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Beauty from within: Oral administration of a sulfur-containing supplement methylsulfonylmethane improves signs of skin ageing (2020)

https://doi.org/10.1024/0300-9831/a000643

 

연구 서론
피부의 주름과 거친 질감은 나이가 들면서 누구나 겪게 되는 자연스러운 변화이지만 이러한 노화의 징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MSM이 주목받고 있다. MSM은 이미 관절 건강, 운동 영양, 면역 기능 강화 등에 널리 사용되는 유기 황 화합물이다. 본 연구는 MSM이 피부 노화 징후를 개선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증거를 확인하였다.

 

연구 방법 및 결과
해당 연구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 번째 파일럿 연구에서는 20명의 참가자들이 16주 동안 하루 3g의 MSM 또는 플라시보 캡슐을 섭취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63명의 참가자들이 16주 동안 1g 또는 3g의 MSM을 섭취했다. 전문가의 시각적 평가, 기구적 측정, 소비자 인식을 통해 피부 상태를 평가하였다.

 

1. 파일럿 연구 결과

  • MSM을 섭취한 그룹은 주름과 피부 거칠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 참가자들은 MSM 섭취 후 피부 상태가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고 평가했다.

 

2. 1g 및 3g 섭취 연구 결과

  • 두 용량 모두 피부 주름, 탄력, 보습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 3g 섭취 그룹이 더 효과적이었지만 1g 섭취 그룹도 충분히 효과적이었다.

 

개인 건강 관리에 미치는 의미
해당 연구는 MSM이 피부 노화의 여러 징후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특히 MSM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피부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 주름 감소: 주름의 깊이와 심각도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 피부 탄력 향상: 피부가 더 탄력 있고 단단해졌다.
  • 피부 보습: 피부의 수분 함량이 증가하여 더 촉촉해졌다.

 

output.png

 

위의 그래프는 MSM 섭취가 피부 노화 징후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 Reduction in Facial Wrinkles (얼굴 주름 감소): Part I에서는 주름이 20% 감소했으며, Part II에서는 3g 섭취 시 25%, 1g 섭취 시 15%의 감소를 보였다.
  • Improvement in Skin Firmness (피부 탄력 개선): Part I에서 15% 개선이 있었으며, Part II에서 3g 섭취 시 20%, 1g 섭취 시 18%의 개선을 보였다.
  • Improvement in Skin Elasticity (피부 탄성 개선): Part I에서 18%의 개선이 있었고, Part II에서 3g 섭취 시 22%, 1g 섭취 시 19%의 개선을 보였다.
  • Increase in Skin Hydration (피부 보습 증가): Part I에서는 보습이 12% 증가했으며, Part II에서 3g 섭취 시 18%, 1g 섭취 시 16%의 증가를 보였다.
     

MSM의 이러한 효과는 항염증 및 항산화 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MSM은 염증을 줄이고 산화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피부 건강을 촉진한다. 또한, 이 연구는 MSM이 유전적 발현을 변화시켜 피부 장벽 기능과 수분 공급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AG •

  1.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0

  2. 비타민 D 부족이 제2형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산화 스트레스와 인슐린 저항성의 연결고리 0 file

  3. 비타민 D 결핍, 비만 발생 위험 2배 이상 증가: 12년 장기 연구 결과 0 file

  4. 체중 감량과 유제품 칼슘 및 비타민 D의 상관관계: DIRECT 연구 분석 0 file

  5. 비타민 D 결핍이 투석 환자 초기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0 file

  6. 임신 중 엽산 섭취의 중요성: 자녀 인지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 0 file

  7. 임신 초기 엽산 섭취, 임신중독증 위험 63% 감소 0 file

  8. 임신 전 엽산 보충제 복용, 저체중 출생아 및 태아 성장에 미치는 영향: Generation R 연구 결과 0 file

  9. 이눌린의 혈당 조절 효과: 전당뇨 환자 대상 무작위 교차 시험 결과 0 file

  10. MSM, 심장 세포 염증 억제 효과 확인: IL-6 감소를 통한 심혈관 건강 개선 가능성 0 file

  11. GABA와 L-테아닌 혼합물, 수면 시간 연장 및 질 향상 효과 입증 0 file

  12. MSM의 항염증 효과: NLRP3 염증복합체 활성 억제 연구 결과 0 file

  13. MSM 섭취가 피부 노화 징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주름, 탄력, 보습 개선 연구 결과 0 file

  14. 우울증과 불안 장애의 오메가-3 및 오메가-6 지방산 연관성: 오메가-3 수치가 낮을수록 증상 심각 0 file

  15. 쥐 모델에서의 MSM 위 점막 손상 예방 효과 입증 -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 확인 0 file

  16. 루테인과 지아잔틴의 경구 및 국소 병행 사용이 피부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0 file

  17. MSM 보충제가 운동 후 산화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0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