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A single serving of mixed spices alters gut microflora composition: a dose–response randomised trial (2021)

https://doi.org/10.1038/s41598-021-90453-7

 

해당 논문은 일회성 혼합 향신료 섭취가 장내 미생물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식이 패턴이 장내 미생물군(microbiome)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폴리페놀(polyphenols)이 풍부한 식품이 특정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단일 향신료 또는 개별 폴리페놀 성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혼합 향신료를 실제 음식 형태로 섭취했을 때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급성 효과를 연구한 사례는 적었다. 이에 연구진은 다양한 향신료가 포함된 한 끼 식사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 대상: 15명의 건강한 싱가포르 중국인 남성

  • 평균 연령: 23.5 ± 2.4세
  • 평균 BMI: 22.9 ± 2.2 kg/m²
  • 연구 참가자는 실험 전에 인도 향신료를 자주 섭취하지 않는 사람들로 선정됨

2. 실험 설계

  1. D0C (대조군, Dose 0 Control)

    • 향신료가 포함되지 않은 식사
    • 저폴리페놀 식단 (폴리페놀이 거의 포함되지 않음)
  2. D1C (저용량 향신료, Dose 1 Curry)

    • 6g의 혼합 향신료가 포함된 식사
    • 향신료 구성: 강황(turmeric), 커민(cumin), 고수(coriander), 암라(Indian gooseberry), 계피(cinnamon), 정향(clove), 카옌페퍼(cayenne pepper)
  3. D2C (고용량 향신료, Dose 2 Curry)

    • 12g의 혼합 향신료가 포함된 식사
    • 향신료 구성은 D1C와 동일하되 양이 두 배

3. 실험 과정

  1. 사전 식단 조절 (Run-in Period, 연구 시작 전 3일간)

    • 연구 시작 전 참가자들은 폴리페놀이 포함된 음식을 제한
    • 연구진이 제공한 식단 가이드라인에 따라 향신료 및 특정 식품(차, 커피, 과일 등)을 피하도록 함
  2. 본 실험 (Day 1)

    • 참가자들은 실험 전날(Day 0)에 첫 번째 대변 샘플을 제공
    • 실험 당일(Day 1) 아침 공복 상태에서 무작위로 배정된 실험 식사를 섭취
    • 이후 일정 시간 동안 혈액 및 소변 샘플을 채취하여 폴리페놀 대사 산물 분석
  3. 후속 대변 샘플 채취 (Day 2)

    • 실험 식사를 섭취한 후 48시간이 지난 시점(Day 2)에 두 번째 대변 샘플을 채취
    • 실험 시작 전(Day 0)과 비교하여 장내 미생물의 변화를 분석

 

연구 결과

1. 장내 미생물 변화

향신료를 섭취한 그룹(D1C, D2C)과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D0C) 사이에서 장내 미생물 구성에 중요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 대조군(D0C)에서는 박테로이데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음
    • 향신료를 섭취한 그룹(D1C, D2C)에서는 박테로이데스가 감소
    • D2C(고용량 그룹)에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임
  •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 대조군(D0C)에서는 비피도박테리움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음
    • 향신료를 섭취한 그룹(D1C, D2C)에서는 비피도박테리움이 증가
    • D2C(고용량 그룹)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임
  • 장내 미생물 다양성(Alpha Diversity)

    • 향신료 섭취 후 전체적인 장내 미생물 다양성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
    • 이는 장내 미생물이 단기적인 식이 변화에 적응할 수 있음을 시사

2. 혈장 및 소변 내 폴리페놀 대사 산물

  • 계피산(cinnamic acid, CNA)과 페닐아세트산(phenylacetic acid, PAA)이 증가
  • 박테로이데스는 CNA 및 PAA와 음의 상관관계
  • 비피도박테리움은 CNA 및 PAA와 양의 상관관계
  • 이는 폴리페놀이 장내 미생물군 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

 

fig3.jpg

 

혼합 향신료 섭취 후 장내 미생물 변화 분석

  1.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 대조군(D0C)에서는 박테로이데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음

    • 향신료를 포함한 식단(D1C, D2C)에서는 박테로이데스가 감소했으며, 특히 고용량 향신료 그룹(D2C)에서 감소 폭이 가장 큼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 (*p < 0.05)

  2.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 대조군(D0C)에서는 비피도박테리움이 감소

    • 향신료를 포함한 식단(D1C, D2C)에서는 비피도박테리움이 증가

    • 특히 고용량 향신료 그룹(D2C)에서 가장 큰 증가를 보였으며, 이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 (*p < 0.05)

  3. 기타 주요 변화

    • 특정 장내 세균군(예: 루미노코쿠스(Ruminococcus), 파스콜락토박테리움(Phascolarctobacterium) 등)도 향신료 섭취 후 변화하는 경향이 있었음

    • 고용량(D2C) 그룹에서 유익균의 증가, 유해균의 감소 경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남

 

연구 결론

  • 일회성 혼합 향신료 섭취만으로도 장내 미생물 조성이 변할 수 있음

  • 향신료 섭취는 박테로이데스를 억제하고, 비피도박테리움을 증가시켜 장내 미생물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
  • 이러한 변화는 폴리페놀의 장내 대사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향신료가 장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
  • 개인의 장내 미생물 조성에 따라 향신료 섭취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음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40 Votes0
    read more
  2. 운동과 게임의 결합, 노인의 인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Date2025.03.3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3. 저녁형 인간이 우울감을 더 자주 느끼는 과학적 이유

    Date2025.03.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5 Votes0 file
    Read More
  4. 하루 4g의 계피, 혈당과 중성지방 관리에 도움될 수 있다

    Date2025.03.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5. 자연을 보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줄어든다

    Date2025.03.1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6. 임신 중 모체의 대사 건강이 태아의 비만 위험을 결정한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7. 임신 초기 비만, 자녀의 정신 및 행동 장애와 연관 있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6 Votes0 file
    Read More
  8. ADHD와 자폐증 위험을 높이는 의외의 요인: 임신 중 서구식 식단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3 Votes0 file
    Read More
  9. 향신료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법

    Date2025.03.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0. 장내 유익균을 늘리는 방법 - 향신료 섭취의 과학적 근거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1. 향신료가 장내 환경을 바꾼다? 박테로이데스와 비피도박테리움 변화 분석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2. 요거트와 장내 세균, 대장암 예방 효과 연구 결과

    Date2025.02.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3. 정신질환의 유전적 원인: 신경 발달과 단백질 네트워크의 숨겨진 역할

    Date2025.02.1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14. 미세플라스틱이 혈관을 막아 뇌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0 Votes0 file
    Read More
  15. 근육 속 지방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BMI와 내장지방보다 더 중요한 건강 지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2 Votes0 file
    Read More
  16. 부모 이혼이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 연구 결과 분석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89 Votes0 file
    Read More
  17. 치매 환자의 뇌에서 미세플라스틱 5배 더 검출, 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8. 코로나19 감염 후 치매 위험 증가? 알츠하이머와의 연관성 연구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19. 커피는 언제 마셔야 할까? 아침 커피가 건강에 더 좋은 이유

    Date2025.0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5 Votes0 file
    Read More
  20. IL-6와 뇌 건강: 염증이 인지 능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21. 염증과 대사 증후군, 뇌 건강을 위협한다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7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