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glycine administ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physiological systems in human adults: A systematic review (2024)
https://doi.org/10.1007/s11357-023-00970-8
해당 리뷰 논문은 글리신이 인간의 다양한 생리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총 50개의 임상연구 데이터를 분석해, 글리신이 신경계, 대사·내분비계, 면역계, 근육·신장·피부계, 심혈관·수면 기능 등 5가지 주요 생리 범주에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정리했다. 연구 대상에는 건강한 성인과 질환자 모두 포함되었으며, 글리신은 복용 용량과 기간에 따라 수면 개선, 혈당 조절, 염증 억제, 정신 증상 완화 등 다양한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신경계 및 정신·수면기능
1. 대상
-
정신분열증, 조현병, 알코올 중독 등 정신질환자
-
수면 장애자 및 건강한 일반인
2. 주요 효과
-
정신질환자: 고용량 글리신(0.2–0.8g/kg/day, 6–12주) 투여 시 음성 증상 개선, 인지 기능 향상, 운동 증상 감소 효과 확인
-
건강한 성인: 3g/일, 취침 30분~1시간 전 복용, 단 2~4일 복용만으로 수면 효율 증가, 낮 시간 피로 개선, 인지 명료도 증가
-
고용량 단회 투여(예: 0.8g/kg) 시 일부 참가자에서 인지 저하 및 감각운동 기능 둔화 발생
3. 작용 기전
-
NMDA 수용체 조절작용 → 시상하부 생체시계 조절, 체온 저하 → 수면 유도
-
조현병 병태기전과 연관된 NMDA 기능 저하 보완 가능성
대사 및 내분비계
1. 건강인 대상
-
단회 복용 시 인슐린 반응 증가, 글루카곤·성장호르몬 상승
-
정맥 투여 시 용량 의존적으로 성장호르몬↑, 혈당↑
2. 질환자 대상
-
제2형 당뇨병 환자: 15g/일(5g × 3회), 3개월 복용 → HbA1c, 공복 혈당, HOMA-IR 모두 감소
-
대사증후군 환자: 같은 용량·기간 조건에서 HbA1c 감소, 그러나 공복 혈당·총콜레스테롤 상승. 성별에 따라 HDL, LDL 반응 차이 있음
3. 주의점
-
효과는 질환자에게서 가장 뚜렷
-
건강인에게는 인슐린·호르몬 반응 변화만 관찰되고, 대사 지표 개선은 확인되지 않음
면역 및 염증 조절 기능
1. 주요 대상
-
제2형 당뇨병, 크론병, HIV/AIDS, 중증 화상 등 만성 염증 또는 면역질환 환자
2. 주요 효과
-
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 IL-6, IL-1β, TNF-R1, IFN-γ, resistin 감소
-
항산화 작용과 병행되는 산화 스트레스 지표 개선
-
면역력 저하 상태에서의 기능 회복 기여 가능성 제시
3. 기전
-
글리신은 항염증 아미노산으로 작용해, T세포 반응 조절, NLRP3 인플라마좀 억제, NF-κB 경로 억제를 통해 염증 반응을 완화함
근육, 신장, 피부계 관련 기능
1. 근육 및 체성분
-
건강한 마라톤 선수: 14일간 30g/일 복용 → CPK 증가, 근손상 방지 효과는 확인되지 않음
-
신부전 환자: 4개월간 14g/일 복용 → 손아귀 힘 및 제지방량 증가
2. 신장계
-
과민성 방광 환자: 4주간 6g/일 복용 → 야뇨, 긴박뇨 개선
-
임신중독증: 단백뇨 개선, 신장 부담 완화 가능성
-
투석 환자: 요소 수치 및 영양 상태 지표(nPCR) 개선
3. 피부계
-
중증 화상 환자에게서 조직 재생 속도나 감염율 개선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음
심혈관 기능 및 수면 관련 순환 변화
1. 심혈관계
-
대사증후군 환자: 3개월 복용 시 수축기 혈압 감소
-
과민성 방광 환자도 동일 복용 기간에서 수축기 혈압 감소 효과 확인
2. 수면-혈관 연계
-
글리신 복용 후 체온 저하 및 말초혈관 확장을 유도하며, 이로 인해 심박수 및 혈압 저하, 수면 효율 증가가 동반됨
글리신 복용 요건 정리
항목 | 세부 조건 |
---|---|
복용량 | 일반적으로 3g ~ 15g/일 (0.2~0.8g/kg까지도 사용) |
복용 기간 | 단회(1일) 또는 반복(2주 ~ 4개월) |
복용 대상 | 질환자(정신질환, 대사질환, 염증성 질환)에게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남 |
복용 시간 | 수면 목적일 경우 취침 30~60분 전 섭취 권장 |
부작용 | 고용량 단회 복용에서 인지 저하 가능성 있으나, 전반적으로 매우 안전함 |
결론
글리신은 전반적으로 안전성이 높고, 특히 정신질환자와 대사질환자에게서 일관된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신경계 기능 향상, 수면 질 개선, 염증 조절, 혈당 안정 등의 작용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NMDA 수용체 조절, 항염증 경로 차단, 호르몬 분비 자극 등의 복합적 기전을 통해 나타난다.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 효과는 아직 제한적이나, 노화 예방과 건강 유지를 위한 보충제로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