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리뷰 논문 정보

조회 수 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Obesity and pregnancy, the perfect metabolic storm (2021)

https://doi.org/10.1038/s41430-021-00914-5

 

임신은 산모와 태아의 생리적 변화를 요구하며, 특히 지방 조직의 대사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비만 상태에서의 임신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단기적 및 장기적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산모의 과도한 체지방 축적과 대사 스트레스는 태반을 통한 과도한 영양 전달, 태아의 지방 축적 증가, 그리고 장기적인 대사 질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임신 중 대사 변화와 비만의 영향

  1. 임신 중 대사 변화

    • 임신 초반(동화 작용 단계): 지방 조직 확장이 이루어지며, 산모의 에너지 저장을 위한 지방 축적이 증가한다.
    • 임신 후반(이화 작용 단계): 지방 분해가 활성화되고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저장된 에너지가 태아로 전달된다.
    • 정상적인 임신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적절히 조율되지만, 비만 산모의 경우 대사 스트레스가 과도해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비만이 지방 조직에 미치는 영향

    • 비만으로 인해 지방 조직이 과도하게 확장되며, 지방 세포의 크기가 커지는(비대) 대신 세포 수 증가는 제한된다.
    • 내장 지방(visceral fat)이 증가하면 염증, 인슐린 저항성, 지질 독성(lipotoxicity)과 같은 대사적 문제를 유발한다.
    • 지방 조직의 염증과 섬유화는 조직의 유연성을 감소시키고, 산모의 대사 적응력을 약화시킨다.

 

산모 비만의 영향

  1.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

    • 임신성 당뇨병(GDM): 비만 산모의 GDM 발병 위험은 정상 체중 산모보다 6.5배 높다.
    • 고혈압 및 자간전증: 산모의 혈압 상승과 함께 자간전증 위험이 증가한다.
    • 산후 체중 유지: 임신 중 과도한 체중 증가는 산후에도 비만 상태를 지속시키며, 제2형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CVD) 위험을 높인다.
  2.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 거대아(macrosomia): 과도한 지방 축적과 체중 증가.
    • 조산 및 성장 장애: 비만 산모의 태아는 조산 및 체중 저하 또는 성장 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 장기적 대사 질환 위험: 태아기의 과도한 영양소 노출은 성인 비만과 대사 질환(예: 당뇨병) 발생 위험을 높인다.

 

태반의 역할과 산모 비만시 발생하는 문제점

  1. 태반 기능 변화

    • 태반은 모체와 태아 사이의 주요 대사 및 영양 교환 기관입니다. 비만 산모의 태반은 크기가 커지고 염증 상태가 강화된다.
    • 지방산 및 포도당의 과도한 전달로 태아의 과도한 지방 축적이 촉진된다.
  2. 태아 성장과 지방 축적

    • 비만 산모의 태아는 초과 영양소 노출로 인해 지방 축적 능력이 증가하며, 이는 후에 대사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후생유전학(후천적 유전)과 비만

  1. 후생유전학의 역할

    • 후생유전학은 환경적 요인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는 유전적 변이 없이도 대사 건강과 지방 조직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산모의 비만은 지방 세포 분화 및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PPARγ 등)의 발현을 억제하며, 이러한 변화는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다.
  2. 후생유전학적 변화의 세대 간 전달

    • 비만 산모의 태아는 지방 조직의 발달 과정에서 비정상적인 유전자 발현 패턴을 보일 수 있다.
    • 태아기의 유전자 발현 변화는 성인기에도 지속될 수 있으며, 심지어 다음 세대로 전달되어 세대 간 비만 및 대사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
  3. 구체적 사례

    • 연구에 따르면, 비만 산모의 태아는 지방 조직에서 PPARγ 유전자의 메틸화 수준이 높아져 지방 세포 분화 및 대사 기능이 저하된다.

 

fig3.jpg

 

비만과 임신의 부정적 결과

1. 임신 전 비만이 미치는 영향

  • 불임 및 자발적 유산
    • 비만 여성은 무배란으로 인해 임신이 어려울 수 있으며, 자발적 유산의 위험이 높아진다.
    • 이러한 문제는 비만과 연관된 인슐린 저항성과 호르몬 불균형(고안드로겐혈증)으로 인해 발생한다.
  • 태아 착상 장애
    • 자궁 내막 유전자 발현의 변화로 인해 착상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2. 임신 중 비만이 미치는 영향

  •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

    • 임신성 당뇨병(GDM)
      • 비만 산모는 정상 체중 산모보다 임신성 당뇨병 위험이 약 6.5배 높다.
      • 임신 중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인슐린 저항성이 비만으로 인해 과도하게 증가한다.
    • 고혈압 및 자간전증
      • 혈압 상승과 함께 자간전증 위험이 증가하여 산모의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
    • 산후 비만
      • 과도한 체중 증가는 산후에도 유지되며, 장기적으로 심혈관 질환(CVD) 및 제2형 당뇨병 위험을 높인다.
  •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 거대아(macrosomia)
      • 태아의 과도한 체중 증가와 지방 축적을 일으킨다.
      • 이는 출산 과정에서 난산 위험을 높이고 신생아의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 대사 프로그래밍 변화
      • 태아는 과도한 지방산과 포도당에 노출되어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대사적 결함을 가지며, 이는 성인기 비만과 대사 질환 위험을 증가시킨다.

3. 세대 간 전이

  • 태아에서 아동기로의 영향
    • 비만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는 성장하면서 비만 및 대사 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 후생유전학적 전이
    • 비만 산모로 인해 태아에서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며, 이러한 후생유전학적 변화는 다음 세대에까지 전달될 가능성이 있다.

 

결론

비만은 임신 중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비만 산모는 염증, 대사 장애, 그리고 태아의 과도한 지방 축적을 유발하며, 이는 세대 간 대사 질환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임신 전 체중 관리와 건강한 생활 습관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영양 섭취와 체중 증가 관리로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산모와 태아의 장기적인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 No Image notice

    각종 건강 정보에 대한 리뷰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540 Votes0
    read more
  2. 근시 억제에 효과적인 적색광 치료: 연구 결과 요약

    Date2024.12.10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8 Votes0 file
    Read More
  3. No Image

    루테인: 눈 건강과 안구 질환 예방에 필수적인 영양소

    Date2024.12.08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45 Votes0
    Read More
  4. No Image

    운동, 자세, 식습관이 안압 변동성과 시신경 건강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2.08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65 Votes0
    Read More
  5. 성적 활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 신경 가소성과 학습 효과

    Date2024.12.03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6. 커피 섭취가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이유: 노화 생물학과 질병 예방 효과

    Date2024.12.02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6 Votes0 file
    Read More
  7. 리보플라빈이 활성 산소를 억제하는 방법: 항산화 작용과 임상적 혜택

    Date2024.12.01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61 Votes0 file
    Read More
  8. 파킨슨병과 장내 미생물의 연관성: 리보플라빈과 비오틴 대사 감소가 미치는 영향

    Date2024.11.30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51 Votes0 file
    Read More
  9. 비타민 B12 결핍이 치매와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이유와 예방 방법

    Date2024.11.30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41 Votes0 file
    Read More
  10. 고용량 비타민 C가 코로나 예방 및 치료에 미치는 효과와 안전성

    Date2024.11.28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63 Votes0 file
    Read More
  11. ICU 환자 회복 속도를 높이는 비타민 C의 임상적 효과

    Date2024.11.28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39 Votes0 file
    Read More
  12. 대사 증후군 예방을 위한 비타민 C의 주요 역할과 효과

    Date2024.11.28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59 Votes0 file
    Read More
  13. 비타민 C가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감염 예방에서 회복까지

    Date2024.11.28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66 Votes0 file
    Read More
  14. 비타민 C 보충이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감소에 미치는 효과: 메타 분석 결과 요약

    Date2024.11.28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44 Votes0 file
    Read More
  15. 비타민 C로 혈압 관리: 고혈압 환자에게 나타난 긍정적 효과

    Date2024.11.27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50 Votes0 file
    Read More
  16. 비타민 C와 제2형 당뇨병: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분석

    Date2024.11.27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62 Votes0 file
    Read More
  17. 비만, 당뇨병, 그리고 후생유전학: 유전자 발현 조절로 건강 관리하기

    Date2024.11.25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50 Votes0 file
    Read More
  18. 임신과 비만: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법

    Date2024.11.25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36 Votes0 file
    Read More
  19. 임신 중 과체중의 후생유전학적 영향: 세대 간 건강 변화의 원인

    Date2024.11.25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51 Votes0 file
    Read More
  20. 오메가-3 지방산 보충이 세포 노화와 건강 수명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1.23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63 Votes0 file
    Read More
  21. 스트레스가 텔로미어에 미치는 영향: 세포 노화와 질병의 연결고리

    Date2024.11.23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76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