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Riboflavin 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the RISE-UP study] (2019)

https://doi.org/10.1093/ecco-jcc/jjz208

 

해당 논문은 크론병(Crohn’s Disease, CD)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리보플라빈(비타민 B2) 보충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이다. 리보플라빈은 체내에서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을 수행하며, 장내 미생물 균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의 목적은 리보플라빈이 환자의 임상 증상, 염증 수준, 산화 스트레스, 그리고 장내 미생물 구성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확인하는 데 있었다.

 

연구 설계 및 방법

  1. 대상자 및 모집

    • 대상: 19~67세의 크론병 진단을 받은 환자 70명
    • 대상자 분류: 대변 칼프로텍틴 수치(염증 표지자)를 기준으로 염증이 낮은 그룹(FC < 200 µg/g)과 높은 그룹(FC > 200 µg/g)으로 나눔
  2. 보충 및 기간

    • 제공된 보충제: 하루 100mg의 리보플라빈
    • 섭취 기간: 3주간
  3. 분석 지표

    • 임상 증상 평가: 하비-브래드쇼 지수(Harvey-Bradshaw Index, HBI)
    • 염증 수준 측정: 혈청 염증 표지자인 C-반응 단백질(CRP) 및 인터루킨-2(IL-2) 수치
    • 산화 상태 분석: 플라즈마 유리 티올 농도 측정
    • 장내 미생물군 분석: 형광 제자리 혼성화(FISH) 및 메타유전체 분석(MGS)
    • 삶의 질 평가: 염증성 장질환 설문(IBD-Q)을 통해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기능 평가
  4. 제외 기준

    • 항생제,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비타민 B2 보충제를 3주 이내에 섭취한 환자
    • 중증의 크론병 환자(HBI > 12)

 

연구 결과

  1. 염증 감소 효과

    • CRP 감소: 보충 후 염증이 높은 그룹에서 CRP가 유의미하게 감소
    • IL-2 감소: 염증이 낮은 그룹에서 IL-2 수치가 현저히 감소
    • 혈소판 수와 적혈구 침강 속도(ESR) 또한 개선됨
  2. 산화 스트레스 완화

    • 유리 티올 농도가 증가, 이는 체내 산화 스트레스가 감소했음을 의미
    • 이러한 변화는 특히 염증이 높은 그룹에서 두드러졌음
  3. 임상 증상 개선

    • HBI 점수 감소: 보충 후 질병 활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낮아짐
    • 삶의 질 개선: IBD-Q 결과, 신체적 증상과 전신 증상이 개선. 다만, 정서적 및 사회적 기능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음
  4. 장내 미생물군 변화

    • Enterobacteriaceae 감소: 병원성 세균의 상대적 비율이 낮아짐
    • Faecalibacterium prausnitzii(유익균)와 같은 특정 유익균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음
    • 메타유전체 분석에서 장내 미생물 다양성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음

 

세부 결과 해석

  1. 염증 감소 메커니즘

    • 리보플라빈은 항염증 특성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IL-2, CRP) 감소를 유도
    • 염증 억제를 통해 크론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기여
  2. 산화 스트레스 완화 기전

    • 리보플라빈의 항산화 특성은 플라즈마 유리 티올 농도를 증가시켜 산화 손상을 줄임
    • 이는 항산화 효소 활성화와 관련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염증성 반응을 억제
  3. 장내 미생물군의 미미한 변화

    • Enterobacteriaceae 감소는 장내 환경의 개선을 시사하나, 전체적인 미생물 다양성이나 주요 유익균 증가는 확인되지 않음
    • 연구 설계 상 짧은 보충 기간과 분석 도구의 민감도 한계로 인해 유의미한 변화가 적었을 가능성 존재

 

output.png

 

리보플라빈 보충의 효과

1. C-Reactive Protein (CRP)

  • CRP는 염증 수준을 나타내는 혈액 지표입니다
    • 전체 환자 그룹: CRP가 3.71에서 3.20으로 감소
    • 염증이 낮은 그룹 (Low FC): 1.36에서 1.01로 감소
    • 염증이 높은 그룹 (High FC): 6.61에서 5.47로 감소
  • 리보플라빈 보충이 특히 염증 수준이 높은 그룹에서 CRP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2. Interleukin-2 (IL-2)

  • IL-2는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 사이토카인이다.
    • 전체 그룹: 0.18에서 0.12로 감소
    • 염증이 낮은 그룹 (Low FC): 0.18에서 0.10으로 감소
    • 염증이 높은 그룹 (High FC): 0.18에서 0.12로 감소
  • 염증이 낮은 그룹에서 IL-2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리보플라빈의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3. Free Thiols

  • 유리 티올은 체내 항산화 상태를 나타냅니다. 높은 수치는 산화 스트레스가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 전체 그룹: 13에서 16으로 증가
    • 염증이 낮은 그룹 (Low FC): 10에서 12로 증가
    • 염증이 높은 그룹 (High FC): 15에서 18로 증가
  • 모든 그룹에서 유리 티올 농도가 증가해 리보플라빈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기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 결론

리보플라빈 보충은 크론병 환자의 염증 수준(CRP, IL-2 감소)과 산화 스트레스(유리 티올 증가)를 효과적으로 완화했으며, 임상 증상(HBI 감소)과 삶의 질(QoL 개선)을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병원성 장내 세균(Enterobacteriaceae)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장내 미생물 다양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는 리보플라빈이 크론병 관리에서 유용한 항염증 및 항산화 보조제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쿠팡에서 비타민B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3sgHF
아이허브 비타민B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vitamin-b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3814 0
76 프리바이오틱스가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체중 감량 및 염증 억제 file 서플팩트 2024.12.04 214 0
75 프리바이오틱스의 효과: 장내 미생물, 포도당 대사, 지질 건강 개선 file 서플팩트 2024.12.04 116 0
74 프리바이오틱으로 장내 발효 활성화: 식욕 억제와 혈당 반응 개선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04 372 0
73 비만 여성의 장내 미생물 조성 개선: ITF 프리바이오틱스의 효과와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04 91 0
72 프리바이오틱 보충이 체지방 감소와 BMI 조절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2.04 125 0
71 프락토올리고당의 체중 감소 효과: 포만감 호르몬 증가와 식욕 억제 file 서플팩트 2024.12.04 123 0
70 이눌린 보충제로 당뇨 관리 효과: 염증 및 혈당 개선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2.04 326 0
69 고령층 리보플라빈 부족과 심혈관 건강: 4주간의 임상시험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01 80 0
» 리보플라빈 보충이 크론병에 미치는 효과: 염증 완화와 산화 스트레스 개선 Riboflavin 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the RISE-UP study] (2019) https://doi.org/10.1093/ecco-jcc/jjz208 해당 논문은 크론병(Crohn... file 서플팩트 2024.12.01 161 0
67 비타민 B 보충제가 뇌 위축 속도를 낮춘다: 경도 인지장애 환자 대상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1.30 55 0
66 저산소 환경에서 비타민 B와 콜린: 기억력 및 신경 보호 효과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1.30 46 0
65 우울증과 비타민 B12: SSRI 단독 요법과의 효과 비교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29 73 0
64 비타민 B군 보충제로 경도인지장애 예방: 2년간의 임상시험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1.29 56 0
63 비타민 C와 T세포 성숙: 면역 강화의 핵심 역할 file 서플팩트 2024.11.28 96 0
62 미세먼지와 혈관 손상: 비타민 C 보충제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27 159 0
61 비타민 C 결핍이 운동 능력과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및 보충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27 61 0
60 이눌린과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체중 감량과 장내 미생물 개선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23 96 0
59 이눌린 보충제의 효과: 간 인슐린 저항성 개선과 장 건강 증진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23 52 0
58 이눌린의 체중 관리 및 식욕 억제 효과: 당뇨병 전단계 연구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1.23 115 0
57 올리고프락토스 강화 이눌린, 제2형 당뇨 여성의 염증과 혈당 조절에 긍정적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23 156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