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조회 수 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Parental divorce’s long shadow: Elevated stroke risk among older Americans (202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316580

 

이 연구는 부모의 이혼이 노년기의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다. 연구진은 2022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행동 위험 요인 감시 시스템(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BRFSS) 데이터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성인 13,20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이혼과 뇌졸중 발생률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특히 연구는 어린 시절 신체적·성적 학대를 경험하지 않은 성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부모 이혼의 독립적인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이 연구는 단면적 연구(cross-sectional study)로 설계되었으며, 미국 CDC의 2022년 행동 위험 요인 감시 시스템(BRFSS)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행되었다.

  • BRFSS 데이터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매년 실시하는 건강 관련 위험 요인 조사
  • 무작위 표본 방식(random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미국 내 50개 주에서 데이터를 수집
  • 연구 대상자는 비입원 상태의 일반 성인(non-institutionalized adults)

2. 연구 대상 선정 기준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년층을 대상으로 부모 이혼과 뇌졸중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1) 포함 기준

  • 65세 이상 미국 거주자
  • 어린 시절 신체적·성적 학대를 경험하지 않은 사람
  • 설문 조사에서 뇌졸중 여부에 대한 응답이 있는 사람

(2) 제외 기준

  • 65세 미만 성인
  • 어린 시절 신체적·성적 학대를 경험한 사람
  • 데이터가 불완전하거나 결측값(missing data)이 있는 응답자

3. 변수 정의 및 측정 방식

연구에서는 주요 변수(독립 변수 및 종속 변수)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측정하였다.

(1) 종속 변수 (Outcome Variable)

  • 뇌졸중 발생 여부 (Stroke)
    • 설문 질문: “의사로부터 뇌졸중 진단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 응답: “예” 또는 “아니오”
    • “예”라고 응답한 경우 1(뇌졸중 경험 있음), “아니오”라고 응답한 경우 0(뇌졸중 경험 없음)으로 코딩

(2) 독립 변수 (Exposure Variable)

  • 부모 이혼 여부 (Parental Divorce)
    • 설문 질문: “18세 이전에 부모님이 이혼하거나 별거하신 적이 있습니까?”
    • 응답: “예” 또는 “아니오”
    • “예”라고 응답한 경우 1(부모 이혼 경험 있음), “아니오”라고 응답한 경우 0(부모 이혼 경험 없음)으로 코딩

(3) 공변량(Covariates)

연구에서는 뇌졸중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사회경제적·건강 관련 요인들을 통제 변수로 포함하였다.

  1. 인구통계학적 변수

    • 성별 (남성, 여성)
    • 연령 (65-69세, 70-74세, 75-79세, 80세 이상)
    • 인종 (비히스패닉 백인, 비히스패닉 흑인, 히스패닉 및 기타 인종)
    • 거주 지역 (도시 지역, 농촌 지역)
  2. 사회경제적 변수

    • 교육 수준 (고등학교 졸업 이하, 대학 졸업 이상)
    • 가구 소득 수준 (연 소득 $20,000 미만, $20,000~$34,999, $35,000~$49,999, $50,000 이상)
  3. 건강 행동 변수

    • 흡연 여부 (현재 흡연자, 과거 흡연자, 비흡연자)
    • 음주 여부 (과음 여부)
    • 신체 활동 수준 (규칙적 운동 여부)
    • 체질량지수(BMI)
  4. 건강 상태 변수

    • 당뇨병 유무
    • 우울증 유무

 

연구 결과

1. 부모 이혼과 뇌졸중 위험

  • 부모 이혼을 경험한 성인은 그렇지 않은 성인보다 뇌졸중 위험이 1.61배 증가(AOR = 1.61, 95% CI = 1.15–2.24)
  • 성별에 관계없이 부모 이혼은 뇌졸중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었음

2. 연령별 뇌졸중 발생률

  • 연령이 증가할수록 뇌졸중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남

    • 75~79세: 65~69세 대비 뇌졸중 위험 1.74배 증가
    • 80세 이상: 65~69세 대비 뇌졸중 위험 2.11배 증가

3. 성별에 따른 뇌졸중 발생 차이

  • 남성의 뇌졸중 발생 위험이 여성보다 1.47배 높음
  • 여성은 폐경 이후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하지만, 65세 이상에서는 남성이 더 높은 위험을 가짐

4. 사회경제적 요인과 뇌졸중

  • 소득이 낮을수록 뇌졸중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
    • 연 소득 $20,000 미만: 뇌졸중 위험이 2.01배 증가
    • 연 소득 $20,000~$34,999: 뇌졸중 위험이 1.76배 증가

5. 건강 요인과 뇌졸중 위험

  • 우울증이 있는 경우 뇌졸중 위험이 1.76배 증가
  • 당뇨병이 있는 경우 뇌졸중 위험이 1.37배 증가
  • 운동 부족한 경우 뇌졸중 위험 증가

 

output.png

 

부모 이혼, 연령, 소득 및 성별에 따른 뇌졸중 발생 위험 분석

  1. 부모 이혼과 뇌졸중 위험 (Stroke Risk by Parental Divorce)

    • 부모가 이혼하지 않은 사람의 뇌졸중 발생률은 7.5%, 부모 이혼을 경험한 사람의 뇌졸중 발생률은 11.2%로 나타났다.
    • 부모 이혼을 경험한 경우 뇌졸중 위험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2. 연령별 뇌졸중 위험 (Stroke Risk by Age Group)

    • 나이가 많아질수록 뇌졸중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65-69세는 5.9%, 70-74세는 6.7%, 75-79세는 8.4%, 80세 이상은 10.9%로 나이가 많을수록 뇌졸중 위험이 높아졌다.
  3. 소득별 뇌졸중 위험 (Stroke Risk by Income Level)

    • 소득이 낮을수록 뇌졸중 위험이 증가했다.
    • 연 소득 2만 달러 미만인 사람의 뇌졸중 발생률이 15.6%로 가장 높았으며, 소득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감소하여 연 소득 7만 5천 달러 이상에서는 5.3%로 가장 낮았다.
  4. 성별 뇌졸중 위험 (Stroke Risk by Gender)

    • 남성의 뇌졸중 발생률이 9.0%, 여성의 뇌졸중 발생률이 7.0%로 나타났다.
    • 남성이 여성보다 뇌졸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론

이 연구는 부모 이혼이 단순한 가정 문제를 넘어 장기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혼을 경험한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스트레스 관리,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장기적인 건강 리스크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40 Votes0
    read more
  2. 운동과 게임의 결합, 노인의 인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Date2025.03.3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3. 저녁형 인간이 우울감을 더 자주 느끼는 과학적 이유

    Date2025.03.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5 Votes0 file
    Read More
  4. 하루 4g의 계피, 혈당과 중성지방 관리에 도움될 수 있다

    Date2025.03.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5. 자연을 보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줄어든다

    Date2025.03.1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6. 임신 중 모체의 대사 건강이 태아의 비만 위험을 결정한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7. 임신 초기 비만, 자녀의 정신 및 행동 장애와 연관 있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6 Votes0 file
    Read More
  8. ADHD와 자폐증 위험을 높이는 의외의 요인: 임신 중 서구식 식단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3 Votes0 file
    Read More
  9. 향신료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법

    Date2025.03.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0. 장내 유익균을 늘리는 방법 - 향신료 섭취의 과학적 근거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1. 향신료가 장내 환경을 바꾼다? 박테로이데스와 비피도박테리움 변화 분석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2. 요거트와 장내 세균, 대장암 예방 효과 연구 결과

    Date2025.02.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3. 정신질환의 유전적 원인: 신경 발달과 단백질 네트워크의 숨겨진 역할

    Date2025.02.1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14. 미세플라스틱이 혈관을 막아 뇌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0 Votes0 file
    Read More
  15. 근육 속 지방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BMI와 내장지방보다 더 중요한 건강 지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2 Votes0 file
    Read More
  16. 부모 이혼이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 연구 결과 분석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89 Votes0 file
    Read More
  17. 치매 환자의 뇌에서 미세플라스틱 5배 더 검출, 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8. 코로나19 감염 후 치매 위험 증가? 알츠하이머와의 연관성 연구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19. 커피는 언제 마셔야 할까? 아침 커피가 건강에 더 좋은 이유

    Date2025.0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5 Votes0 file
    Read More
  20. IL-6와 뇌 건강: 염증이 인지 능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21. 염증과 대사 증후군, 뇌 건강을 위협한다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7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