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aurine supplementation on oxidative stress indices and inflammation biomarker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2020)
https://doi.org/10.1186/s13098-020-0518-7
타우린은 인체 조직에 풍부한 황 함유 아미노산으로, 주로 음식 섭취와 간에서 생성된 메티오닌 및 시스테인 반응으로 공급된다. 당뇨병은 만성 고혈당과 인슐린 저항성을 특징으로 하며,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이 주요 병리적 원인으로 작용한다. 연구자들은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타우린의 잠재적 이점에 주목하여 제2형 당뇨병(T2DM) 환자에서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검증했다.
연구 방법
-
연구 설계
- 연구는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 50명의 T2DM 환자가 타우린 그룹(26명)과 위약 그룹(24명)으로 나뉘어 8주간 진행되었다.
-
보충제 투여
- 타우린 그룹: 하루 3회, 1,000mg의 타우린 보충제 섭취
- 위약 그룹: 외형이 동일한 셀룰로오스 캡슐 섭취
-
평가 지표
- 산화 스트레스: 항산화 효소(SOD, CAT) 및 말론다이알데하이드(MDA) 측정
- 염증 지표: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hs-CRP),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인터루킨-6(IL-6) 농도 측정
- 혈액 샘플은 실험 전후로 채취하여 분석
-
기타 변수
- 참가자의 식이 섭취량 및 신체 활동 수준을 조절하여 연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최소화
연구 결과
-
산화 스트레스 개선
- 타우린 그룹에서 항산화 효소(SOD, CAT) 활성 증가
- SOD: 5.1% 증가 (p=0.004)
- CAT: 4.22% 증가 (p=0.001)
- MDA 감소: 타우린 그룹에서 26.33% 감소 (p=0.001), 위약 그룹에서는 6.11% 증가
- 타우린 그룹에서 항산화 효소(SOD, CAT) 활성 증가
-
염증 지표 감소
- hs-CRP: 16.01% 감소 (p=0.001), 위약 그룹에서는 10.73% 증가
- TNF-α: 11.65% 감소 (p=0.03), 위약 그룹에서는 6.06% 증가
- IL-6: 감소 경향은 있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음
-
안전성
- 타우린 보충에 따른 부작용이나 안전성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다.
타우린의 작용 메커니즘
-
산화 스트레스 완화
- 타우린은 활성 산소종(ROS)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소(SOD, CAT) 활성화를 통해 세포 손상을 줄인다.
- ROS 생성 감소 및 과도한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 작용을 한다.
-
염증 억제
- 타우린은 염증 유발 매개체인 NF-κB의 활성을 억제하여 hs-CRP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줄인다.
- 타우린 클로라민 형성을 통해 염증을 완화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프 설명
-
Superoxide Dismutase (SOD)
-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는 항산화 효소
- 타우린 그룹은 SOD가 5.1% 증가, 위약 그룹은 1.7% 감소
- 타우린은 항산화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
-
Catalase (CAT)
- 활성 산소를 분해해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항산화 효소
- 타우린 그룹은 CAT가 4.22% 증가, 위약 그룹은 2.08% 감소
- 타우린 보충은 CAT 활성을 증가시켜 보호 효과를 제공
-
Malondialdehyde (MDA)
- 산화 스트레스의 결과물로 세포 손상 수준을 반영
- 타우린 그룹은 MDA가 26.33% 감소, 위약 그룹은 6.11% 증가
- 타우린은 산화 스트레스를 크게 줄여 세포 손상을 억제
-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 염증의 강도를 나타내는 주요 바이오마커
- 타우린 그룹은 hs-CRP가 16.01% 감소, 위약 그룹은 10.73% 증가
- 타우린은 염증 반응을 완화해 염증성 질환 위험을 감소시킴
-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주요 염증성 사이토카인
- 타우린 그룹은 TNF-α가 11.65% 감소, 위약 그룹은 6.06% 증가
- 타우린 보충은 염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 수준을 낮춤
연구 결론
타우린 보충은 T2DM 환자에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지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짧은 기간과 제한된 샘플 크기라는 한계를 가지지만, 향후 장기간 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근거를 확보하면 타우린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
쿠팡에서 타우린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2eGIr
아이허브 타우린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l-taurine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