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ctacosanol from the Leaves of Sabicea grisea var. grisea in Mice (2012)
https://doi.org/10.3390/ijms13021598
옥타코사놀은 다양한 식물과 곡물에서 발견되는 긴 사슬 알코올로, 항산화, 콜레스테롤 조절, 항염증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브라질의 고유 식물인 Sabicea grisea var. grisea 잎에서 추출한 옥타코사놀이 통증 억제(항진통)와 염증 완화(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지를 다양한 동물 실험 모델을 통해 검증했다.
연구 방법 및 결과
-
옥타코사놀의 추출 및 정제
- 추출 방법: Sabicea grisea 잎을 90% 에탄올로 추출 후, 헥산, 클로로포름, 수-에탄올 용액으로 분획
- 정제 과정
- 헥산 분획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 분리하여 옥타코사놀을 추출
- 최종적으로 옥타코사놀의 순도는 약 90%로 확인되었음
-
진통 효과
- 복강 수축 억제 테스트: Acetic acid로 유도된 복강 수축 실험에서 옥타코사놀은 용량 의존적으로 복강 수축 횟수를 감소시켰다.
- 0.1, 1, 10 mg/kg 용량에서 각각 22.5%, 58.1%, 63.9% 억제 효과를 보였음
- 비교 약물인 인도메타신(20 mg/kg)은 72.9% 억제 효과를 나타냈음
- 옥타코사놀의 효과는 Cyclooxygenase(COX) 억제를 통한 Prostaglandin(PG) 생성 감소와 관련 있을 가능성이 있음
- Formalin 유도 통증 테스트
- 옥타코사놀은 신경성 통증(1단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염증성 통증(2단계)에서는 licking 시간을 50% 이상 감소시켰음
- 이는 옥타코사놀이 주로 염증 매개 통증을 억제한다는 점을 시사함
- 기전 분석
-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인 Yohimbine(2 mg/kg)을 사용했을 때, 옥타코사놀의 진통 효과가 부분적으로 억제되었음
- 이는 옥타코사놀이 α2-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통해 진통 작용을 나타냄을 보여줌
- 반면, Naloxone(5 mg/kg, 아편제 길항제)와 Atropine(2 mg/kg, 무스카린 길항제)은 진통 효과를 억제하지 않아, 이들 기전과의 연관성은 배제됨
- 복강 수축 억제 테스트: Acetic acid로 유도된 복강 수축 실험에서 옥타코사놀은 용량 의존적으로 복강 수축 횟수를 감소시켰다.
-
운동 및 신경 기능 평가
- Rota-Rod 테스트
- 옥타코사놀(10 mg/kg)을 처리한 쥐는 운동 능력에 영향을 받지 않았음(운동 시간: 232초, 대조군: 205초)
- 이는 옥타코사놀이 신경계 또는 운동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함
- Hot-Plate 테스트
- 열 자극 통증 반응 시간은 옥타코사놀(1, 10 mg/kg) 처리군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음
- 이는 옥타코사놀의 효과가 중심 신경계보다는 말초 신경계에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줌
- Rota-Rod 테스트
-
항염증 효과
- Carrageenan 유도 흉막염 모델: 옥타코사놀은 흉막액 내 백혈구와 중성구 침윤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음
- 1 mg/kg 및 10 mg/kg 용량에서 총 백혈구 수를 각각 52%, 60% 감소
- 중성구 수는 각각 66%, 72% 감소
- TNF-α 억제
- 염증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NF-α 농도를 1 mg/kg 및 10 mg/kg 용량에서 85% 이상 억제함
- 이는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를 통한 항염증 작용을 시사함
- Carrageenan 유도 흉막염 모델: 옥타코사놀은 흉막액 내 백혈구와 중성구 침윤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음
-
생리적 기전
- 옥타코사놀의 항염증 효과는 Cyclooxygenase 경로 억제와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조절, 그리고 TNF-α 같은 염증 매개체의 발현 억제에 기반한 것으로 분석됨
- 말초 작용 중심의 통증 완화와 염증 억제 효과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약물 개발 가능성을 높임
옥타코사놀의 항염증 및 진통 효과
- Writhing Response: 복강 수축 횟수는 옥타코사놀 용량 증가에 따라 현저히 감소했다. 이는 진통 효과를 뚜렷이 보여준다.
- Formalin Test (Phase 2): 염증성 통증(2단계)에서 옥타코사놀 처리군의 licking 시간이 유의미하게 줄어들어 염증성 통증 억제를 시사했다.
- Leukocyte Counts: Carrageenan 모델에서 옥타코사놀은 총 백혈구 수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었다.
- TNF-α Levels: 염증 매개체인 TNF-α의 수준이 옥타코사놀 처리로 크게 감소했다.
연구 결론
옥타코사놀은 α2-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통한 말초 통증 완화와 TNF-α 억제를 통한 항염증 작용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옥타코사놀이 통증 및 염증 관리를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추가적인 임상 연구를 통해 다양한 건강 상태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탐구될 필요가 있다.
쿠팡에서 옥타코사놀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6EKWJ
아이허브 옥타코사놀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search?kw=octacosanol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