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Effects of short-term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ion on platelet mitochondrial DNA methylation levels and the potential mitigation by L-arginine supplementation (2021)

https://doi.org/10.1016/j.jhazmat.2021.125963

 

해당 논문은 단기적인 대기오염 노출이 혈소판의 미토콘드리아 DNA 메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르기닌(Arginine) 보충제가 이러한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 연구이다. 이 실험은 50~75세의 중장년층 참가자 11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 참가자들은 대기오염에 2시간 동안 노출되었다. 실험은 이중맹검, 위약 대조군 방식으로 아르기닌 보충과 비교하여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

  1. 대기오염과 DNA 메틸화의 관계

    • 짧은 시간 동안 PM2.5와 블랙 카본(BC) 같은 미세 입자에 노출되면 혈소판의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메틸화가 감소(저메틸화)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에너지 생산과 관련된 ATP6, ATP8 유전자와 미토콘드리아의 전사와 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D-loop 영역에서 두드러졌다.
    • 이러한 저메틸화 현상은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는 심혈관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는 심혈관계 질환, 특히 혈전증이나 동맥경화와 같은 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2. 아르기닌 보충의 완화 효과

    • 연구에서 아르기닌을 2주간 보충한 그룹에서는 대기오염이 미토콘드리아 DNA 메틸화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D-loop 영역에서 이러한 완화 효과가 두드러졌다. 아르기닌이 산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산화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DNA 메틸화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 결과적으로, 아르기닌 보충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장기적으로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 방법

  1. 참가자 모집 및 선발 과정

    • 연구 대상 모집: 연구 시작 전, 북경의 지역 병원에서 505명을 대상으로 사전 스크리닝을 통해 참가자 모집
    • 대상자 제외
      • 탈락: 87명이 예정된 신체검사에 참여하지 않음
      • 부적합: 174명은 연구 기준에 부합하지 않음
      • 자발적 철회: 126명은 신체검사 후 연구에서 자발적으로 철회
    • 최종 참여자: 118명이 연구 기준에 맞고 동의, 이 중 110명이 최종 연구 절차를 완료
  2. 참가자 선정 기준

    • 연령: 50세에서 75세 사이
    • 건강 상태: 혈압이 수축기 120~160 mmHg, 이완기 <100 mmHg 범위에 해당
    • 생활 습관: 비흡연자, 기존에 혈관 관련 보충제나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자
    • 제외 기준:
      • 심각한 고혈압이나 심혈관 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 주요 만성 질환자
      • 최근 3개월 이내 급성 심장 증상 경험자
      • 알코올 또는 약물 중독자 및 아르기닌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 자
      • 혈중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4.92mmol/L 이상 또는 당화혈색소가 9% 이상인 자
      • 고용 환경에서 오염물질에 노출된 경력이 있는 자
  3. 연구 설계

    • 연구 유형: 무작위 배정된 이중맹검 위약 대조군 실험
    • 집단 배정: 최종 참여자 118명을 아르기닌 보충군(59명)과 위약군(59명)으로 무작위 배정
    • 아르기닌 보충 방법: 하루에 3g씩 3회 복용 (총 9g/일), 2주간 지속
    • 위약 투여 방법: 아르기닌 보충군과 동일한 조건으로 위약 투여
  4. 대기오염 노출 실험

    • 노출 설계:
      • 연구 마지막 날 14일째, 오전에 아르기닌 보충군과 위약군 각각 1명씩 짝을 지어 2시간 동안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걷기
      • 노출 시간 구분: 실험 중 2시간 노출과 실험 종료 후 24시간 동안의 추가 노출로 구분하여 연구
    • 개인 노출 측정 장비
      • PM2.5: MicroPEM을 사용하여 미세먼지 농도 실시간 측정
      • 블랙 카본: microAeth 모델 AE51로 실시간 측정
      • 이산화질소(NO2): Aeroqual 시리즈 500 NO2 측정기로 2시간 동안 노출된 농도 측정 (24시간 노출 데이터는 고정 모니터링 장비를 통해 수집)
      • 소음, 온도 및 습도: ASV5910 및 HOBO 온습도 기록기로 걷기 동안의 환경 조건 측정
  5. 혈소판 미토콘드리아 DNA(mtDNA) 메틸화 분석

    • 혈소판 추출 및 mtDNA 준비: 참가자의 혈소판을 원심분리로 분리하고 -80℃에서 보관 후 분석
    • 메틸화 분석 과정
      • DNA 변환: EZ DNA 메틸화 키트를 이용해 1 µg의 mtDNA를 비설파이트 변환
      • PCR 증폭: 변환된 DNA로부터 GoTaq hot start 폴리메라제를 이용한 PCR 증폭
      • 후속 분석: pyrosequencing 방법을 사용하여 mt12sRNA, ATP6, ATP8, MT-COX1, MT-COX2, MT-COX3, D-loop 영역의 CpG 메틸화 수준 측정
  6. 혈장 아르기닌 농도 측정

    •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 LC-MS/MS 방법을 통해 혈중 아르기닌 농도 정량 분석
    • 측정 시점: 연구 시작 전(1일차), 14일째 노출 전후로 혈장 아르기닌 농도 측정
  7. 통계 분석

    • 집단 간 메틸화 차이: 아르기닌 보충군과 위약군 간 메틸화 변화의 차이를 분석
    • 회귀분석: 다변량 선형 회귀를 통해 PM2.5, BC, NO2 노출이 메틸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BMI) 등 교란변수를 보정
    • 상관분석: 노출된 오염물질 농도와 메틸화 변화 간 상관관계 평가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Methylation Change by Exposure Type

  • 각 대기오염 노출 유형(PM2.5, BC, NO2)에 따른 혈소판 미토콘드리아 DNA 메틸화 변화율을 보여준다. 노출 기간은 짧게는 2시간(PM2.5 (2h), BC (2h))에서 길게는 24시간(PM2.5 (24h), BC (24h), NO2 (24h))까지 다양하며, 각 막대의 길이는 평균 메틸화 변화율을, 오차 막대는 표준 오차를 나타낸다.

  • 메틸화 감소: PM2.5와 블랙 카본(BC)은 2시간, 24시간 노출 모두에서 DNA 메틸화 수준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특히 PM2.5 (24h)와 BC (24h) 노출에서는 D-loop 영역의 메틸화가 크게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이산화질소(NO2)는 24시간 노출 시 mt12sRNA의 메틸화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 대기오염에 단기간 노출되면 DNA 메틸화 수준에 변화가 생기며, 이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세포 에너지 생산에 영향을 미쳐 심혈관계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2. Plasma L-Arginine Levels Over Time

  • 아르기닌 보충군과 위약군의 혈장 내 아르기닌 농도 변화를 연구 기간 동안 측정한 그래프이다. 네 개의 주요 시점(Day 1, Day 14 (before walk), Day 14 (after walk), Day 15 (follow-up))에서 농도를 측정하였다.

    • 아르기닌 보충 효과: 아르기닌 보충군의 경우, 연구 초반보다 14일 동안 보충제를 복용한 후 혈중 아르기닌 농도가 뚜렷하게 증가했다. 이는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대기오염 노출로 인한 산화적 손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아르기닌 보충군은 아르기닌 농도의 유의미한 상승을 통해 대기오염 노출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는 메틸화 수준의 안정화를 통해 심혈관계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Methylation Changes in Gene Regions Before and After Exposure

  • 대기오염 노출 전후 각 유전자 영역(D-loop, ATP8, ATP6 등)에서의 노출 전/후 DNA 메틸화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 메틸화 감소: 노출 후 대부분의 유전자 영역(D-loop, ATP8 등)에서 메틸화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D-loop 영역에서 메틸화 수준이 크게 낮아졌다. 특정 유전자(mt12sRNA, MT-COX2)에서는 메틸화 수준이 증가했으며, 이는 대기오염의 종류나 노출 시간에 따라 미토콘드리아 내 특정 유전자 영역의 메틸화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대기오염에 노출되면 미토콘드리아 DNA 메틸화가 감소하거나 특정 유전자 영역에서 변화가 발생하여, 장기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아르기닌 보충이 이러한 변화의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본 연구가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1. 대상자 기본 특성

    • 평균 연령: 63.4세 ± 5.7세
    • 성비: 남성 39.1%, 여성 60.9%
    • 평균 BMI: 25.9 ± 2.7 kg/m²
    • 환경 조건: 2시간 동안 평균 PM2.5 농도는 69.0 µg/m³, 24시간 동안 52.5 µg/m³로 WHO 기준치를 초과
  2. 대기오염과 미토콘드리아 DNA 메틸화 변화

    • PM2.5 노출의 영향
      • 2시간 PM2.5 노출: mt12sRNA 메틸화 감소, ATP6, ATP6_P1 메틸화의 경미한 감소
      • 24시간 PM2.5 노출: D-loop 영역에서 메틸화 감소, 1.34% 감소 (95% CI: -2.18%, -0.50%)
    • 블랙 카본(BC) 노출의 영향
      • 2시간 BC 노출: MT-COX3_P2, D-loop 영역 메틸화 감소
      • 24시간 BC 노출: ATP8_P1과 D-loop 영역에서 메틸화 감소
    • 이산화질소(NO2) 노출의 영향
      • 2시간 NO2 노출: ATP8_P1 메틸화 감소 경향
      • 24시간 NO2 노출: mt12sRNA 메틸화 증가, 0.37% 증가 (95% CI: 0.02%, 0.71%)
  3. 아르기닌 보충의 완화 효과

    • 메틸화 변화 완화
      • 아르기닌 보충군에서 D-loop 영역의 메틸화 변화가 위약군보다 덜 두드러짐 (PM2.5와 BC 노출 모두에 대한 완화 효과 확인)
    • 다른 유전자 영역의 보호 효과
      • MT-COX1, ATP8 등 다양한 유전자 영역에서도 아르기닌이 대기오염 노출로 인한 메틸화 저하를 억제하는 경향 확인
    • 블랙 카본 노출 완화: PM2.5보다 블랙 카본에 대한 완화 효과가 더 두드러짐, BC 저감이 심혈관 건강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
  4. 혈장 아르기닌 농도 변화

    • 증가 경향
      • 아르기닌 보충군에서 14일간 보충 후 혈장 아르기닌 농도 증가 (100.7 ± 35.0 μmol/L)
      • 2시간 노출 후 117.8 ± 46.0 μmol/L, 24시간 노출 후 99.8 ± 40.8 μmol/L로 위약군보다 높음
    • 의미: 아르기닌 농도의 증가는 산화 스트레스 억제를 통해 대기오염의 유해 영향을 완화 가능
  5. 통계적 검정 결과

    • 아르기닌 보충군과 위약군 간 메틸화 수준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남 (특히 D-loop 영역)
    • 상관분석 결과: PM2.5, BC, NO2 노출이 각각의 mtDNA 메틸화 영역에 미치는 상관관계가 확인됨
    • 다변량 회귀 분석 결과: PM2.5 및 BC 노출이 미토콘드리아 DNA의 특정 영역에 메틸화 저하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

 

연구 결론

이 연구는 짧은 시간의 대기오염 노출이 혈소판의 미토콘드리아 DNA에 영향을 미쳐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도시 생활에서 자주 노출되는 PM2.5나 블랙 카본과 같은 미세먼지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방하기 위해, 아르기닌 보충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해가 심한 지역에 거주하는 중장년층이라면 아르기닌 보충제를 고려해볼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 No Image notice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3814 Votes0
    read more
  2. NF-κB, TGF-β 억제를 통한 테아닌의 간 섬유화 방지 연구 결과

    Date2024.11.1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3 Votes0 file
    Read More
  3. BCAA, 운동 후 근육 손상 감소와 회복 촉진 효과 입증

    Date2024.11.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44 Votes0 file
    Read More
  4. 8주간의 밀크씨슬 보충제 효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및 간 건강 증진 연구

    Date2024.11.1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3 Votes0 file
    Read More
  5. 간 건강과 산화 스트레스 관리: 밀크씨슬 보충제의 항산화 효과 분석

    Date2024.11.1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8 Votes0 file
    Read More
  6. 콜라겐 펩타이드 보충의 효과: 통증 감소와 삶의 질 향상 연구

    Date2024.11.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92 Votes0 file
    Read More
  7. 대기오염 노출이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르기닌의 보호 효과 분석

    Date2024.11.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8. 대사증후군 환자를 위한 글리신 보충제: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혈압 개선 연구

    Date2024.10.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2 Votes0 file
    Read More
  9. 글리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염증 완화 및 면역 반응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3 Votes0 file
    Read More
  10. 칼로리 제한과 글리신: 비만 쥐 모델에서 지방 감소와 근육 손실 예방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1 Votes0 file
    Read More
  11. 글리신 보충, 수명 연장 및 질병 예방 가능성 연구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1 Votes0 file
    Read More
  12. 글리신, 수면 부족 시 피로와 주간 집중력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0 Votes0 file
    Read More
  13. 알츠하이머와 비오틴의 상관관계: 타우 단백질 독성 완화 가능성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3 Votes0 file
    Read More
  14. 다발성 경화증에 비오틴의 새로운 가능성: 장애 개선 및 악화 억제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1 Votes0 file
    Read More
  15. 비오틴의 역할과 치료 가능성: 임신, 유전자 발현, 다발성 경화증, 그리고 임상 검사 간섭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3 Votes0 file
    Read More
  16. 오메가-3 보충제가 아동의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성별과 정신병적 성향에 따른 차이

    Date2024.10.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3 Votes0 file
    Read More
  17. 오메가-3 섭취가 영아 학대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일본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

    Date2024.10.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8. 개의 공격성과 오메가-3 지방산의 연관성: DHA 결핍이 미치는 영향

    Date2024.10.2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0 Votes0 file
    Read More
  19. 오메가-3와 공격성의 연관성: 교도소 수감자 연구로 본 주의력 결핍과 적대감

    Date2024.10.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8 Votes0 file
    Read More
  20. 마그네슘 보충제가 우울증과 불안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

    Date2024.10.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2 Votes0 file
    Read More
  21. 비타민 D와 오메가-3 지방산, 자가면역질환 위험 감소 효과 확인 - VITAL 임상시험 요약

    Date2024.10.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8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