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바이오틱으로 장내 발효 활성화: 식욕 억제와 혈당 반응 개선 효과

by 서플팩트 posted Dec 04,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Gut microbiota fermentation of prebiotics increases satietogenic and incretin gut peptide production with consequences for appetite sensation and glucose response after a meal (2009)

https://doi.org/10.3945/ajcn.2009.28095

 

프리바이오틱은 장내 미생물의 발효를 통해 장 건강과 대사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비소화성 탄수화물이다. 최근 연구는 프리바이오틱 섭취가 식욕 억제 호르몬(GLP-1, PYY) 분비를 증가시키고, 혈당 반응을 낮추며, 결과적으로 식욕 조절과 대사 건강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해당 논문에서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프리바이오틱 섭취가 장내 발효, 식욕 지표, 그리고 혈당 반응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관찰하였다.

 

연구 설계 및 방법

  • 디자인: 무작위 이중맹검 병렬 대조군 방식으로 진행
  • 참가자
    • 10명의 건강한 성인(남녀 각 5명, 평균 나이 26.3세, 평균 BMI 21.6)
    • 참가자들은 섬유질 섭취가 하루 30g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되었다.
    • 연구 시작 전, 프로바이오틱, 프리바이오틱 또는 심바이오틱을 섭취한 이력이 있는 참가자는 제외되었다.
  • 섭취물
    • 실험군: 프리바이오틱(Orafti Synergy1, 16g/일), 이눌린 및 올리고프락토스 혼합물로 구성된 프리바이오틱
    • 대조군: 덱스트린 말토스(16g/일), 소화 가능하지만 발효되지 않는 탄수화물
    • 두 그룹 모두 아침과 저녁 식사에 각각 8g씩 분할하여 섭취
  • 측정 항목
    • 식욕 지표(포만감 및 배고픔), 혈당 반응, 혈중 식욕 호르몬(GLP-1, PYY 등) 농도, 호기 수소 농도(발효 지표)를 2주간 관찰

 

프리바이오틱 섭취의 발효 효과

  • 호기 수소 농도의 변화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에서 호기 수소 농도가 3배 증가
    • 이는 프리바이오틱이 장내 미생물의 발효를 활성화시켜 장내 환경을 개선했음을 나타냄
    • 특히 식후 30분과 120분에 유의미한 발효 증가를 확인
  • 장내 미생물 발효의 의의
    •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단쇄 지방산(SCFA)은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대사 건강을 지원
    • SCFA는 식욕 억제 및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

 

식욕 억제 호르몬의 변화

  • GLP-1 및 PYY의 증가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은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과 PYY(펩타이드 YY) 농도가 식후 10분에 유의미하게 증가
    • GLP-1: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억제하며, 혈당 조절을 지원
    • PYY: 포만감을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
  • 호르몬 변화와 식욕 지표의 연관성
    • GLP-1과 PYY 농도의 증가는 배고픔(VAS 점수)을 감소시키고, 포만감 점수를 높이는 경향을 보임

 

혈당 반응 및 대사 개선 효과

  • 혈당 곡선(AUC) 감소
    • 프리바이오틱 섭취 후 혈당 상승 곡선 면적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아짐
    • 이는 프리바이오틱이 혈당 안정화 및 대사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줌
  • GLP-1과 혈당의 관계
    • GLP-1 농도와 혈당 반응 사이에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
    • 이는 프리바이오틱 발효로 인해 GLP-1 분비가 촉진되면서 혈당 조절이 개선되었음을 시사

 

fig4.jpg

 

프리바이오틱이 식욕 억제 호르몬(GLP-1, PYY 등)에 미치는 영향

  1. 호르몬 종류

    •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식욕 억제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 조절에 기여
    • PYY(펩타이드 YY): 식후 포만감을 유발하는 호르몬
    • GIP(포도당 의존성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인슐린 분비 조절에 관여
    • PP(췌장 폴리펩타이드): 위장관 활동 조절에 관여
    • X축: 식사 후 시간 경과 (0, 10, 30, 60, 120분)
    • Y축: 호르몬 농도 (pg/mL 또는 baseline 대비 변화량)
  2. 그룹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
    • 덱스트린 말토스(대조군)

주요 결과 및 설명

  1. GLP-1 농도의 변화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에서 식후 10분 만에 GLP-1 농도가 유의미하게 증가
    • 이는 장내 미생물 발효가 GLP-1 분비를 촉진했음을 시사
    • GLP-1은 인슐린 분비를 도와 혈당을 안정화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PYY 농도의 변화

    • 프리바이오틱 섭취군에서 PYY 농도가 대조군보다 높게 증가
    • 특히 식후 초기(10분)에서 농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남
    • PYY는 식사 후 포만감을 유발하여 식욕을 억제한다
  3. GIP 및 PP의 변화

    • GIP와 PP의 농도 변화는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 이는 프리바이오틱이 특정 호르몬(GLP-1, PYY)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

 

연구 결론

프리바이오틱은 장내 미생물의 발효를 촉진하여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식욕 억제 호르몬(GLP-1, PYY)을 증가시킴으로써 식욕 조절 및 혈당 반응 개선에 기여한다. 이는 비만 및 대사 질환 예방과 관리에 있어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특히 단기적 섭취만으로도 혈당 안정화와 식욕 감소 효과를 보여, 건강한 대사 상태 유지에 유용한 보충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쿠팡에서 프리바이오틱스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2zskK
아이허브 프리바이오틱스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prebiotics


쿠팡에서 프락토올리고당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4onuR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