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Glycine supplementation during calorie restriction accelerates fat loss and protects against further muscle loss in obese mice (2016)

https://doi.org/10.1016/j.clnu.2015.08.013

 

해당 논문은 비만 유도된 쥐에게 글리신을 보충하여 칼로리 제한 중 근육량 보호와 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이다. 고지방 식단(HFD)으로 비만을 유도한 수컷 C57BL/6 쥐를 사용하여 20일간 40% 칼로리 제한을 시행하며, 한 그룹에는 글리신을, 다른 그룹에는 알라닌을 제공하였다. 대조군에는 일반식을 자유롭게 섭취 가능하도록 제공하였다. 체성분 및 혈당 내성을 평가하고, 실험 종료 후 근육과 지방 조직을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 요약

  • 체중 및 지방 감소
    • 칼로리 제한은 두 그룹 모두에서 급격한 체중 감소를 유도하였다. 글리신 그룹은 알라닌 그룹에 비해 더 많은 지방 감소, 특히 내장 지방 감소를 보였다.
    • 글리신을 보충한 쥐들은 알라닌을 보충한 쥐들보다 체지방이 더 많이 감소되었으며, 글리신 그룹은 내장 지방량이 26% 더 적었다.
  • 근육량 보호 효과
    • 글리신 보충은 칼로리 제한 기간 동안 근육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글리신 그룹은 대퇴사두근의 근육량이 4% 더 높게 유지되었다.
    • 칼로리 제한 초기 10일 동안의 근육 보호 효과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대사 및 염증 조절
    • 글리신 보충은 지방 손실을 촉진하고 염증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나, 칼로리 제한 종료 후 글리신과 알라닌 그룹 간에 유전자 발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실험 설계

  • 대상 동물
    • 16주령 수컷 C57BL/6 쥐 75마리 사용
    • 쥐들은 실험 기간 동안 12시간 밝음/12시간 어둠의 주기로 관리되었으며, 물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
  • 비만 유도 방법
    • 쥐들에게 고지방 식단(HFD)을 8주간 제공하여 비만을 유도
    • 고지방 식단 구성: 총 칼로리의 36%가 지방에서, 19.4%가 단백질에서 유래
    • 실험 시작 전, 모든 쥐들의 체중과 체지방률을 기록하고, 비만 상태를 확인

2. 칼로리 제한 및 보충제 조건

  • 칼로리 제한(CR) 조건
    • 8주간 고지방 식단 후, 비만 유도된 쥐들에 대해 40% 칼로리 제한 실시
    • 칼로리 제한 기간: 총 20일 동안 진행
  • 보충제 투여군
    • 글리신 보충군(GLY): 1g/kg/일의 글리신을 포함한 칼로리 제한 식단 제공 (쥐 15마리)
    • 알라닌 보충군(ALA): 1g/kg/일의 L-알라닌을 포함한 칼로리 제한 식단 제공 (쥐 15마리)
    • 대조군(CON): 일반식(AIN93G)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여 칼로리 제한 없이 관리 (쥐 15마리)

3. 식단 관리 및 영양소 구성

  • 고지방 식단
    • 실험 초기 8주 동안, 쥐들에게 고지방 식단을 자유롭게 제공하여 체중 증가와 지방 축적 유도
    • 식단 구성: 19.4% 단백질, 36% 지방
  • 칼로리 제한 식단
    • 제한된 칼로리 섭취를 보완하기 위해 비타민과 미네랄을 추가로 보충한 AIN93G 기반의 식단 제공
    • 글리신 및 알라닌 보충은 AIN93G 식단에 각각 1.9%의 비율로 첨가되어, 쥐들이 하루 1g/kg의 해당 아미노산을 섭취하도록 설정

4. 체성분 및 대사 측정 방법

  • 체성분 분석
    • EchoMRI™-100 기기를 사용해 체중, 체지방량, 근육량, 자유 수분량 등을 분석
    • 체성분 측정 시점: 고지방 식단 후, 칼로리 제한 시작 전, 중간(10일차), 최종(20일차)
  • 혈당 내성 검사(GTT)
    • 16시간 공복 후 글루코스(1g/kg)를 복강에 주입
    • 혈당 측정 시간: 기저 수치 및 투여 후 15, 30, 60, 90, 120분

5. 조직 수집 및 분석

  • 조직 수집
    • 실험 종료 후, 내장 지방 및 주요 근육(대퇴사두근, 비복근, 전경골근 등) 수집
    • 수집된 조직은 -80°C에서 보관하여 후속 분석에 사용
  • 유전자 및 단백질 분석
    • 유전자 발현 분석: 쿼드 근육에서 총 RNA 추출 후 cDNA로 변환, qPCR 수행
    • 단백질 분석: 근육 조직의 단백질을 추출하여 단백질 분해 및 합성 경로에 관련된 인자를 면역블롯팅으로 분석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Weight Loss (%): 글리신 보충군(GLY)과 알라닌 보충군(ALA) 모두 체중 감소를 보였으며, 글리신 보충군이 약간 더 높은 체중 감소를 보였다.
  2. Fat Mass Loss (%): 글리신 보충군이 알라닌 보충군에 비해 더 많은 체지방 감소를 나타내며, 체지방 감소에 있어 글리신의 효과가 두드러진다.
  3. Lean Mass Loss (%): 알라닌 보충군에 비해 글리신 보충군에서 근육 손실이 적어, 글리신의 근육 보호 효과를 보여준다.
  4. Epididymal Fat Loss (%): 글리신 보충군이 알라닌 보충군보다 더 많은 내장 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

1. 체중 및 체지방 변화

  • 고지방 식단의 효과
    • 고지방 식단(HFD)으로 인해 체중이 13% 증가하고, 체지방량은 29% 증가함
    • 혈당 내성 저하: HFD 그룹은 대조군(CON)에 비해 혈당 수치(AUC)가 24% 높았음 (P < 0.001)
  • 칼로리 제한의 체중 감소 효과
    • 칼로리 제한 20일 후, ALA 그룹은 평균 7.1g, GLY 그룹은 평균 7.5g의 체중 감소를 보임 (P < 0.01)
    • 글리신 보충군(GLY)은 알라닌 보충군(ALA)보다 체지방 감소가 14% 더 높았음 (P < 0.05)

2. 체지방 및 근육량 변화

  • 체지방 감소 효과
    • 글리신 보충군(GLY): 체지방량이 49% 감소, 내장 지방량 26% 감소 (P < 0.05)
    • 알라닌 보충군(ALA): 체지방량이 41% 감소, 내장 지방량에서 유의미한 차이 없음
  • 근육량 변화
    • 칼로리 제한 중 두 그룹 모두 근육량 감소, GLY 군은 알라닌 그룹보다 대퇴사두근 근육량이 4% 더 보존됨 (P < 0.01)
    • 특히, 칼로리 제한 초기 10일 동안 GLY 군의 근육 손실이 27% 더 적었음 (P < 0.05)

3. 대사 및 염증 유전자 발현

  • 염증 유전자 발현 감소
    • CR 후, ALA와 GLY 모두에서 염증 유전자(Tnfa, Ccl2, Ccl5) 발현이 감소함 (P < 0.05)
    • HFD 그룹과 비교했을 때, ALA와 GLY 그룹은 인슐린 감수성 및 지방산 대사를 담당하는 유전자(Ppara, Pparg)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함 (P < 0.05)
  • 글리신의 초기 효과
    • GLY 군은 초기 10일 동안 지방 감소와 염증 감소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20일 후 유전자 발현의 차이는 크지 않았음

4. 혈당 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 개선

  • 혈당 내성 개선
    • 칼로리 제한 후 ALA 및 GLY 그룹 모두 혈당 내성이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됨
    • GLY 군과 ALA 군 간 혈당 조절 능력에서의 추가적인 차이는 없었음

5. 체지방 및 근육 손실 간 상관관계

  • 체지방 변화와 근육 손실의 관계
    • 초기 체지방률이 높은 쥐들이 CR 중 더 많은 체지방을 잃었으며, GLY 군은 전체 체지방 감소가 더 컸음
    • 초기 체지방률과 염증 및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 간의 상관관계 발견
      • 높은 초기 체지방률은 염증 유전자(Tnfa, Ccl2 등)의 높은 발현과 연관
      • 낮은 초기 체지방률은 단백질 분해 유전자(Atrogin-1, Foxo4 등)의 낮은 발현과 연관

6. 단백질 합성 및 분해 신호 경로 분석

  • 단백질 분해 경로 활성화
    • 칼로리 제한 후, ALA와 GLY 그룹 모두에서 단백질 분해와 관련된 유전자(Atrogin-1, Foxo1) 발현 증가 (P < 0.05)
    • GLY 군에서의 초기 근육 보호 효과는 칼로리 제한 초기 10일 동안 염증 반응의 감소와 관련 있을 가능성 있음
  • 단백질 합성 경로 분석
    • CR 중 Akt/mTOR 경로의 활성은 감소하였으나, GLY와 ALA 그룹 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음

 

연구 결론

칼로리 제한 동안 글리신을 보충하면 지방 감소를 촉진하면서 근육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쥐 모델에서 확인하였다. 이는 급격한 체중 감소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으며, 체중 감량과 동시에 근육량을 유지하려는 목표를 가진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영양 보충 전략이 될 수 있다. 다만, 이 연구는 생쥐를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인간에게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관련된 추가 연구를 통해 인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쿠팡에서 글리신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X5eWU
아이허브 글리신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l-glycine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1. No Image notice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3814 Votes0
    read more
  2. 글리신, 비만성 염증 개선에 도움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

    Date2025.04.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39 Votes0 file
    Read More
  3. 글리신과 히스티딘 섭취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춘다

    Date2025.04.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30 Votes0 file
    Read More
  4. 글리신이 당뇨 백내장을 늦춘다? 동물 실험으로 확인된 효과

    Date2025.04.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44 Votes0 file
    Read More
  5. 당뇨병 가족력이 있다면? 글리신이 인슐린 분비에 주는 영향

    Date2025.04.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40 Votes0 file
    Read More
  6. 글리신 및 시스테인 보충으로 HIV 환자의 체지방 감소와 근력 회복 효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6 Votes0 file
    Read More
  7. 당뇨병과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및 글리신 보충으로 산화 스트레스 개선하기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72 Votes0 file
    Read More
  8. NMDA 수용체와 글리신: 수면 과학의 비밀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8 Votes0 file
    Read More
  9. 글리신, 기억력과 뇌 건강을 회복시키는 신경 보호 효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1 Votes0 file
    Read More
  10. 글리신 9g 고용량 섭취의 건강 효과와 부작용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6 Votes0 file
    Read More
  11. 글리신 섭취 후 뇌의 변화: 세로토닌 증가로 확인된 잠재 효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240 Votes0 file
    Read More
  12. 글리신 섭취가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 과학적 연구 결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60 Votes0 file
    Read More
  13. 글리신 섭취가 아침 피로를 줄이는 이유: 수면 질 개선 효과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4. 항산화제로서 글리신: 혈관 기능 회복에 도움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68 Votes0 file
    Read More
  15. 글리신 보충제, 지방세포 축소와 혈압 정상화에 도움

    Date2024.12.1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8 Votes0 file
    Read More
  16. 대사증후군 환자를 위한 글리신 보충제: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혈압 개선 연구

    Date2024.10.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2 Votes0 file
    Read More
  17. 글리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염증 완화 및 면역 반응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3 Votes0 file
    Read More
  18. 칼로리 제한과 글리신: 비만 쥐 모델에서 지방 감소와 근육 손실 예방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1 Votes0 file
    Read More
  19. 글리신 보충, 수명 연장 및 질병 예방 가능성 연구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1 Votes0 file
    Read More
  20. 글리신, 수면 부족 시 피로와 주간 집중력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0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