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조회 수 2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Glycine supplementation extends lifespan of male and female mice (2019)

https://doi.org/10.1111/acel.12953

 

해당 논문은 8% 글리신 식이가 쥐의 수명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이다. 유전적으로 다양한 수컷과 암컷 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쥐에게 9개월부터 8% 글리신이 포함된 식이를 제공했으며, 이들이 얼마나 오래 사는지와 각종 병리학적 변화들을 관찰하였다. 실험은 세 개의 독립적인 연구소에서 진행되었으며, 대조군과 비교해 글리신 섭취군의 수명 연장 효과를 확인하였다.

 

주요 내용 요약

  • 수명 연장: 글리신을 보충한 쥐는 대조군에 비해 약 4~6% 더 오래 살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였다. 수컷과 암컷 모두에게서 수명이 연장되었다.
  • 병리학적 결과: 글리신 보충군은 대조군에 비해 폐암(폐 선암종)으로 사망할 확률이 낮아졌다. 다른 종류의 질병 발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체중 변화: 암컷 쥐는 글리신 식이를 시작한 후 체중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지만, 수컷 쥐에서는 체중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 방법

  • 연구 설계

    • 연구 대상
      • 대상 동물: 유전적으로 다양한 UM-HET3 종의 수컷 및 암컷 쥐
      • 연구 시작 시점: 생후 9개월
      • 연구 규모: 세 개의 독립적인 연구소에서 수행하여 결과의 재현성을 확보
    • 실험군과 대조군
      • 글리신 보충군: 식이에 8%의 글리신을 첨가
      • 대조군: 글리신이 포함되지 않은 일반 식이 제공
  • 연구 기간 및 추적

    • 추적 기간: 쥐의 자연 수명 종료 시점까지 진행, 최대 3년
    • 관찰 항목: 생존율, 체중 변화, 질병 발생, 사망 원인 분석 등
    • 식이 개시 시점: 생후 9개월부터 글리신 보충 식이 제공
  •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 생존 데이터 분석
      • 생존 곡선 분석: 로그 순위 검정(log-rank test)을 사용하여 글리신 섭취군과 대조군 간의 생존율 비교
      • 최대 수명 평가: Wang/Allison 방법을 사용하여 90% 생존 연령을 기준으로 두 군의 최대 수명 비교
    • 체중 데이터 수집
      • 측정 시기: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시점에 체중 측정
      • 통계 분석 방법: 두 집단 간의 체중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ANOVA) 사용
    • 병리학적 분석
      • 사망 후 부검
        • 각 연구소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쥐를 대상으로 부검 실시
        • 독립된 병리학자가 블라인드 상태에서 사망 원인 분석
      • 병변 평가
        • 폐, 간, 신장 등 주요 장기의 암 발생 여부 및 기타 병변 확인
        • 질병 중증도를 1~5단계로 등급화하여 분석
  • 생화학적 분석

    • 글리신 농도 측정
      • 혈청 분석: LC/MS/MS 시스템을 사용해 글리신 농도 측정
      • 간 조직 분석: 글리신 보충 후 간 조직 내 글리신 농도를 측정하여 글리신의 조직 분포 파악
    • 대조군 비교: 혈청 및 간 조직에서의 글리신 농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글리신 보충 효과 확인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Median and 90th Percentile Lifespan: 수컷 및 암컷 쥐에서 글리신 보충군 및 통제군의 중위 수명과 90번째 백분위 수명을 비교하였다. 
    • 중위 수명 증가: 글리신을 보충한 쥐는 대조군에 비해 수컷은 약 6%, 암컷은 약 4% 정도 평균 수명이 증가했다. 이는 글리신 보충이 일정 정도 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최대 수명 증가: 90번째 백분위 수명에서도 글리신 보충군이 대조군보다 더 오래 사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수컷에서 이 효과가 두드러지며, 이는 글리신 보충이 특정 시점 이후 생존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Weight Over Time: 글리신 보충군과 대조군의 수컷 및 암컷 쥐의 체중 변화를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시점에서 비교하여 체중 변화 추이를 보여준다.
  3. Cancer Incidence by Type: 글리신 보충군과 대조군에서의 폐 선암종 및 기타 암종의 발생 빈도를 비교하였다.
    • 폐 선암종 감소: 글리신 보충군에서는 폐 선암종 발생 건수가 2건으로, 대조군의 9건에 비해 유의미하게 적었다. 이는 글리신이 폐암 예방에 일정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전이성 암 증가 경향: 전이성 암 발생 건수는 글리신 보충군에서 대조군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는 글리신 보충이 특정 암종에는 예방 효과를 가지지만, 다른 유형의 암에는 동일한 효과를 보이지 않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연구 결과

  • 생존율 및 수명 관련 결과

    • 평균 수명 증가
      • 수컷: 글리신 보충군의 평균 수명은 대조군에 비해 약 6% 증가(평균 수명: 대조군 832일, 글리신 보충군 884일, p=0.002)
      • 암컷: 글리신 보충군의 평균 수명은 대조군에 비해 약 4% 증가(평균 수명: 대조군 897일, 글리신 보충군 929일, p=0.006)
      • 전체 군: 수컷과 암컷을 합산한 전체 군에서 평균 수명 증가(p=0.00004)
    • 최대 수명 연장
      • 수컷: 최대 수명에서 6% 증가를 보이며, 90% 생존 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p=0.0005)
      • 암컷: 최대 수명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p=0.7)
      • 전체 군: 수컷과 암컷을 합산한 경우 90% 생존 연령에서 유의미한 수명 연장 확인(p=0.006)
  • 체중 변화

    • 암컷 쥐의 체중 변화
      • 글리신 보충 시작 후 12개월 시점에서 대조군 대비 약 2.6g(7%) 감소
      • 18개월, 24개월에서도 글리신 보충군의 체중이 유의미하게 낮음(p<0.004)
      • 체중 감소가 글리신 보충으로 인한 식이 제한 또는 칼로리 감소와 관련될 가능성
    • 수컷 쥐의 체중 변화
      • 글리신 보충이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관찰되지 않음
      • 체중 감소와 수명 연장 간의 직접적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음
  • 병리학적 결과

    • 폐암(폐 선암종) 발생 감소
      • 대조군: 폐 선암종으로 인한 사망 9건
      • 글리신 보충군: 폐 선암종으로 인한 사망 2건, p=0.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 폐암 외의 다른 암종에서는 유의미한 차이 없음
    • 기타 질병 발생
      • 주요 사망 원인: 종양(암)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 원인의 88% 차지
      • 글리신 보충의 효과: 기타 암종 및 주요 질병의 발생 빈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 없음
      • 부가적 병리학적 분석: 40가지 이상의 병변을 평가했으나, 글리신 보충군과 대조군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음
  • 생화학적 결과

    • 글리신 농도 상승
      • 혈청 글리신 농도: 글리신 보충군에서 혈청 내 글리신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6배 이상 증가(평균 54μg/ml)
      • 간 조직 글리신 농도: 글리신 보충군에서 간 내 글리신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4배 높음(평균 1200ng/mg)
      • 혈청과 간 농도 간 상관관계: R²=0.94로, 혈중 글리신 농도가 높을수록 간 내 농도도 높아지는 경향 확인
  • 추가적인 발견

    • 식이와 생리적 반응
      • 글리신 보충군에서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이는 수컷과 암컷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남
      • 암컷에서의 체중 감소는 칼로리 섭취량 감소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수컷에서 유사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음
    • 염증 및 세포 활성화 억제
      • 글리신은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신체의 항염증 메커니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
      • 글리신의 세포막 안정화 효과가 면역 세포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

 

연구 결론

  • 글리신 보충은 노화를 지연시키고, 폐암과 같은 특정 질병의 발병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글리신이 염증을 줄이는 항염증 효과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얻었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는 인간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글리신 보충을 통해 노화 관련 질병의 예방을 고려할 수 있다.

  • 글리신은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지만, 식이로 추가적인 글리신을 섭취하는 것이 수명 연장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글리신이 함유된 식품이나 보충제를 통해 신체의 항염증 반응을 강화하여 노화로 인한 건강 문제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다만, 이 연구는 쥐를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인간에게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단정하기는 확실치 않다. 하지만 글리신 보충이 특정 질병 예방과 수명 연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잠재력을 보여준 만큼 관련된 추가 연구를 통해 인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  

쿠팡에서 글리신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X5eWU
아이허브 글리신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l-glycine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1. No Image notice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3814 Votes0
    read more
  2. 글리신, 비만성 염증 개선에 도움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

    Date2025.04.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39 Votes0 file
    Read More
  3. 글리신과 히스티딘 섭취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춘다

    Date2025.04.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30 Votes0 file
    Read More
  4. 글리신이 당뇨 백내장을 늦춘다? 동물 실험으로 확인된 효과

    Date2025.04.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44 Votes0 file
    Read More
  5. 당뇨병 가족력이 있다면? 글리신이 인슐린 분비에 주는 영향

    Date2025.04.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40 Votes0 file
    Read More
  6. 글리신 및 시스테인 보충으로 HIV 환자의 체지방 감소와 근력 회복 효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6 Votes0 file
    Read More
  7. 당뇨병과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및 글리신 보충으로 산화 스트레스 개선하기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72 Votes0 file
    Read More
  8. NMDA 수용체와 글리신: 수면 과학의 비밀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8 Votes0 file
    Read More
  9. 글리신, 기억력과 뇌 건강을 회복시키는 신경 보호 효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1 Votes0 file
    Read More
  10. 글리신 9g 고용량 섭취의 건강 효과와 부작용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6 Votes0 file
    Read More
  11. 글리신 섭취 후 뇌의 변화: 세로토닌 증가로 확인된 잠재 효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240 Votes0 file
    Read More
  12. 글리신 섭취가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 과학적 연구 결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60 Votes0 file
    Read More
  13. 글리신 섭취가 아침 피로를 줄이는 이유: 수면 질 개선 효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4. 항산화제로서 글리신: 혈관 기능 회복에 도움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68 Votes0 file
    Read More
  15. 글리신 보충제, 지방세포 축소와 혈압 정상화에 도움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8 Votes0 file
    Read More
  16. 대사증후군 환자를 위한 글리신 보충제: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혈압 개선 연구

    Date2024.10.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2 Votes0 file
    Read More
  17. 글리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염증 완화 및 면역 반응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3 Votes0 file
    Read More
  18. 칼로리 제한과 글리신: 비만 쥐 모델에서 지방 감소와 근육 손실 예방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1 Votes0 file
    Read More
  19. 글리신 보충, 수명 연장 및 질병 예방 가능성 연구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1 Votes0 file
    Read More
  20. 글리신, 수면 부족 시 피로와 주간 집중력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0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