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ulin controls inflammation and metabolic endotoxemia in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controlled clinical trial (2014)
https://doi.org/10.3109/09637486.2013.836738
해당 논문은 제2형 당뇨병 여성에게 이눌린 보충이 염증 및 대사성 내독소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최초의 삼중 맹검 무작위 대조 임상 시험 연구이다. 이눌린은 장내 유익균 증식을 촉진하고, 염증 감소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가진 프리바이오틱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는 8주간 진행되었으며, 이눌린이 염증 생체 지표와 대사 지표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대상자 특성
- 20~65세의 제2형 당뇨병 여성 65명 중 최종적으로 49명이 연구를 완료함
- 제2형 당뇨병 진단 후 6개월 이상 경과, BMI 25kg/m² 이상의 비만 또는 과체중 환자
- 기존 당뇨약(메트포르민, 글리벤클라마이드) 복용 중
-
배제 기준
- 소화기, 심혈관, 신장 질환 병력, 비타민 또는 프리바이오틱 보충제 섭취 경험자
- 섭취 중인 항생제, 항염증제 등이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
-
연구 설계
- 삼중 맹검 방식: 연구 참여자, 연구자, 데이터 분석자가 모두 그룹 배정을 알 수 없도록 설계
- 이눌린 섭취군: 고성능 이눌린(10g/일) 섭취
- 대조군: 말토덱스트린 보충제(10g/일) 섭취
- 기간: 8주 동안 진행
-
주요 측정 지표
- 혈당 관련: 공복 혈당(FBS), 당화혈색소(HbA1c), 공복 인슐린, HOMA-IR
- 염증 지표: 고감도 C-반응 단백질(hs-CRP), 종양괴사인자(TNF-α)
- 항염증 지표: 인터루킨-10(IL-10)
- 대사성 내독소: 혈중 지질다당류(LPS)
연구 결과
- 혈당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 공복 혈당(FBS): 161.7 → 146.6mg/dL(8.5% 감소)
- 당화혈색소(HbA1c): 8.4% → 7.7%(10.4% 감소)
- 공복 인슐린: 14.0 → 9.2µU/mL(34.3% 감소)
- 인슐린 저항성(HOMA-IR): 5.6 → 3.4(39.5% 감소)
- 염증 지표 감소
- hs-CRP: 8.0 → 5.3ng/mL(35.6% 감소)
- TNF-α: 16.3 → 13.3pg/mL(23.1% 감소)
- 대사성 내독소 감소
- 혈중 LPS: 21.4 → 16.0EU/mL(27.9% 감소)
- 체중 및 BMI 변화
- 체중: 75.4 → 72.8kg(2.6kg 감소)
- BMI: 31.6 → 30.5kg/m²(1.1kg/m² 감소)
- 항염증 지표 증가
- IL-10: 13.6 → 15.0pg/mL(15.4% 증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이눌린의 작용 메커니즘
-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
- Bifidobacteria와 Akkermansia muciniphila의 증식 촉진
- 장내 유익균 증가로 장 투과성 감소, LPS 유출 억제
- 단쇄지방산(SCFA) 생성
- 장내 발효를 통해 생성된 SCFA가 장벽 강화 및 염증 완화에 기여
- 체중 감소와 염증 완화
- 체중 감소와 지방 조직 감소는 염증 생체 지표 감소에 기여
- 대사적 개선
- 인슐린 분비 감소로 염증 유발 요소 억제
- 산화 스트레스 감소로 염증 경로 차단
그래프 설명
-
Fasting Blood Sugar (mg/dL)
이눌린 섭취군(HP Inulin)에서 공복 혈당이 161.7에서 146.6으로 감소, 대조군(Maltodextrin)에서는 변화가 미미함. 이는 이눌린이 혈당 조절에 효과적임을 보여줌. -
HbA1c (%)
이눌린 섭취군의 당화혈색소가 8.4%에서 7.7%로 유의미하게 감소. 이는 장기적인 혈당 관리 개선을 시사. -
Fasting Insulin (µU/mL)
이눌린 섭취군에서 공복 인슐린 수치가 34.3% 감소, 대조군은 변화 없음. 이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나타냄. -
HOMA-IR
이눌린 섭취군에서 HOMA-IR이 5.6에서 3.4로 감소하며 인슐린 저항성이 크게 개선됨. -
hs-CRP (ng/mL)
염증 지표 hs-CRP가 이눌린 섭취군에서 35.6% 감소. 이는 염증 완화 효과를 보여줌. -
TNF-α (pg/mL)
또 다른 염증 지표인 TNF-α도 이눌린 섭취군에서 감소. 염증 억제 효과를 뒷받침함. -
LPS (EU/mL)
대사성 내독소 LPS가 이눌린 섭취군에서 27.9% 감소. 이는 장내 염증 및 대사 개선을 시사.
연구 결론
이눌린은 제2형 당뇨병 여성에서 염증 지표 감소, 혈당 조절 및 체중 감소를 유도하며,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고 대사성 내독소 수치를 낮추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는 이눌린이 건강 보충제로서 당뇨병 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염증과 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망한 전략임을 보여준다.
쿠팡에서 이눌린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NWZQU
아이허브 이눌린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prebiotic-fiber-inulin
쿠팡에서 프리바이오틱스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2zskK
아이허브 프리바이오틱스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prebiotics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