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Chromium picolinate inhibits cholesterol-induced stimula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2014)

https://doi.org/10.1007/s11845-014-1102-7

 

해당 논문은 고지방식을 섭취하여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유발한 쥐 모델을 대상으로 크롬 피콜리네이트 보충이 혈중 지질 수치와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이다. 정상 지질식과 고지방식을 섭취한 그룹에 크롬을 보충했으며,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 HDL, 혈소판 응집도 및 TX B2 수치를 분석해 크롬의 대사 및 심혈관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 방법

  1. 실험 설계

    • 성체 수컷 흰쥐(180–200g)를 4개 그룹으로 나누어 10주간 실험
      • NLD 그룹: 정상 지질식 섭취(대조군)
      • NLD + Cr 그룹: 정상 지질식 + 크롬 보충
      • HF 그룹: 고지방식 섭취
      • HF + Cr 그룹: 고지방식 + 크롬 보충
    • 크롬 보충은 하루 200μg의 크롬 피콜리네이트를 경구로 투여
  2. 식이 조성

    • 정상 지질식(NLD): 지방 4–5%, 탄수화물 50–51%, 단백질 12–13%
    • 고지방식(HF): 지방 16–17%로 조정하여 고지혈증 유발
  3. 측정 항목

    • 혈중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TG), 고밀도지단백(HDL), 저밀도지단백(LDL), 아포단백질 A1 및 B 수치를 분석
    • 혈소판 응집: ADP와 콜라겐으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도 측정
    • TX B2 수치: 혈소판 활성화 지표로 사용

 

연구 결과

  1. 혈중 지질 개선

    • 고지방식(HF) 그룹은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남
      • 총 콜레스테롤: 대조군(NLD) 대비 44.2% 증가
      • LDL: 대조군 대비 74% 증가
      • HDL: 대조군 대비 23.5% 감소
    • 크롬 보충(HF + Cr) 후, 위 수치들이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됨
  2. 혈소판 응집 억제

    • 고지방식 그룹(HF)은 ADP와 콜라겐 자극 후 혈소판 응집도가 각각 33.8%와 38.4% 증가
    • 크롬 보충(HF + Cr) 후 혈소판 응집도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
  3. TX B2 수치 정상화

    • 고지방식 그룹에서 TX B2 수치가 크게 증가했으나 크롬 보충 후 정상 수준으로 감소
  4. 크롬의 효과

    • 정상 지질식(NLD) 그룹에 크롬을 보충해도 혈중 지질이나 혈소판 응집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음
    • 고지방식(HF) 그룹에 크롬 보충 시에만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남

 

output.png

 

그래프 세부 분석 및 설명

1. Total Cholesterol (총 콜레스테롤)

  • 고지방식(HF) 그룹에서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49.13 mg/dL로, 정상 지질식(NLD) 그룹(172.66 mg/dL) 대비 약 44.2% 증가했다.
  • 이는 고지방식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크게 증가시켜 고지혈증을 유발했음을 보여준다.
  • 크롬 보충(HF + Cr) 그룹은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179.53 mg/dL로, 정상 수준에 가깝게 회복됐다.
  • 크롬 보충이 고지혈증을 완화하고 콜레스테롤 대사를 개선하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2. LDL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 LDL은 고지혈증과 관련된 주요 위험 지표다. 고지방식(HF) 그룹에서 LDL 수치는 179.73 mg/dL로, 정상 지질식(NLD) 그룹(103.26 mg/dL) 대비 약 74% 증가했다.
  • 크롬 보충(HF + Cr) 후 LDL 수치는 111.86 mg/dL로 감소해 정상 지질식 수준에 근접했다.
  • 이는 크롬 보충이 LDL을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3. HDL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 HDL은 "좋은 콜레스테롤"로 불리며, 높을수록 심혈관 질환 예방에 유리하다.
  • 고지방식(HF) 그룹의 HDL 수치는 38.33 mg/dL로, 정상 지질식(NLD) 그룹(50.13 mg/dL) 대비 약 23.5% 감소했다.
  • 크롬 보충(HF + Cr) 후 HDL 수치는 47.53 mg/dL로 회복되었지만 여전히 정상 지질식보다는 약간 낮았다.
  • 이는 크롬 보충이 HDL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 TX B2 (Thromboxane B2)

  • TX B2는 혈소판 활성화와 응집을 반영하는 지표로, 고지혈증이 혈전 형성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 고지방식(HF) 그룹의 TX B2 수치는 2.8 ng/mL로, 정상 지질식(NLD) 그룹(1.5 ng/mL) 대비 약 86.7% 증가했다.
  • 크롬 보충(HF + Cr) 후 TX B2 수치는 1.6 ng/mL로, 정상 수준에 가까워졌다.
  • 이는 크롬 보충이 혈소판 과활성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5. ADP-Induced Aggregation (ADP 유도 혈소판 응집)

  • ADP는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물질이다. 고지방식(HF) 그룹에서 ADP 유도 응집률은 **71%**로, 정상 지질식(NLD) 그룹(35%) 대비 약 102.9% 증가했다.
  • 크롬 보충(HF + Cr) 후 ADP 유도 응집률은 36%로, 정상 수준에 가깝게 감소했다.
  • 이는 크롬이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해 혈전 형성 위험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6. Collagen-Induced Aggregation (콜라겐 유도 혈소판 응집)

  • 콜라겐은 혈관 손상 시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주요 물질이다. 고지방식(HF) 그룹에서 콜라겐 유도 응집률은 70%로, 정상 지질식(NLD) 그룹(32%) 대비 약 118.8% 증가했다.
  • 크롬 보충(HF + Cr) 후 콜라겐 유도 응집률은 35%로 감소하여 정상 수준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 크롬 보충이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고 동맥경화와 같은 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론

크롬 피콜리네이트 보충은 고지방식으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 수치를 감소시키고, HDL 수치를 정상화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혈소판 응집과 TX B2 수치를 억제하여 혈전 형성 위험을 줄이고 심혈관 건강 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는 크롬이 심혈관 질환 예방 및 관리에 유용한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쿠팡에서 크롬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4zHYy
아이허브 크롬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chromium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3814 0
96 루테인의 항산화 효과, 신생아 건강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2.08 125 0
95 황반변성 진행을 늦추는 방법: 카로티노이드 보충제 효과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2.08 122 0
94 미숙아 합병증 예방: 루테인과 지아잔틴의 역할 file 서플팩트 2024.12.08 77 0
93 미숙아 건강, 카로티노이드 보충제로 염증 잡고 시각 발달 개선 file 서플팩트 2024.12.08 169 0
92 크롬과 비오틴 보충제, 당뇨병 혈당 조절 및 염증 완화 효과 확인 file 서플팩트 2024.12.07 453 0
91 크롬 보충제의 당뇨병 관리 효과: 산화적 스트레스 완화와 혈당 감소 file 서플팩트 2024.12.07 350 0
90 크롬 피콜리네이트로 당뇨병성 신증 치료 가능성: 연구로 본 효과와 기전 file 서플팩트 2024.12.07 243 0
» 크롬 피콜리네이트, 고콜레스테롤 혈증 완화와 혈전 형성 억제에 효과적 Chromium picolinate inhibits cholesterol-induced stimula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2014) https://doi.org/10.1007/s11845... file 서플팩트 2024.12.07 97 0
88 유산소 운동과 크롬 보충제: 공기 오염 노출 쥐의 산화 스트레스 완화 효과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2.07 129 0
87 크롬 피콜리네이트가 당뇨병 유발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효과와 작용 기전 file 서플팩트 2024.12.07 263 0
86 삼가 크롬, 고혈당 유발 혈관 손상과 염증 완화 효과 입증 file 서플팩트 2024.12.06 191 0
85 크롬 피콜리네이트, 당뇨 관련 간 손상 및 항산화 효소 회복에 기여 file 서플팩트 2024.12.06 215 0
84 크롬 피콜리네이트의 항죽상경화 효과: STZ-유도 당뇨 모델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06 206 0
83 폭식 장애와 크롬 피콜리네이트: BEACh 연구의 주요 결과와 임상적 시사점 file 서플팩트 2024.12.06 158 0
82 임신 중 크롬 결핍이 자손의 체중과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2.06 164 0
81 초기 당뇨병 치료에 크롬 보충제 활용: 혈당 및 대사 건강 개선 file 서플팩트 2024.12.06 365 0
80 프락토올리고당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에 미치는 영향: 간 기능 개선과 대사 반응 file 서플팩트 2024.12.05 66 0
79 프리바이오틱과 프로바이오틱의 시너지: 비만 개선과 장내 미생물 변화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2.05 218 0
78 프락토올리고당과 체중 관리: 포만감 증가와 대사 건강 개선 가능성 file 서플팩트 2024.12.05 269 0
77 이눌린과 장내 환경: 유익균 증식과 건강 개선 가능성 file 서플팩트 2024.12.04 131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