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Gut microbiota fermentation of prebiotics increases satietogenic and incretin gut peptide production with consequences for appetite sensation and glucose response after a meal (2009)

https://doi.org/10.3945/ajcn.2009.28095

 

프리바이오틱은 장내 미생물의 발효를 통해 장 건강과 대사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비소화성 탄수화물이다. 최근 연구는 프리바이오틱 섭취가 식욕 억제 호르몬(GLP-1, PYY) 분비를 증가시키고, 혈당 반응을 낮추며, 결과적으로 식욕 조절과 대사 건강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해당 논문에서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프리바이오틱 섭취가 장내 발효, 식욕 지표, 그리고 혈당 반응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관찰하였다.

 

연구 설계 및 방법

  • 디자인: 무작위 이중맹검 병렬 대조군 방식으로 진행
  • 참가자
    • 10명의 건강한 성인(남녀 각 5명, 평균 나이 26.3세, 평균 BMI 21.6)
    • 참가자들은 섬유질 섭취가 하루 30g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되었다.
    • 연구 시작 전, 프로바이오틱, 프리바이오틱 또는 심바이오틱을 섭취한 이력이 있는 참가자는 제외되었다.
  • 섭취물
    • 실험군: 프리바이오틱(Orafti Synergy1, 16g/일), 이눌린 및 올리고프락토스 혼합물로 구성된 프리바이오틱
    • 대조군: 덱스트린 말토스(16g/일), 소화 가능하지만 발효되지 않는 탄수화물
    • 두 그룹 모두 아침과 저녁 식사에 각각 8g씩 분할하여 섭취
  • 측정 항목
    • 식욕 지표(포만감 및 배고픔), 혈당 반응, 혈중 식욕 호르몬(GLP-1, PYY 등) 농도, 호기 수소 농도(발효 지표)를 2주간 관찰

 

프리바이오틱 섭취의 발효 효과

  • 호기 수소 농도의 변화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에서 호기 수소 농도가 3배 증가
    • 이는 프리바이오틱이 장내 미생물의 발효를 활성화시켜 장내 환경을 개선했음을 나타냄
    • 특히 식후 30분과 120분에 유의미한 발효 증가를 확인
  • 장내 미생물 발효의 의의
    •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단쇄 지방산(SCFA)은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대사 건강을 지원
    • SCFA는 식욕 억제 및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

 

식욕 억제 호르몬의 변화

  • GLP-1 및 PYY의 증가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은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과 PYY(펩타이드 YY) 농도가 식후 10분에 유의미하게 증가
    • GLP-1: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억제하며, 혈당 조절을 지원
    • PYY: 포만감을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
  • 호르몬 변화와 식욕 지표의 연관성
    • GLP-1과 PYY 농도의 증가는 배고픔(VAS 점수)을 감소시키고, 포만감 점수를 높이는 경향을 보임

 

혈당 반응 및 대사 개선 효과

  • 혈당 곡선(AUC) 감소
    • 프리바이오틱 섭취 후 혈당 상승 곡선 면적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아짐
    • 이는 프리바이오틱이 혈당 안정화 및 대사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줌
  • GLP-1과 혈당의 관계
    • GLP-1 농도와 혈당 반응 사이에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
    • 이는 프리바이오틱 발효로 인해 GLP-1 분비가 촉진되면서 혈당 조절이 개선되었음을 시사

 

fig4.jpg

 

프리바이오틱이 식욕 억제 호르몬(GLP-1, PYY 등)에 미치는 영향

  1. 호르몬 종류

    •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식욕 억제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 조절에 기여
    • PYY(펩타이드 YY): 식후 포만감을 유발하는 호르몬
    • GIP(포도당 의존성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인슐린 분비 조절에 관여
    • PP(췌장 폴리펩타이드): 위장관 활동 조절에 관여
    • X축: 식사 후 시간 경과 (0, 10, 30, 60, 120분)
    • Y축: 호르몬 농도 (pg/mL 또는 baseline 대비 변화량)
  2. 그룹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
    • 덱스트린 말토스(대조군)

주요 결과 및 설명

  1. GLP-1 농도의 변화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에서 식후 10분 만에 GLP-1 농도가 유의미하게 증가
    • 이는 장내 미생물 발효가 GLP-1 분비를 촉진했음을 시사
    • GLP-1은 인슐린 분비를 도와 혈당을 안정화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PYY 농도의 변화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에서 PYY 농도가 대조군보다 높게 증가
    • 특히 식후 초기(10분)에서 농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남
    • PYY는 식사 후 포만감을 유발하여 식욕을 억제한다
  3. GIP 및 PP의 변화

    • GIP와 PP의 농도 변화는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 이는 프리바이오틱이 특정 호르몬(GLP-1, PYY)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

 

연구 결론

프리바이오틱은 장내 미생물의 발효를 촉진하여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식욕 억제 호르몬(GLP-1, PYY)을 증가시킴으로써 식욕 조절 및 혈당 반응 개선에 기여한다. 이는 비만 및 대사 질환 예방과 관리에 있어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특히 단기적 섭취만으로도 혈당 안정화와 식욕 감소 효과를 보여, 건강한 대사 상태 유지에 유용한 보충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쿠팡에서 프리바이오틱스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2zskK
아이허브 프리바이오틱스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prebiotics


쿠팡에서 프락토올리고당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4onuR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3814 0
76 프리바이오틱스가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체중 감량 및 염증 억제 file 서플팩트 2024.12.04 214 0
75 프리바이오틱스의 효과: 장내 미생물, 포도당 대사, 지질 건강 개선 file 서플팩트 2024.12.04 116 0
» 프리바이오틱으로 장내 발효 활성화: 식욕 억제와 혈당 반응 개선 효과 Gut microbiota fermentation of prebiotics increases satietogenic and incretin gut peptide production with consequences for appetite sensation and gluco... file 서플팩트 2024.12.04 372 0
73 비만 여성의 장내 미생물 조성 개선: ITF 프리바이오틱스의 효과와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04 91 0
72 프리바이오틱 보충이 체지방 감소와 BMI 조절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2.04 125 0
71 프락토올리고당의 체중 감소 효과: 포만감 호르몬 증가와 식욕 억제 file 서플팩트 2024.12.04 123 0
70 이눌린 보충제로 당뇨 관리 효과: 염증 및 혈당 개선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2.04 326 0
69 고령층 리보플라빈 부족과 심혈관 건강: 4주간의 임상시험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01 80 0
68 리보플라빈 보충이 크론병에 미치는 효과: 염증 완화와 산화 스트레스 개선 file 서플팩트 2024.12.01 161 0
67 비타민 B 보충제가 뇌 위축 속도를 낮춘다: 경도 인지장애 환자 대상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1.30 55 0
66 저산소 환경에서 비타민 B와 콜린: 기억력 및 신경 보호 효과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1.30 46 0
65 우울증과 비타민 B12: SSRI 단독 요법과의 효과 비교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29 73 0
64 비타민 B군 보충제로 경도인지장애 예방: 2년간의 임상시험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1.29 56 0
63 비타민 C와 T세포 성숙: 면역 강화의 핵심 역할 file 서플팩트 2024.11.28 96 0
62 미세먼지와 혈관 손상: 비타민 C 보충제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27 159 0
61 비타민 C 결핍이 운동 능력과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및 보충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27 61 0
60 이눌린과 저항성 말토덱스트린: 체중 감량과 장내 미생물 개선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23 96 0
59 이눌린 보충제의 효과: 간 인슐린 저항성 개선과 장 건강 증진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23 52 0
58 이눌린의 체중 관리 및 식욕 억제 효과: 당뇨병 전단계 연구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1.23 115 0
57 올리고프락토스 강화 이눌린, 제2형 당뇨 여성의 염증과 혈당 조절에 긍정적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23 156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