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The Can-SAD Stud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iveness of Light Therapy and Fluoxetine in Patients With Winter Seasonal Affective Disorder (2006)

https://doi.org/10.1176/ajp.2006.163.5.805

 

해당 논문은 겨울 계절성 우울증(SAD)을 치료하기 위한 두 가지 주요 치료법인 광치료와 항우울제 플루옥세틴의 효과를 비교한 임상시험 연구이다. SAD는 주로 겨울철에 발생하며, 우울감, 에너지 부족, 과도한 수면(과수면), 탄수화물 갈망, 체중 증가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SAD는 환자의 직업적, 사회적 기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두 치료법이 효과적이고 안전한지를 평가하며, 환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치료 선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했다.

 

연구 방법 및 절차

  1. 대상자 선정

    • 연령 및 조건: 18세에서 65세 사이의 남녀
    • 진단 기준: DSM-IV의 계절성 주요 우울증 진단 기준을 충족해야 함
    • 우울증 점수 기준: 24항목 해밀턴 우울 척도(HDRS)에서 23점 이상으로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 상태
    • 제외 조건: 심각한 자살 위험, 불안정한 신체적 질환, 광치료를 사용할 수 없는 망막 질환 보유자, 최근 항우울제 사용, 다른 심리치료 병행자 등
  2. 치료 방식

    • 광치료: 아침에 30분 동안 10,000럭스 강도의 밝은 백색광에 노출, 치료 장치는 자외선 차단 필터를 장착한 형광등 상자
    • 플루옥세틴 치료: 하루 20mg의 고정 용량을 동일 시간(오전 7~8시)에 복용
    • 플라시보 처리: 플루옥세틴 그룹에는 100럭스의 낮은 광도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제공, 광치료 그룹에는 플라시보 캡슐 제공
  3. 연구 설계

    • 이중 맹검, 무작위 배정 방식: 연구자가 환자의 치료 상태를 알 수 없도록 설계하여 객관성을 유지
    • 8주 동안 치료: 주 1회 평가를 포함하며 1, 2, 4, 8주차에 결과를 측정
  4. 평가 지표

    • 주요 지표: 24항목 HDRS 점수 변화
    • 부차적 지표: Beck 우울 척도(BDI-II), 임상적 반응률(50% 이상 점수 감소), 완치율(HDRS 점수 8 이하)
    • 부작용 평가: 환자 보고를 통한 부작용 빈도 및 심각도 분석

 

연구 결과

1. 치료 효과 비교

  • 광치료 초기 반응: 광치료 그룹은 첫 주에 플루옥세틴 그룹보다 빠른 증상 개선을 보임(HDRS 점수 감소가 더 큼)
  • 장기적 효과: 8주간의 치료 후 두 그룹 모두 유사한 개선을 보였으며, 주요 우울증 증상은 큰 폭으로 감소
  • 임상 반응 및 완치율
    • 반응률(50% 이상 개선): 광치료와 플루옥세틴 각각 67%
    • 완치율(HDRS 8 이하): 광치료 50%, 플루옥세틴 54%

2. 부작용 발생

  • 광치료: 상대적으로 부작용 빈도가 낮음. 일부 환자에서 경미한 두통, 졸음 보고
  • 플루옥세틴: 불안(12.5%), 수면 장애(29.2%), 심계항진(10.4%) 등의 부작용이 더 빈번히 보고됨
  • 중증 부작용: 두 치료 그룹 모두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한 탈락률은 낮음

3. 환자 순응도

  • 광치료와 플루옥세틴 모두 환자들의 순응도가 높았으며, 치료를 지속적으로 따름
  • 광치료의 경우 매일 아침 일정 시간 동안 치료에 참여해야 하는 행동적 요소가 포함됨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Comparison of HDRS Scores Over Time

  • HDRS(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점수는 우울증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도구로, 값이 높을수록 더 심각한 우울증 상태를 나타낸다.
  • 광치료플루옥세틴 치료의 HDRS 점수를 주별로 비교하였다.
    • 치료 시작 시점(0주차)에서 두 그룹의 초기 점수는 유사하다(광치료 30.2, 플루옥세틴 29.6).
    • 첫 주(1주차)에는 광치료 그룹에서 더 빠른 점수 감소가 나타났다(더 빠른 초기 반응).
    • 이후 8주차까지 두 그룹 모두 꾸준히 점수가 감소했으며, 최종적으로 유사한 점수(광치료 11.6, 플루옥세틴 11.6)를 보였다.
    • 광치료는 초기 반응 속도가 더 빠르지만, 장기적으로는 플루옥세틴과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2. Comparison of BDI-II Scores Over Time

  • BDI-II(Beck Depression Inventory-II) 점수는 우울증 증상을 스스로 평가하는 도구로, 점수가 높을수록 더 심각한 우울증을 의미한다.
  • 광치료플루옥세틴의 BDI-II 점수를 비교하였다.
    • 초기 점수(0주차)에서 광치료(24.5)와 플루옥세틴(22.9)의 점수가 비슷하게 시작한다.
    • 첫 주(1주차) 이후 두 치료법 모두 점수가 감소하며 우울증 증상이 개선되었다.
    • 8주차에서 두 그룹 모두 낮은 점수로 안정화되었으며, 두 그룹의 점수 차이는 크지 않았다(광치료 10.3, 플루옥세틴 11.9).
    • BDI-II 점수에서도 두 치료법 모두 비슷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론

광치료는 초기 1주 동안 증상 완화 속도에서 플루옥세틴보다 빠른 효과를 보였으나, 장기적인 우울증 완화 효과는 플루옥세틴과 유사했다. 부작용 발생률은 플루옥세틴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두 치료법 모두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이었다. 치료 선택은 환자의 선호도와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쿠팡에서 광치료기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3Se6g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640 0
» 겨울 계절성 우울증 치료: 광치료 vs 플루옥세틴 효과 비교 연구 The Can-SAD Stud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iveness of Light Therapy and Fluoxetine in Patients With Winter Seasonal Affective Disord... file 서플팩트 2024.12.01 95 0
65 코코아 플라바놀의 혈관 보호 효과: 스트레스와 고지방 식단의 부정적 영향 완화 file 서플팩트 2024.11.30 120 0
64 단식 모방 식단이 염증 억제 및 장 조직 복구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1.30 98 0
63 단식 모방 식단과 염증 관리: NETs 억제와 통증 완화의 과학적 증거 file 서플팩트 2024.11.30 104 0
62 단식 모방 식단, 알츠하이머 병리 억제 및 기억력 향상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30 89 0
61 단식 모방 식단, 당뇨병 진행 억제와 췌장 β세포 회복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1.30 84 0
60 다발성 경화증 관리, 단식 모방 식단이 제안하는 새로운 해법 file 서플팩트 2024.11.30 85 0
59 단식 모방 식단을 통한 당뇨병 치료의 가능성: Ngn3-기반 β세포 재생 file 서플팩트 2024.11.30 91 0
58 단식 모방 식단, 대사 질환 및 노화 지표 개선 효과 확인 file 서플팩트 2024.11.30 88 0
57 초콜릿과 당뇨병: 다크 초콜릿은 긍정적, 밀크 초콜릿은 체중 증가와 연관 file 서플팩트 2024.11.30 99 0
56 유전적 우울증 소인이 여성의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영향: 폐경 후 위험성 증가 file 서플팩트 2024.11.30 94 0
55 카페인이 알코올 중독 예방에 미치는 효과: 도파민 전달 차단 메커니즘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1.29 107 0
54 장 운동 빈도와 혈중 미생물 독소: 신장 및 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1.29 106 0
53 목표 지향적 꿈 유도로 창의력 향상: 수면 단계의 새로운 활용법 file 서플팩트 2024.11.26 109 0
52 수면과 창의성의 연결고리: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수면 개시 단계 활용법 file 서플팩트 2024.11.26 99 0
51 정상 범위 내 높은 혈당이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 뇌 용적 감소와 인지 저하 file 서플팩트 2024.11.25 182 0
50 우울증과 생물학적 노화의 연관성: 주요 우울 장애와 텔로미어 단축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1.24 92 0
49 PTSD와 어린 시절 외상: 텔로미어 단축과 생물학적 노화의 연관성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1.24 81 0
48 텔로미어 단축 속도와 심혈관 건강: 노화와 질병의 상관관계 file 서플팩트 2024.11.24 93 0
47 여가 시간 운동과 텔로미어 길이의 관계: 생물학적 노화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1.24 107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