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리뷰 논문 정보

조회 수 1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imaging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18)

https://doi.org/10.1111/dmcn.1405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는 주의력 저하, 과잉 행동 및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다. 이 질환은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영향을 주며, 최근 뇌 영상 연구를 통해 ADHD의 원인과 증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제공되고 있다. 해당 리뷰 논문에서는 ADHD와 관련된 뇌 구조적 변화와 기능적 이상을 MRI, DTI, fMRI 등 최신 뇌 영상 기술을 바탕으로 자세히 살펴본다.

 

1. 뇌 구조적 변화

1-1. 총 뇌 부피 및 회백질 부피의 감소

  • 주요 발견
    • ADHD 환자는 총 뇌 부피회백질(gray matter)의 부피가 일반인에 비해 작게 나타난다.

    • 특히 기저핵(Basal Ganglia), 소뇌, 전두엽에서 부피 감소가 두드러진다.

  • 기저핵의 역할
    • 기저핵은 운동 제어, 주의력 조절, 충동 억제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뇌 영역이다.

    • ADHD 환자는 기저핵 중 선조체 (Putamen)꼬리핵 (Caudate Nucleus) 부위의 부피가 감소했다.

    • 이러한 변화는 ADHD의 핵심 증상인 충동성행동 조절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 사례 연구
    • Hoogman et al. (2017) 연구: ADHD 환자 1,713명과 일반인 1,529명의 뇌를 분석한 결과, ADHD 그룹에서 편도체, 해마, 꼬리핵, 선조체 등의 부피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 피질 두께와 표면적 변화

  • 피질 두께 감소
    • ADHD 환자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피질 두께 감소가 관찰된다.

      • 전두엽의 변화는 작업 기억 저하, 주의력 결핍, 충동적 행동과 관련이 있다.

    • Shaw et al. (2007) 연구: ADHD 어린이 그룹에서 피질 두께 성숙이 일반인에 비해 약 2~3년 정도 지연되었다.

  • 피질 표면적 감소
    • ADHD 환자는 전체 뇌의 표면적이 감소하며, 특히 전두엽후두엽에서 두드러진다.

    • 표면적 감소는 뇌 발달이 지연된 결과이며, 이는 뇌 연결성과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1-3. 백질 구조 및 연결성의 변화

  • 백질의 역할
    • 백질 (White Matter)은 뇌의 정보 전달 통로로, 뇌의 다른 영역들 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ADHD 환자는 백질 무결성이 저하되어 뇌 연결성에 문제가 생긴다.

  • 주요 변화 영역
  1. 뇌량 (Corpus Callosum): 양반구를 연결하는 백질 구조가 약화되어 정보 교환 속도가 저하된다.

  2. 전두엽과 후두엽 연결: 주의력과 시각 처리 영역 간의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나타난다.

  • DTI 연구 결과
    • Fractional Anisotropy (FA) 값이 ADHD 환자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백질의 무결성 저하와 관련된 결과로, 정보 전달의 효율성 저하를 의미한다.

 

2. 뇌 기능적 변화

2-1. 작업 기반 기능적 MRI (fMRI)

  • 전두엽-기저핵 네트워크의 기능 저하
    • ADHD 환자는 전두엽-기저핵 네트워크에서 활동 저하가 관찰된다.

    • 주요 증상과의 연관성:

      • 전두엽: 작업 기억, 주의력 유지, 반응 억제 기능

      • 기저핵: 행동 조절 및 운동 제어

  • 보상 처리의 이상
    • 복측 선조체 (Ventral Striatum)의 반응 저하로 인해 ADHD 환자는 보상 예측에 대한 반응이 감소한다.

    • 즉각적인 보상에 더 의존하는 행동 패턴을 보이게 된다.

2-2. 휴지 상태 기능적 MRI (rs-fMRI)

  • 기본 모드 네트워크 (DMN)
    • DMN은 뇌가 휴식 상태일 때 활성화되는 네트워크다.

    • ADHD 환자는 DMN과 인지 통제 네트워크 사이의 상호작용이 약화되어 집중력이 저하된다.

2-3. 기타 뇌 기능 연구

  • fNIRS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
    • ADHD 어린이와 성인은 우측 전두엽의 기능 저하가 확인되었다.

  • MEG (자기뇌파검사)
    • ADHD 환자는 뇌의 기본 모드 네트워크주의력 네트워크 간의 연결에서 불균형이 나타난다.

 

3. 연령과 약물 효과

3-1. 연령에 따른 뇌 변화

  • 어린이 ADHD 환자는 뇌의 성숙 지연이 특징적이다.
  • 성인이 되면 일부 뇌 부위의 차이는 줄어들지만, 전두엽 기능 저하는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3-2. 약물의 영향

  • 메틸페니데이트와 같은 자극제는 ADHD 환자의 뇌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상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 하지만 약물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 ADHD는 뇌의 구조적 변화기능적 이상을 기반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다.
    • 주요 변화는 전두엽, 기저핵, 뇌량에서 나타나며, 이는 주의력 저하, 충동성, 보상 처리 이상과 연결된다.
    • 뇌 성숙이 지연되고 백질의 연결성 저하가 ADHD 증상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다.
  • ADHD의 원인을 더욱 명확히 하고, 장기적인 약물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1. No Image notice

    각종 건강 정보에 대한 리뷰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540 Votes0
    read more
  2. 다이어트와 당뇨 관리를 돕는 식초의 작용 원리

    Date2024.12.16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168 Votes0 file
    Read More
  3. PQQ의 효능: 에너지 증진과 뇌 건강 개선의 비밀

    Date2024.12.15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1 Votes0 file
    Read More
  4. 비만 예방과 대사 건강: PQQ의 과학적 효과

    Date2024.12.15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5 Votes0 file
    Read More
  5. 염증 완화와 지방 감소: PQQ의 최신 연구로 본 건강 이점

    Date2024.12.15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0 Votes0 file
    Read More
  6. 운동 효과를 배가시키는 PQQ: 근육과 미토콘드리아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2.15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3 Votes0 file
    Read More
  7. PQQ: 항산화제 이상의 비밀, 건강과 노화 방지에 필수적인 영양소

    Date2024.12.14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5 Votes0 file
    Read More
  8. 혈중 글리신 수치와 심근경색 위험의 관계

    Date2024.12.14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8 Votes0 file
    Read More
  9. 글리신의 대사 과정과 건강 개선 효과

    Date2024.12.14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8 Votes0 file
    Read More
  10. No Image

    ADHD의 뇌 구조와 기능 변화: 최신 연구 결과 요약

    Date2024.12.13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1 Votes0
    Read More
  11. 50세 이후 뇌 건강을 지키는 운동: 효과적인 방법과 시간

    Date2024.12.13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5 Votes0 file
    Read More
  12. 유산소 운동이 뇌 기능에 미치는 효과: 기억력과 주의력 개선 연구

    Date2024.12.13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9 Votes0 file
    Read More
  13. 걷기만 해도 뇌가 건강해진다? 신체 활동과 인지 저하 연구

    Date2024.12.13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4 Votes0 file
    Read More
  14. 운동하면 뇌가 건강해진다: 인지 저하와 치매 위험 감소

    Date2024.12.13 Category기타 By서플팩트 Reply0 Views95 Votes0 file
    Read More
  15. No Image

    바이오필름 억제와 세포 손상: 커큐민의 항균 원리

    Date2024.12.13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4 Votes0
    Read More
  16. 커큐민으로 당뇨병 합병증 완화하기: 과학이 증명한 효능

    Date2024.12.12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7 Votes0 file
    Read More
  17. 강황 속 커큐민이 암세포를 억제하는 메커니즘

    Date2024.12.12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6 Votes0 file
    Read More
  18. No Image

    강황 속 커큐민의 놀라운 건강 효과: 염증부터 암까지

    Date2024.12.11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67 Votes0
    Read More
  19. 염증에 좋은 강황 성분 커큐민, 작용 원리와 효능

    Date2024.12.11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41 Votes0 file
    Read More
  20. 커큐민이 염증을 줄이는 방법: 항염증 작용의 과학적 근거

    Date2024.12.11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43 Votes0 file
    Read More
  21. No Image

    커큐민이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노화와 알츠하이머, 정신질환에서의 가능성

    Date2024.12.11 Category일반영양제 By서플팩트 Reply0 Views36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