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에서 식초 섭취의 혈당 및 지질 대사 개선 효과

by 서플팩트 posted Dec 17,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Vinegar Consumption Increases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by the Forearm Muscle in Humans with Type 2 Diabetes (2015)

https://doi.org/10.1155/2015/175204

 

이 연구는 식초 섭취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및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무작위 교차 임상 실험이다. 식초의 주요 성분인 아세트산(acetic acid)은 전통적으로 혈당을 낮추는 데 사용되었으며, 현대 연구에서도 혈당과 지질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에서 이러한 효과가 근육 내 대사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연구 설계 및 방법

참여자 특성

  • 총 11명: 제2형 당뇨병 진단을 받은 성인(남성 4명, 여성 7명)
  • 평균 연령: 53 ± 4세, BMI: 25 ± 1, HbA1c(당화혈색소): 6.8 ± 0.3%
  • 참여자는 약물 치료를 받지 않고 당뇨 합병증이 없는 상태였으며, 연구 시작 전 체중과 식단을 2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한 상태였다.

실험 과정

  1. 준비
    • 실험 전날 밤 금식 후 오전 7시에 병원 방문
    • 팔의 요골 동맥과 반대쪽 팔의 전완 정맥에 카테터 삽입
  2. 섭취 단계
    • 무작위로 식초(아세트산 6% 30mL + 물 20mL) 또는 위약(물 50mL)을 섭취
    • 5분 후 혼합 식사 제공(557kcal: 탄수화물 75g, 단백질 26g, 지방 17g)
    • 실험은 1주 간격으로 두 번 진행(교차 설계)
  3. 측정 항목
    • 혈당 및 인슐린: 식전, 식후 15~60분 간격으로 총 300분 동안 채혈
    • 중성지방, 유리지방산(NEFA), 글리세롤: 동맥 혈액 채취
    • 근육 혈류: 전완 근육에서 혈류 측정(수은 스트레인 게이지 혈류 측정법)
    • 포도당 흡수량 계산: 동정맥 간 포도당 차이와 혈류량의 곱으로 산출
  4. 분석 방법

    • 데이터는 평균 ± 표준 오차로 제시

    • 식초와 위약 간의 차이는 쌍체 t-검정으로 분석

 

연구 결과

1. 혈당 및 인슐린 농도 변화

  • 혈당
    • 식초 섭취군에서 식후 혈당 상승이 유의미하게 억제됨
    • 혈당 AUC(0–300분): 식초군 2834, 위약군 3005 mmol·min (p=0.0279)
  • 인슐린
    • 식초 섭취로 인슐린 농도가 감소,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었음을 시사
    • 인슐린 AUC(0–300분): 식초군 16136, 위약군 20473 μU/L·min (p=0.0457)

2. 근육의 포도당 흡수량 증가

  • 근육 포도당 흡수
    • 식초 섭취군에서 포도당 흡수량이 위약군보다 증가
    • AUC(0–300분): 식초군 765, 위약군 579 μmol/100mL 조직 (p=0.0357)

3. 지질 대사 변화

  • 중성지방
    • 식후 중성지방 농도가 식초 섭취군에서 감소
    • 중성지방 AUC(0–300분): 식초군 371, 위약군 409 nmol/L·min (p=0.0439)
  • 유리지방산 및 글리세롤: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 없음

4. 근육 혈류 변화

  • 식초 섭취가 근육 혈류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는 않았음

 

fig1.jpg

 

식초 섭취가 혈당과 인슐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

(a) 식후 혈당 변화

  • X축: 시간 (식사 직전부터 300분까지)

  • Y축: 동맥 혈장 내 혈당 농도 (mmol/L)
  • V+ (식초 섭취군): 상대적으로 낮은 곡선
  • V− (위약군): 더 높은 곡선
  • 결과 해석

    1. 혈당 변화 경향
      • 식사 후 위약군(V−)에서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여 약 60분에 최고점에 도달
      • 식초 섭취군(V+)에서는 혈당 상승 폭이 감소하며, 최고점도 낮음
    2. 의미
      • 식초가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여 혈당 스파이크(급격한 혈당 상승)를 완화
      • 결과적으로 혈당 AUC(곡선 아래 면적)가 식초 섭취군에서 유의미하게 낮음 (p=0.0279)

(b) 식후 인슐린 변화

  • X축: 시간 (식사 직전부터 300분까지)

  • Y축: 동맥 혈장 내 인슐린 농도 (μU/mL)
  • V+ (식초 섭취군): 낮은 곡선
  • V− (위약군): 더 높은 곡선
  • 결과 해석

    1. 인슐린 변화 경향:
      • 위약군(V−)은 식사 후 인슐린이 급격히 증가, 약 60~120분 사이 최고치를 기록
      • 식초 섭취군(V+)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슐린 농도를 유지
    2. 의미
      • 식초가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켜 과잉 인슐린 상태(고인슐린혈증)를 억제
      • 이는 인슐린 민감성이 개선되었음을 시사
      • 인슐린 AUC가 식초 섭취군에서 유의미하게 낮음 (p=0.0457)

 

fig2.jpg

 

식초 섭취가 근육 혈류와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영향

(a) 근육 혈류 변화

  • X축: 시간 (식사 직전부터 300분까지)

  • Y축: 전완 근육 혈류량 (mL/min/100mL 조직)
  • V+ (식초 섭취군)
  • V− (위약군)
  • 결과 해석

    1. 근육 혈류 경향
      • 두 그룹 모두 식후 혈류가 약간 증가하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음
      • 혈류 AUC(곡선 아래 면적): 식초 섭취군 1123 vs. 위약군 1100 mL/min/100mL tissue (p=NS;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2. 의미
      • 식초 섭취는 전완 근육 혈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식초가 근육 대사에 미치는 효과는 혈류 변화가 아니라 인슐린 민감성 및 포도당 흡수 개선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음

(b) 근육 포도당 흡수 변화

  • X축: 시간 (식사 직전부터 300분까지)

  • Y축: 전완 근육 포도당 흡수량 (μmol/min/mL tissue)
  • V+ (식초 섭취군): 높은 곡선
  • V− (위약군): 낮은 곡선
  • 결과 해석

    1. 포도당 흡수 경향
      • 위약군(V−)의 포도당 흡수는 식후에도 비교적 낮게 유지됨
      • 식초 섭취군(V+)은 포도당 흡수가 유의미하게 증가
      • 포도당 흡수 AUC: 식초 섭취군 765 vs. 위약군 579 μmol/100mL 조직 (p=0.0357)
    2. 의미
      • 식초는 근육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켜 혈당 감소에 기여
      • 이는 식초가 인슐린 작용을 개선하고, 근육 조직이 혈당을 더 잘 활용하도록 도움을 주었음을 나타냄

 

fig3.jpg

 

식초 섭취가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a) 혈장 중성지방 농도 변화

  • X축: 시간 (식사 직전부터 300분까지)

  • Y축: 혈장 중성지방 농도 (μmol/L)
  • V+ (식초 섭취군): 낮은 곡선
  • V− (위약군): 더 높은 곡선
  • 결과 해석

    1. 중성지방 변화 경향
      • 위약군(V−)은 식후 중성지방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
      • 식초 섭취군(V+)은 중성지방 증가 폭이 현저히 낮아, 전반적으로 더 낮은 농도를 유지
    2. 의미
      • 식초가 식후 고중성지방혈증을 완화
      • 중성지방 AUC(곡선 아래 면적): 식초군 371 vs. 위약군 409 nmol/L·min (p=0.0439)

(b) 혈장 유리지방산 농도 변화

  • X축: 시간 (식사 직전부터 300분까지)

  • Y축: 혈장 유리지방산 농도 (μmol/L)
  • V+ (식초 섭취군)
  • V− (위약군)
  • 결과 해석

    1. 유리지방산 변화 경향
      • 두 그룹 모두 유리지방산 농도가 비슷한 패턴으로 감소
      • 유의미한 차이는 없음 (p=NS;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2. 의미: 식초는 유리지방산 대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

(c) 혈장 글리세롤 농도 변화

  • X축: 시간 (식사 직전부터 300분까지)

  • Y축: 혈장 글리세롤 농도 (μmol/L)
  • V+ (식초 섭취군)
  • V− (위약군)
  • 결과 해석

    1. 글리세롤 변화 경향
      • 두 그룹 모두 식후 글리세롤 농도가 유사하게 감소
      • 유의미한 차이는 없음 (p=NS;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2. 의미: 식초는 지방 분해(lipolysis)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

 

결론 및 제안

이 연구는 식초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1. 식후 혈당 조절: 혈당 상승 억제와 인슐린 저항성 개선
  2. 근육 대사 개선: 포도당 흡수량 증가를 통해 인슐린 작용 강화
  3. 중성지방 감소: 혈중 지질 대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실생활 적용 팁

  • 섭취 방법
    • 식사 전에 식초를 소량 섭취하거나, 샐러드 드레싱으로 활용
    • 물과 희석하여 음료 형태로 섭취 가능
  • 주의 사항
    • 과도한 섭취는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정량(1~2스푼)을 권장
    • 당뇨약 복용 중이라면 의료진과 상의 후 섭취

Articles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