑인(40%)과 백인(60%)으로 구성된 다인종 집단
    • 모집 기준: 일상 활동에 어려움이 없는 건강한 노인
    • 제외 기준: 치매 진단, 암 치료 중, 최근 심각한 질병 등
  • 연구 설계

    • 1997~2002년 동안 진행된 5년 추적 관찰 연구
    • 대사 증후군과 염증 수준을 기준으로 대상자를 그룹화
    • 인지 기능 측정: 3MS(수정된 미니 정신상태 검사)
  • 측정 항목

    • 대사 증후군

      • 복부 비만 (여성: 허리 둘레 > 88cm, 남성: > 102cm)
      • 중성지방 ≥ 150mg/dL
      • HDL 콜레스테롤 (여성: < 50mg/dL, 남성: < 40mg/dL)
      • 고혈압 (수축기 ≥ 130mmHg 또는 이완기 ≥ 85mmHg)
      • 고혈당 (공복 혈당 ≥ 110mg/dL)
    • 염증 수준

      • CRP ≥ 2.0mg/L
      • IL-6 ≥ 2.0pg/mL
    • 인지 저하 정의

      • 3MS 점수가 5점 이상 감소

 

연구 결과

1. 대사 증후군과 인지 저하

  • 대사 증후군이 있는 노인의 인지 저하 위험은 없는 노인보다 20% 더 높았다.
  • 대사 증후군이 없는 노인의 인지 저하 비율은 21%였으나, 대사 증후군이 있는 경우 26%로 증가

2. 염증 수준과의 상호작용

  • 염증 수준에 따라 대사 증후군의 인지 저하 영향이 달라졌다.
    • 높은 염증 수준: 대사 증후군과 높은 염증이 결합된 노인은 인지 저하 위험이 66% 증가
    • 낮은 염증 수준: 대사 증후군이 있어도 염증이 낮으면 인지 저하 위험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음

3. 인종 및 성별 차이

  • 흑인과 백인 모두에서 높은 염증 수준의 대사 증후군 노인은 인지 저하 위험이 더 컸다.
  • 성별 간 큰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음

4. 시간 경과에 따른 인지 변화

  • 5년 동안 대사 증후군이 없는 그룹은 3MS 점수 감소가 적었으나, 대사 증후군과 높은 염증을 가진 그룹은 더 큰 점수 감소를 보였다.

5. 추가적인 주요 발견

  • 대사 증후군 구성 요소 수: 대사 증후군 요소를 3개 충족한 경우보다 4~5개 충족한 경우 인지 저하 위험이 더 컸음
  • 염증 수준: CRP와 IL-6 수준이 높을수록 인지 저하 위험이 증가

 

output.png

 

대사 증후군과 염증 수준에 따른 인지 저하와 3MS 점수 변화

  1. Cognitive Impairment by Metabolic Syndrome and Inflammation Levels

    • 대사 증후군과 염증 수준에 따라 인지 저하율을 나타냈다.
    • 대사 증후군이 없고 염증이 낮은 그룹의 인지 저하율은 21%였으나, 대사 증후군이 있고 높은 염증을 가진 그룹은 30%로 증가했다.
  2. Change in 3MS Score Over Time

    • 3MS 점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다.
    • 대사 증후군이 없는 그룹은 점수 감소가 더 적었고, 대사 증후군 그룹에서는 더 큰 감소를 보였다.

 

연구 결론

대사 증후군은 노인의 인지 저하를 가속화하며, 특히 염증 수준이 높을 때 그 위험이 극대화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염증이 낮을 경우 대사 증후군의 인지 저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염증 관리를 통해 인지 저하 위험을 줄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대사 증후군 예방과 염증 조절은 뇌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40 Votes0
    read more
  2. 운동과 게임의 결합, 노인의 인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Date2025.03.3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3. 저녁형 인간이 우울감을 더 자주 느끼는 과학적 이유

    Date2025.03.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5 Votes0 file
    Read More
  4. 하루 4g의 계피, 혈당과 중성지방 관리에 도움될 수 있다

    Date2025.03.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5. 자연을 보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줄어든다

    Date2025.03.1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6. 임신 중 모체의 대사 건강이 태아의 비만 위험을 결정한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7. 임신 초기 비만, 자녀의 정신 및 행동 장애와 연관 있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6 Votes0 file
    Read More
  8. ADHD와 자폐증 위험을 높이는 의외의 요인: 임신 중 서구식 식단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3 Votes0 file
    Read More
  9. 향신료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법

    Date2025.03.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0. 장내 유익균을 늘리는 방법 - 향신료 섭취의 과학적 근거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1. 향신료가 장내 환경을 바꾼다? 박테로이데스와 비피도박테리움 변화 분석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2. 요거트와 장내 세균, 대장암 예방 효과 연구 결과

    Date2025.02.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3. 정신질환의 유전적 원인: 신경 발달과 단백질 네트워크의 숨겨진 역할

    Date2025.02.1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14. 미세플라스틱이 혈관을 막아 뇌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0 Votes0 file
    Read More
  15. 근육 속 지방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BMI와 내장지방보다 더 중요한 건강 지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2 Votes0 file
    Read More
  16. 부모 이혼이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 연구 결과 분석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89 Votes0 file
    Read More
  17. 치매 환자의 뇌에서 미세플라스틱 5배 더 검출, 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8. 코로나19 감염 후 치매 위험 증가? 알츠하이머와의 연관성 연구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19. 커피는 언제 마셔야 할까? 아침 커피가 건강에 더 좋은 이유

    Date2025.0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5 Votes0 file
    Read More
  20. IL-6와 뇌 건강: 염증이 인지 능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21. 염증과 대사 증후군, 뇌 건강을 위협한다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7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