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Dairy calcium intake, serum vitamin D, and successful weight loss (2010)

https://doi.org/10.3945/ajcn.2010.29355

 

이 논문은 유제품 칼슘 섭취와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체중 감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계된 연구로, 2년 동안 무작위 대조 시험(DIRECT)을 통해 유제품 칼슘 섭취와 혈청 비타민 D가 체중 감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DIRECT 연구에 참여한 총 322명의 남녀(평균 BMI: 31, 평균 나이: 52세)를 대상으로 하여 세 가지 식단 그룹(저지방 식단, 지중해식 식단, 저탄수화물 식단)으로 무작위 배정하였으며, 126명의 참가자는 6개월 동안 혈청 비타민 D 변화를 추적하였다. 연구 초반부터 6개월마다 유제품 섭취량과 비타민 D 농도를 측정하고 체중 감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요약

  • 비만도에 따른 비타민 D 농도: BMI가 높은 그룹일수록 초기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낮았으며, BMI가 낮을수록 비타민 D 농도가 높았다(P=0.02).
  • 유제품 칼슘 섭취 및 비타민 D와 체중 감량: 유제품 칼슘 섭취와 비타민 D 농도가 초기에는 체중 감량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나, 6개월 시점에서의 유제품 칼슘 섭취(156.5, 358.0, 582.9 mg/d)와 혈청 비타민 D 농도(14.5, 21.2, 30.2 ng/mL)가 높을수록 2년 동안 더 많은 체중 감소를 보였다(P=0.043, P=0.013).
  • 다변량 회귀 분석: 나이, 성별, 초기 BMI, 지방 섭취량 및 식단 그룹 등을 조정한 후, 유제품 칼슘 섭취와 혈청 비타민 D 농도의 증가가 6개월 동안 4.5kg 이상의 체중 감량과 독립적으로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유제품 칼슘 섭취량이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체중 감량 가능성이 1.45배, 비타민 D 농도가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체중 감량 가능성이 1.7배 증가하였다.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 총 322명의 참가자(평균 BMI: 31, 평균 나이: 52세)
    • 대상자 선정 기준: 나이 40~65세, BMI ≥ 27 또는 제2형 당뇨병이나 관상 동맥 질환이 있는 자
    • 연구 기간: 2년 (2005년 7월~2007년 6월)
  2. 연구 설계
    • 무작위 대조 시험(DIRECT)로 진행
    • 참가자들을 세 가지 식단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
      • 저지방 식단: 지방 섭취를 제한하고 탄수화물과 단백질 섭취를 강조
      • 지중해식 식단: 과일, 채소, 생선, 올리브유를 중심으로 한 식단
      • 저탄수화물 식단: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과 지방을 주로 섭취
    • 각 식단 그룹은 직장 내 구내식당에서 제공되는 식품을 통해 관리되었으며, 식품 항목마다 칼로리, 탄수화물, 지방, 포화 지방 함량이 표시됨
  3. 유제품 섭취 및 비타민 D 관리
    • 유제품 섭취는 식단 그룹과 무관하게 개인의 선택에 따름
    • 저지방 및 지중해식 식단에서는 저지방 유제품(0-5% 지방)을 다른 단백질 원(예: 고기)으로 대체하여 섭취 가능
    • 저탄수화물 식단에서는 저탄수화물 유제품을 지방 함량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섭취 가능
    • 혈청 비타민 D 농도는 연구 시작 시점과 6개월 후에 측정
  4. 데이터 수집 방법
    • 식이 섭취 평가: 참가자들은 식품 빈도 질문지(FFQ)를 통해 섭취한 유제품 및 비유제품 칼슘과 비타민 D 섭취량을 보고
    • 혈청 비타민 D 측정: 126명의 무작위 표본을 대상으로 혈액 샘플 채취 후 화학 발광 면역 분석법(LIAISON platform)을 사용하여 혈청 25(OH)D 농도 측정
  5. 통계 분석
    • 초기 특성에 따른 비만도와 비타민 D 농도의 상관관계를 스피어만 상관 계수를 사용해 분석
    • 6개월 시점의 유제품 칼슘 섭취와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체중 감량과 관련이 있는지 반복 측정 모형을 통해 분석
    •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나이, 성별, 초기 BMI, 지방 섭취량, 식단 그룹 등을 조정하여 체중 감량 성공 가능성을 평가

 

output.png

 

연구 결과

  1. 초기 혈청 비타민 D 농도와 BMI의 관계
    • BMI가 높을수록 초기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낮음
    • 세 그룹으로 나눈 BMI (평균 BMI: 25.6 ng/mL, 24.1 ng/mL, 22.9 ng/mL)에서 유의미한 감소 경향(P=0.02)
  2. 유제품 칼슘 섭취 및 비타민 D와 체중 감량의 관계
    • 6개월 시점 유제품 칼슘 섭취
      • 섭취량에 따른 체중 감소: 156.5 mg/d (평균 감량: 3.3 kg), 358.0 mg/d (평균 감량: 3.5 kg), 582.9 mg/d (평균 감량: 5.3 kg)
      •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 존재(P=0.043)
    • 6개월 시점 혈청 비타민 D 농도
      • 농도에 따른 체중 감소: 14.5 ng/mL (평균 감량: 3.1 kg), 21.2 ng/mL (평균 감량: 3.8 kg), 30.2 ng/mL (평균 감량: 5.6 kg)
      •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 존재(P=0.013)
  3. 변화량에 따른 체중 감량
    • 유제품 칼슘 섭취 변화량
      • 섭취 변화량에 따른 체중 감소: 262.4 mg/1000 kcal (평균 감량: 3.7 kg), +16.4 mg/1000 kcal (평균 감량: 4.2 kg), 129.4 mg/1000 kcal (평균 감량: 4.2 kg)
      • 유의미한 차이 확인되지 않음(P=0.19)
    • 혈청 비타민 D 변화량
      • 변화량에 따른 체중 감소: -9.2 ng/mL (평균 감량: 2.5 kg), -2.6 ng/mL (평균 감량: 4.0 kg), +2.5 ng/mL (평균 감량: 5.8 kg)
      • 유의미한 차이 존재(P=0.009)
  4.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 유제품 칼슘 섭취와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6개월 동안 4.5kg 이상의 체중 감량 가능성을 각각 1.45배(P=0.046) 및 1.7배(P=0.009) 증가시킴
    • 24개월 동안의 체중 감량 성공 가능성에 대해서는 유제품 칼슘만 유의미한 경향을 보임(P=0.051)

 

결론
이 연구는 유제품 칼슘 섭취와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체중 감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유제품을 적절히 섭취하고, 비타민 D를 충분히 보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쿠팡에서 비타민D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S8NZv
아이허브 비타민D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vitamin-d


쿠팡에서 칼슘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ThJxJ
아이허브 칼슘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calcium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Who's 서플팩트

profile

서플팩트 - 과학적으로 검증된 정보로 건강을 챙기세요

쿠팡에서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link.coupang.com/a/bMmBJI

아이허브 영양제 제품 검색 - https://www.iherb.com
값싼 영양제 제품 찾기 - https://cheaplifer.com/cheapsup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Atachment
첨부 '1'

  1. No Image notice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3814 Votes0
    read more
  2. 베타글루칸이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Date2025.0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69 Votes0 file
    Read More
  3. 비만과 대사 장애, 보스웰리아가 가져오는 변화

    Date2025.01.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43 Votes0 file
    Read More
  4. 이눌린의 체중 관리 및 식욕 억제 효과: 당뇨병 전단계 연구 분석

    Date2024.11.2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5 Votes0 file
    Read More
  5. 칼로리 제한과 글리신: 비만 쥐 모델에서 지방 감소와 근육 손실 예방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1 Votes0 file
    Read More
  6. 체중 감량과 유제품 칼슘 및 비타민 D의 상관관계: DIRECT 연구 분석

    Date2024.09.2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6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