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A double-blind, randomized pilot trial of chromium picolinate for binge eating disorder: results of the Binge Eating and Chromium (BEACh) study (2013)

https://doi.org/10.1016/j.jpsychores.2013.03.092

 

폭식 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는 단기간에 과도한 양의 음식을 섭취하고, 이후 이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다고 느끼는 장애다. 이는 비만, 대사 증후군, 우울증, 제2형 당뇨병 등 여러 신체적, 정신적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치료법(예: SSRI,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는 제한적이며, 폭식의 근본적인 원인인 대사와 신경 전달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크롬 피콜리네이트(Chromium Picolinate, CrPic)는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고, 세로토닌(5HT)과 도파민(DA)의 조절에 관여하여 식욕과 감정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ACh 연구는 이러한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한 초기 파일럿 연구로, 크롬이 폭식 빈도, 체중, 혈당, 우울증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 이중맹검, 무작위 배정으로 설계된 파일럿 연구로, 크롬 피콜리네이트의 두 가지 용량(고용량, 중간 용량)과 위약군의 효과를 비교했다.
  • 6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주요 평가 시점은 연구 시작 전, 3개월, 6개월, 그리고 종료 후 3개월 추적 관찰로 구성되었다.

2. 연구 대상자

  • 24명의 과체중(BMI 25–45) 성인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이들은 모두 DSM-IV 기준에 따라 폭식 장애로 진단받았다.
  • 평균 연령은 36.6세, 평균 BMI는 34.2로, 참가자 대부분이 중등도 비만 상태였다.
  • 배제 기준에는 심각한 정신 질환, 약물 복용(특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당뇨병, 임신 등이 포함되었다.

3. 치료군 및 복용량

  1. 고용량 크롬군: 1000mcg/일
  2. 중간 용량 크롬군: 600mcg/일
  3. 위약군: 크롬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

4. 측정 항목

  • 심리적 변수

    • 폭식 빈도(28일간 폭식 에피소드 수)
    • 우울증 증상(QIDS-SR16 척도)
  • 생체 지표

    • 공복 혈당 수치
    • 당화혈색소(HbA1c)
    • 체중 변화
  • 부작용 및 순응도: 복약 순응도와 부작용 평가

 

연구 결과

1. 폭식 빈도 감소

  • 고용량 크롬군: 폭식 빈도가 월평균 -2.36회 감소하며 가장 두드러진 효과를 보였다.
  • 중간 용량 크롬군: 폭식 빈도가 월평균 -0.93회 감소했다.
  • 위약군: 폭식 빈도가 월평균 -0.97회 감소했다.

고용량 크롬군이 가장 큰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아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2. 체중 변화

  • 57%의 크롬 복용자가 체중 감소를 경험한 반면, 위약군 참가자 모두 체중이 증가했다.
  • 고용량 크롬군은 월평균 -0.23kg 감소를 보였으며, 위약군은 +0.55kg 증가했다.

3. 공복 혈당 개선

  • 고용량 크롬군: 월평균 -1.08 mg/dL 감소, 최대 -32 mg/dL까지 개선된 사례도 있었다.
  • 중간 용량 크롬군: 월평균 -0.67 mg/dL 감소.
  • 위약군: 공복 혈당이 월평균 +2.53 mg/dL 증가했다.
  • 특히 당뇨 전 단계였던 참가자들의 HbA1c가 크롬 복용 후 정상 범위로 회복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4. 우울증 증상 완화

  • 크롬 복용군에서 우울증 증상이 경감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위약군과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부작용

  • 크롬 복용군에서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위약군에서 피로, 두통, 수면 장애의 빈도가 더 높았다.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Binge Frequency (폭식 빈도 변화): 고용량 크롬군에서 가장 큰 감소(-2.36회/월)를 보였고, 중간 용량군과 위약군은 유사한 감소(-0.93회/월 및 -0.97회/월)를 보였다.

  2. Weight Change (체중 변화): 고용량 크롬군과 중간 용량 크롬군은 각각 -0.23kg/월 및 -0.13kg/월 감소했으나, 위약군은 체중이 증가(+0.55kg/월)했다.

  3. Fasting Glucose Change (공복 혈당 변화): 고용량 크롬군에서 -1.08mg/dL/월로 가장 큰 혈당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중간 용량군은 -0.67mg/dL/월 감소를 보였다. 반면, 위약군은 +2.53mg/dL/월 증가했다.

 

연구 결론

연구 결과, 고용량 크롬 피콜리네이트군에서 폭식 빈도 감소와 공복 혈당 개선, 체중 감소 효과가 두드러졌다. 특히 대사적 위험이 높은 폭식 장애 환자에게 크롬 보충이 효과적인 보조 요법이 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데이터의 통계적 유의성이 부족하므로 대규모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쿠팡에서 크롬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4zHYy
아이허브 크롬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chromium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1. No Image notice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3814 Votes0
    read more
  2. 베타글루칸이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Date2025.0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69 Votes0 file
    Read More
  3.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촉진: PQQ 보충제의 새로운 가능성

    Date2024.12.15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1 Votes0 file
    Read More
  4. 폭식 장애와 크롬 피콜리네이트: BEACh 연구의 주요 결과와 임상적 시사점

    Date2024.12.06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8 Votes0 file
    Read More
  5. 임신 중 크롬 결핍이 자손의 체중과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Date2024.12.06 By서플팩트 Reply0 Views164 Votes0 file
    Read More
  6. 프리바이오틱과 프로바이오틱의 시너지: 비만 개선과 장내 미생물 변화 연구

    Date2024.12.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218 Votes0 file
    Read More
  7. 프락토올리고당과 체중 관리: 포만감 증가와 대사 건강 개선 가능성

    Date2024.12.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269 Votes0 file
    Read More
  8. 프리바이오틱스가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체중 감량 및 염증 억제

    Date2024.12.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214 Votes0 file
    Read More
  9. 프리바이오틱 보충이 체지방 감소와 BMI 조절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2.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5 Votes0 file
    Read More
  10. 프락토올리고당의 체중 감소 효과: 포만감 호르몬 증가와 식욕 억제

    Date2024.12.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3 Votes0 file
    Read More
  11. 이눌린 보충제로 당뇨 관리 효과: 염증 및 혈당 개선 연구

    Date2024.12.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326 Votes0 file
    Read More
  12. 이눌린의 체중 관리 및 식욕 억제 효과: 당뇨병 전단계 연구 분석

    Date2024.11.2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5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