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Biotin: From Nutrition to Therapeutics (2017)

https://doi.org/10.3945/jn.116.238956

 

해당 논문은 비오틴(Biotin)의 영양학적 역할부터 치료적 잠재력까지를 다루고 있다. 주요 내용은 임신 중 비오틴의 효과, 유전자 발현에서 비오틴의 역할, 다발성 경화증 치료에서의 고용량 비오틴 보충제의 사용, 그리고 비오틴 섭취로 인해 임상 검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등이다.

 

비오틴 결핍은 증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지만, 특히 임신 중에는 경미한 비오틴 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일부 선천성 결손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로 지적된다. 비오틴은 다섯 가지 비오틴 의존성 카르복실레이스(ACC1, ACC2, MCC, PCC, Pyruvate carboxylase)의 보조 인자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전자 발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주요 연구 결과

  1. 비오틴 결핍과 임신

    • 임신 중 경미한 비오틴 결핍은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태아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마우스 모델에서 비오틴 결핍이 입천장 기형, 짧은 사지 등의 높은 빈도의 기형을 초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임신 후기에 비오틴 섭취를 2~3배로 늘렸을 때 결핍 지표인 소변 내 3HIA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2. 비오틴의 유전자 조절 역할

    • 비오틴은 히스톤의 바이오틴화(biotinylation)를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최근 연구는 히스톤 바이오틴화가 유전자 억제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기보다는, 그 주변의 물리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데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한다.
  3. 고용량 비오틴 치료의 가능성

    • 비오틴-티아민 반응성 기저핵 질환(BTBGD)과 같은 신경 질환에서 고용량의 비오틴이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였다.
    •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 고용량 비오틴(100-300mg/day)을 투여한 결과, 임상적 증상이 개선되는 사례들이 보고되었다. 특히, 시각 신경 및 척수 기능이 향상된 사례가 포함되었다.
  4. 임상 검사에서의 비오틴 간섭

    • 고용량 비오틴 섭취는 생화학적 검사, 특히 스트렙타비딘-비오틴 기술을 사용하는 호르몬 검사에서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비오틴이 검사 과정에서 스트렙타비딘 결합을 방해하여 검사 수치에 왜곡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

  • 대상자 및 연구 설계

    • 대상자 모집
      • 임신 중 여성과 비임신 여성으로 구분하여 연구 진행
      • 임신 초기와 임신 말기의 임산부를 포함하여 비오틴 결핍 여부를 평가
    • 연구 디자인
      • 비오틴 보충 전후의 생리적 변화를 분석하는 전후 비교 연구
      • 고용량 비오틴 보충(100-300mg/day)이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신경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개방형 연구 방식으로 조사
  • 비오틴 상태 평가 방법

    • 비오틴 결핍 지표
      • 3-하이드록시이소발레르산(3HIA) 측정
        • 소변 및 혈중 3HIA 농도를 분석하여 비오틴 의존성 MCC 효소 활동 감소 여부 평가
        • 3HIA 증가는 MCC 효소 활동이 저하된 상태를 나타냄
      • 3-하이드록시이소발레릴카르니틴(3HIAc) 배출량 측정
        • 소변 내 3HIAc 수치 변화를 통해 비오틴 결핍의 심각성을 평가
        • 임신 여성과 비임신 여성의 3HIAc 농도 비교
    • 비오틴 보충제 투여
      • 300마이크로그램/일의 비오틴 보충제를 임신부에게 투여하여 비오틴 결핍 개선 여부 확인
      • 비오틴 보충 전후의 소변 및 혈액 검사를 통해 지표 변화를 모니터링
  • 다발성 경화증 환자 대상 고용량 비오틴 보충

    • 대상자: 진행성 다발성 경화증 환자 23명 모집
      • 2차 진행성 다발성 경화증과 원발성 진행성 다발성 경화증 환자 모두 포함
    • 비오틴 보충 프로토콜
      • 하루 100~300mg의 비오틴을 최대 1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투여
      • 환자 개인별 맞춤 용량 조절을 통해 최적의 치료 반응을 도출
    • 임상 반응 평가 방법
      • 시각 기능 검사
        • 시각 유발 전위(visual evoked potentials) 검사를 통해 시각 회복 여부를 평가
        • 시각적 손상을 겪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력 변화 관찰
      • 운동 기능 검사
        • 임상 신경 평가: 환자의 걸음걸이, 균형감각, 손 기능 등을 정기적으로 평가
        • 동영상 촬영 기록을 통해 전문가가 평가한 개선 여부를 확인
      • 뇌 MRI 및 MRS 검사
        • 미엘린 생성 여부와 뇌 염증 감소를 뇌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분석
        • 프로톤 자기공명분광법(MRS)를 통해 뇌 내 에너지 대사 변화를 관찰
  • 임상 검사에서 비오틴 간섭 평가

    • 스트렙타비딘-비오틴 기술 사용 검사
      • 호르몬 측정 방법
        • 갑상선 기능 검사(자유 T4, TSH)를 비롯한 다양한 호르몬 검사에서 비오틴의 영향을 조사
        • 비오틴 보충 전후의 호르몬 수치 변화를 비교
      • 간섭 메커니즘 분석
        • 비오틴 과다로 인해 스트렙타비딘에 대한 결합 경쟁이 발생하여, 검사 결과 왜곡이 나타남
        • 검사 샘플에서 스트렙타비딘 미세구슬 전처리를 통해 오류 수정 가능성 검토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Urinary 3HIA Levels by Pregnancy Stage

  • 임신 초기, 임신 말기, 비임신 여성의 소변 내 3HIA(3-하이드록시이소발레르산) 수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임신 초기와 말기 여성의 3HIA 수치가 비임신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 3HIA는 비오틴 결핍의 지표로, 이 수치가 높다는 것은 비오틴 의존성 효소인 MCC의 활동 저하를 의미한다.
    • 임신 중 여성은 비임신 여성보다 비오틴 요구량이 높으며, 자연적인 결핍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 이러한 결핍 상태는 태아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비오틴 보충이 필수적이다.

2. Visual Function Improvement in MS Patients

  • 다발성 경화증(MS) 환자들의 비오틴 보충 전후 시각 기능 점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점수가 향상되었다.
    • 비오틴 보충이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신경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비오틴은 지방산 합성 촉진과 에너지 생성을 도와 신경 보호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신경계 손상을 줄이고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
    • 특히, 시각 손상이 있는 환자들이 비오틴 보충 후 시각 기능의 회복을 경험한 것은 비오틴의 신경 재생 효과를 나타낸다.

3. Effect of Biotin Intake on Free T4 Levels

  • 비오틴 섭취량에 따른 자유 T4(Free T4) 호르몬 수치 변화를 보여준다. 비오틴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자유 T4 수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 비오틴 보충은 호르몬 검사 결과에 간섭할 수 있다. 스트렙타비딘-비오틴 기술을 사용하는 검사에서, 비오틴 과다는 검사 결과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 비오틴을 섭취하는 사람들이 의료진에게 보충제 복용 여부를 알리고, 검사 결과 해석 시 주의해야 함을 의미한다.

4. MCC Enzyme Activity with Biotin Supplementation

  • 비오틴 보충량에 따른 MCC 효소 활동 변화를 나타낸다. 비오틴 보충량이 증가할수록 MCC 효소의 활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 MCC(메틸크로토닐-CoA 카복실화효소)는 비오틴 의존성 효소로, 비오틴이 충분히 보충되면 효소 활동이 정상화된다.
    • 효소 활동 저하는 에너지 대사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피로감, 근육 약화, 대사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 비오틴 보충이 효소 활동을 높이는 효과를 통해, 대사 과정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체내 에너지 생성을 돕는다.

 

연구 결과

  • 임신 중 비오틴 결핍 관련 결과

    • 임신 초기 및 말기 여성 중 상당수가 경미한 비오틴 결핍 상태를 보임
      • 3HIA 농도 증가가 임신부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이는 비오틴 의존성 MCC 효소 활동이 저하된 상태를 나타냄
      • 비임신 여성에 비해 3HIA 및 3HIAc 배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비오틴 부족을 반영함
    • 비오틴 보충 후 결핍 개선
      • 하루 300마이크로그램의 비오틴 보충 시, 소변 내 3HIA 농도가 정상화됨
      • 이는 비오틴 보충이 비오틴 의존성 효소의 기능 회복에 효과적임을 시사
    • 태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임신 중 비오틴 결핍이 태아의 골격 이상(예: 구개열, 사지 단축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동물 모델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임
      • 비오틴 보충을 통해 태아의 건강한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다발성 경화증 환자 대상 고용량 비오틴 보충 결과

    • 임상적 개선
      • 23명 중 16명에서 운동 기능이 개선되었으며, 이는 임상 신경 검사와 동영상 리뷰를 통해 확인됨
      • 시각 손상을 겪고 있는 환자 중 4명은 시력 회복을 경험하였으며, 시각 유발 전위 검사에서도 양호한 반응을 보임
      • 뇌 MRI 및 MRS 검사 결과, 미엘린 손상 완화 및 뇌 염증 감소가 관찰됨
    • 고용량 비오틴의 작용 기전
      • 비오틴은 지방산 합성 경로를 자극하여 미엘린 생성을 증가시킴
      • 에너지 생성 증가: 비오틴은 TCA 회로 활성화를 통해 신경 세포의 에너지 대사를 촉진, 세포 보호 효과를 제공
      • 산화 스트레스 감소: 비오틴의 항산화 효과를 통해 신경 세포의 손상을 줄이며 증상 악화 방지에 기여
  • 비오틴과 임상 검사 오류 관련 결과

    • 비오틴 보충의 간섭 효과
      • 비오틴 보충 시 갑상선 검사 결과에서 자유 T4 수치가 상승하고, TSH 수치가 감소하는 잘못된 결과가 도출됨
      • 이는 비오틴이 스트렙타비딘과 결합하여 검사 장비의 정확도를 낮추기 때문

 

연구 결론

비오틴은 임산부에게 중요한 영양소로, 태아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절한 보충이 필요하다. 특히 임신 초기에는 비오틴 결핍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필요한 섭취량을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경우 고용량 비오틴 보충이 질병 진행을 지연시키고 신경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비오틴은 신경 보호와 유전자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 대사와 세포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고용량 비오틴 섭취가 혈액 검사나 호르몬 측정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보충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은 이를 의료진에게 반드시 알릴 필요가 있다.

쿠팡에서 비타민B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3sgHF
아이허브 비타민B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vitamin-b


쿠팡에서 비오틴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XTta9
아이허브 비오틴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biotin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1. No Image notice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3814 Votes0
    read more
  2. NF-κB, TGF-β 억제를 통한 테아닌의 간 섬유화 방지 연구 결과

    Date2024.11.1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3 Votes0 file
    Read More
  3. BCAA, 운동 후 근육 손상 감소와 회복 촉진 효과 입증

    Date2024.11.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44 Votes0 file
    Read More
  4. 8주간의 밀크씨슬 보충제 효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및 간 건강 증진 연구

    Date2024.11.1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3 Votes0 file
    Read More
  5. 간 건강과 산화 스트레스 관리: 밀크씨슬 보충제의 항산화 효과 분석

    Date2024.11.1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8 Votes0 file
    Read More
  6. 콜라겐 펩타이드 보충의 효과: 통증 감소와 삶의 질 향상 연구

    Date2024.11.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92 Votes0 file
    Read More
  7. 대기오염 노출이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르기닌의 보호 효과 분석

    Date2024.11.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8. 대사증후군 환자를 위한 글리신 보충제: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혈압 개선 연구

    Date2024.10.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2 Votes0 file
    Read More
  9. 글리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염증 완화 및 면역 반응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3 Votes0 file
    Read More
  10. 칼로리 제한과 글리신: 비만 쥐 모델에서 지방 감소와 근육 손실 예방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1 Votes0 file
    Read More
  11. 글리신 보충, 수명 연장 및 질병 예방 가능성 연구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1 Votes0 file
    Read More
  12. 글리신, 수면 부족 시 피로와 주간 집중력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0 Votes0 file
    Read More
  13. 알츠하이머와 비오틴의 상관관계: 타우 단백질 독성 완화 가능성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3 Votes0 file
    Read More
  14. 다발성 경화증에 비오틴의 새로운 가능성: 장애 개선 및 악화 억제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1 Votes0 file
    Read More
  15. 비오틴의 역할과 치료 가능성: 임신, 유전자 발현, 다발성 경화증, 그리고 임상 검사 간섭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3 Votes0 file
    Read More
  16. 오메가-3 보충제가 아동의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성별과 정신병적 성향에 따른 차이

    Date2024.10.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3 Votes0 file
    Read More
  17. 오메가-3 섭취가 영아 학대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일본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

    Date2024.10.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8. 개의 공격성과 오메가-3 지방산의 연관성: DHA 결핍이 미치는 영향

    Date2024.10.2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0 Votes0 file
    Read More
  19. 오메가-3와 공격성의 연관성: 교도소 수감자 연구로 본 주의력 결핍과 적대감

    Date2024.10.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8 Votes0 file
    Read More
  20. 마그네슘 보충제가 우울증과 불안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

    Date2024.10.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2 Votes0 file
    Read More
  21. 비타민 D와 오메가-3 지방산, 자가면역질환 위험 감소 효과 확인 - VITAL 임상시험 요약

    Date2024.10.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8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