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Anti-diabetic activity of chromium picolinate and biotin in rats with type 2 diabetes induced by high-fat diet and streptozotocin (2013)

https://doi.org/10.1017/s0007114512004850

 

해당 논문은 크롬 피콜리네이트와 비오틴 보충제가 제2형 당뇨병 동물 모델에서 혈당 조절과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크롬과 비오틴 보충이 당뇨병 관련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조직 손상을 예방하며, 전반적인 대사 건강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방법

  1. 대상 동물

    • 8주령 수컷 Sprague-Dawley 쥐 75마리

    • 고지방 식단(HFD)과 스트렙토조토신(STZ) 처리를 통해 제2형 당뇨병 유도

  2. 연구 설계
    쥐들은 5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10주간 실험

    • 정상 대조군: 정상 식단, STZ 미투여

    • 당뇨병 대조군: 고지방 식단 + STZ

    • 크롬 피콜리네이트 그룹: 고지방 식단 + STZ + 크롬 피콜리네이트(80mg/kg/일)

    • 비오틴 그룹: 고지방 식단 + STZ + 비오틴(300mg/kg/일)

    • 크롬 피콜리네이트+비오틴 그룹: 고지방 식단 + STZ + 두 보충제 병용

  3. 연구 목적

    • 혈당, 지질 프로필, 염증 지표(NF-kB) 및 조직 병리학적 변화를 평가하여 크롬 피콜리네이트와 비오틴의 효과를 확인

 

연구 결과

  1. 혈당 및 인슐린 조절

    • 당뇨병 대조군에서 혈당 수치가 정상 대조군 대비 약 4.6배 증가

    • 보충제 그룹에서 혈당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특히 병용 그룹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임

    • 인슐린 농도와 CISI(복합 인슐린 민감성 지수)는 증가, HOMA-IR(인슐린 저항성 지수)는 감소

  2. 지질 프로필 개선

    •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AG), 유리지방산(NEFA) 수치가 크롬 피콜리네이트와 비오틴 보충으로 감소

    • 특히 병용 그룹에서 가장 뚜렷한 감소 효과를 보임

  3. 염증 완화 및 항산화 효과

    • 염증 지표인 NF-kB 발현이 간과 신장 조직에서 감소

    • 산화 스트레스 지표인 말론디알데하이드(MDA) 수치도 혈청, 간, 신장에서 감소

    • 크롬 피콜리네이트 단독이 비오틴 단독보다 염증 억제 및 산화 스트레스 완화에 더 효과적

  4. 조직 보호 효과

    • : 당뇨병 대조군에서 지방 변성과 세포 손상 관찰. 보충제 그룹에서 간 조직이 정상 구조로 회복

    • 신장: 당뇨병 대조군에서 세뇨관 세포의 변성과 섬유화 증가. 보충제 그룹에서 신장 조직의 정상화

    • 췌장: 당뇨병 대조군에서 베타세포 감소와 세포 괴사. 보충제 그룹에서 베타세포 수와 기능 회복

 

작용 메커니즘

  1. PPAR-γ 발현 증가

    • 지방조직에서 PPAR-γ 발현이 증가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

    • 이는 혈당 조절과 대사 개선에 기여

  2. IRS-1 인산화 촉진

    • 간, 신장, 근육 조직에서 IRS-1 인산화가 증가하여 혈당 대사가 개선됨

    • 인슐린 신호 전달 체계의 활성화로 당뇨병 증상 완화

  3. NF-kB 발현 억제

    • 염증성 전사인자인 NF-kB 발현 감소로 조직 염증 완화

    • 이는 간과 신장 조직 보호에 도움을 줌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Glucose Levels (mg/L)

  • 혈당 수치를 보여주는 그래프는 당뇨병 대조군(HFD/STZ)에서 혈당이 약 4690 mg/L로 정상 대조군(Control, 1030 mg/L) 대비 약 4.6배 증가한 것을 나타낸다. 이는 고지방 식단과 STZ 처리가 당 대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 크롬 피콜리네이트(HFD/STZ+CrPic) 그룹에서는 혈당이 2870 mg/L로 낮아졌고, 비오틴(HFD/STZ+Biotin) 그룹에서는 4190 mg/L로 약간 감소했다.

    • 두 보충제를 병용한 그룹(HFD/STZ+CrPic+Biotin)에서는 2441.8 mg/L로 가장 낮은 혈당 수치를 기록하며, 크롬과 비오틴의 병용이 혈당 조절에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병용군의 혈당 수치는 당뇨병 대조군 대비 약 48% 감소했으며, 이는 보충제들이 혈당 관리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Insulin Levels (µg/L)

  • 혈중 인슐린 농도는 당뇨병 대조군에서 232.1 µg/L로 정상 대조군(486.0 µg/L) 대비 약 52% 감소했다. 이는 당뇨병 상태에서 인슐린 분비 또는 민감성이 저하된 것을 보여준다.

    • 크롬 피콜리네이트 그룹(HFD/STZ+CrPic)에서는 258.7 µg/L로, 비오틴 그룹(HFD/STZ+Biotin)에서는 246.0 µg/L로 각각 증가했으며, 병용군(HFD/STZ+CrPic+Biotin)은 272.1 µg/L로 가장 높은 인슐린 수치를 보였다.

  • 크롬과 비오틴 보충제는 당뇨병 상태에서 인슐린 농도를 증가시켜, 췌장의 베타세포 기능 회복에 기여했음을 암시한다.

3. CISI (Composite Insulin Sensitivity Index)

  • CISI는 인슐린 민감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값이 클수록 민감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당뇨병 대조군의 CISI는 0.83으로 정상 대조군(2.68) 대비 약 69% 감소했다.

    • 크롬 피콜리네이트 그룹은 1.28, 비오틴 그룹은 1.21로 민감성이 약간 증가했고, 병용군은 1.54로 가장 높은 민감성을 보였다.

  • 크롬과 비오틴 병용이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데 강력한 효과를 발휘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혈당 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4. NF-κB Expression in Liver (Relative Units)

  • 간 조직에서의 NF-κB 발현은 염증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다. 당뇨병 대조군에서 NF-κB 발현은 180으로, 정상 대조군(40) 대비 약 4.5배 증가했다.

    • 크롬 피콜리네이트 그룹은 150, 비오틴 그룹은 160으로 발현이 감소했고, 병용군에서는 120으로 가장 큰 감소 효과를 보였다.

  • 크롬과 비오틴 보충제는 염증 관련 지표를 유의미하게 낮추며, 간 조직의 염증 반응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

 

연구 결론

크롬 피콜리네이트와 비오틴 보충제는 제2형 당뇨병 쥐 모델에서 혈당을 낮추고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며, 염증 지표와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두 보충제를 병용했을 때 대사 건강 개선 효과가 가장 뚜렷했으며, 간, 신장, 췌장 조직 손상도 완화되었다. 이는 크롬과 비오틴의 병용이 당뇨병 관리에 유용한 보충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쿠팡에서 크롬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4zHYy
아이허브 크롬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chromium

 

쿠팡에서 비타민B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3sgHF
아이허브 비타민B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vitamin-b


쿠팡에서 비오틴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XTta9
아이허브 비오틴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biotin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1. No Image notice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3814 Votes0
    read more
  2. 루테인의 항산화 효과, 신생아 건강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5 Votes0 file
    Read More
  3. 황반변성 진행을 늦추는 방법: 카로티노이드 보충제 효과 분석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2 Votes0 file
    Read More
  4. 미숙아 합병증 예방: 루테인과 지아잔틴의 역할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77 Votes0 file
    Read More
  5. 미숙아 건강, 카로티노이드 보충제로 염증 잡고 시각 발달 개선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69 Votes0 file
    Read More
  6. 크롬과 비오틴 보충제, 당뇨병 혈당 조절 및 염증 완화 효과 확인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453 Votes0 file
    Read More
  7. 크롬 보충제의 당뇨병 관리 효과: 산화적 스트레스 완화와 혈당 감소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350 Votes0 file
    Read More
  8. 크롬 피콜리네이트로 당뇨병성 신증 치료 가능성: 연구로 본 효과와 기전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243 Votes0 file
    Read More
  9. 크롬 피콜리네이트, 고콜레스테롤 혈증 완화와 혈전 형성 억제에 효과적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10. 유산소 운동과 크롬 보충제: 공기 오염 노출 쥐의 산화 스트레스 완화 효과 분석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9 Votes0 file
    Read More
  11. 크롬 피콜리네이트가 당뇨병 유발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효과와 작용 기전

    Date2024.12.07 By서플팩트 Reply0 Views263 Votes0 file
    Read More
  12. 삼가 크롬, 고혈당 유발 혈관 손상과 염증 완화 효과 입증

    Date2024.12.06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1 Votes0 file
    Read More
  13. 크롬 피콜리네이트, 당뇨 관련 간 손상 및 항산화 효소 회복에 기여

    Date2024.12.06 By서플팩트 Reply0 Views215 Votes0 file
    Read More
  14. 크롬 피콜리네이트의 항죽상경화 효과: STZ-유도 당뇨 모델 연구 결과

    Date2024.12.06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6 Votes0 file
    Read More
  15. 폭식 장애와 크롬 피콜리네이트: BEACh 연구의 주요 결과와 임상적 시사점

    Date2024.12.06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8 Votes0 file
    Read More
  16. 임신 중 크롬 결핍이 자손의 체중과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Date2024.12.06 By서플팩트 Reply0 Views164 Votes0 file
    Read More
  17. 초기 당뇨병 치료에 크롬 보충제 활용: 혈당 및 대사 건강 개선

    Date2024.12.06 By서플팩트 Reply0 Views365 Votes0 file
    Read More
  18. 프락토올리고당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에 미치는 영향: 간 기능 개선과 대사 반응

    Date2024.12.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66 Votes0 file
    Read More
  19. 프리바이오틱과 프로바이오틱의 시너지: 비만 개선과 장내 미생물 변화 연구

    Date2024.12.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218 Votes0 file
    Read More
  20. 프락토올리고당과 체중 관리: 포만감 증가와 대사 건강 개선 가능성

    Date2024.12.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269 Votes0 file
    Read More
  21. 이눌린과 장내 환경: 유익균 증식과 건강 개선 가능성

    Date2024.12.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