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조회 수 5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650-nm Red-Light Feeding Instruments in the Control of Myopia (2023)

https://doi.org/10.1159/000529819

 

해당 논문은 650nm 적색광 장치가 근시 진행 억제 및 조절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설계된 연구이다. 근시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가장 흔한 시각적 질환 중 하나로, 방치되면 심각한 시력 저하와 합병증(망막 박리, 녹내장, 황반 출혈 등)을 초래할 수 있다. 기존 안경, 약물, 기타 광학 치료법과 비교했을 때 적색광 치료법은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 방법

  1. 대상

    • 총 164명의 6~18세 근시 학생이 참여
    • 경도~중등도 근시군(SER ≤-0.5D ~ >-6.0D)과 고도 근시군(SER ≤-6.0D)으로 나누어 분석
    • 경도~중등도 근시군은 다시 적색광 치료군(RLMM)과 단일초점안경군(SVSMM)으로 분류
  2. 치료 방식

    • 적색광 치료군(RLMM, RLS)은 650nm 적색광 장치를 하루 2회, 한 번에 3분씩 사용(주 5일)
    • 치료 후 2분간 눈을 감고 쉬도록 함
    • 모든 참여자는 연구 기간 동안 최적의 도수 안경을 착용
    • 단일초점안경군(SVSMM)은 적색광 치료 없이 안경만 착용
  3. 평가 지표

    • 안구 축장(Axial Length, AL): 안구의 길이를 측정하여 근시 진행 속도를 파악
    • 구면 굴절치(Spherical Equivalent, SER): 굴절 상태를 분석하여 근시 정도를 평가
    • AL/CR 비율: 축장과 각막 곡률 반경의 비율로 근시 진행 정도를 세밀하게 분석
  4. 데이터 분석

    •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 치료 전후의 축장 변화, 구면 굴절치 변화 등을 비교하며,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함(p < 0.05)

 

연구 결과

  1. 안구 축장 변화:

    • 단일초점안경군(SVSMM): 평균 0.08mm 증가
    • 경도~중등도 적색광 치료군(RLMM): 평균 -0.03mm 감소
    • 고도 근시 적색광 치료군(RLS): 평균 -0.07mm 감소
    • 결과적으로, 고도 근시군에서 가장 효과가 컸음(p < 0.001)
  2. 구면 굴절치(SER) 변화

    • RLMM과 RLS 모두 SER 변화에서 안구 축장 억제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고도 근시군에서의 효과가 더 두드러짐
  3. 연령별 효과

    • 연령(6~12세, 13~18세)에 따른 치료 효과 차이는 크지 않음
    • 이는 적색광 장치가 모든 연령대에서 유사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시사
  4. 안구 구조적 변화

    • 적색광 치료 후 맥락막 두께 증가가 관찰됨
    • 맥락막 두께 증가는 산소 및 영양 공급을 개선하며, 근시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추가 발견 및 부작용

  1. 추가 발견

    • 장치의 효과는 안구 길이가 긴 경우에 더 컸음
      • 안구 길이 24mm 이상의 참가자: 평균 -0.19mm 감소
      • 안구 길이 24mm 이하의 참가자: 평균 -0.02mm 감소
    • 이는 고도 근시 환자에게 적색광 장치가 더욱 적합하다는 점을 보여줌
  2. 부작용

    • 가장 흔한 부작용은 시각적 잔상(afterimage)으로, 이는 치료 후 잠시 눈을 감고 쉬는 것으로 완화됨
    • 현재까지 보고된 장기적인 부작용은 없으나, 장기간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Axial Length Changes (mm)
    단일초점안경군(SVSMM)에서는 축장이 증가(0.08mm)했지만, 적색광 치료군(RLMM, RLS)에서는 축장이 감소(-0.03mm, -0.07mm)했다. 특히 고도 근시군(RLS)에서 억제 효과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2. Spherical Equivalent Changes (D)
    구면 굴절치(SER) 변화는 적색광 치료군(RLMM, RLS)에서 동일하게 약간의 감소(0.06D)를 보였고, 안경군(SVSMM)에서는 더 큰 감소(-0.26D)가 관찰되었다.

  3. AL/CR Ratio Changes
    적색광 치료군(RLMM, RLS)에서는 AL/CR 비율이 감소(-0.01, -0.02)했고, 안경군(SVSMM)에서는 소폭 증가(0.04)했다.

 

결론 및 제언

  • 결론

    • 650nm 적색광 장치는 근시 진행 억제에 효과적이며, 특히 고도 근시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으로 입증됨

    • 안구 축장 증가 억제, 맥락막 두께 증가 등 긍정적인 구조적 변화를 유도
    • 치료 효과는 연령이나 초기 근시 정도와 상관없이 나타남
  • 제언

    • 장기적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대규모, 장기 연구가 필요함
    • 적색광 치료를 기존 안경 및 약물 치료와 병행할 경우의 추가 효과를 연구할 가치가 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640 0
106 영장류의 장내 미생물과 대사 경로: 뇌와 몸의 에너지 분배 file 서플팩트 2024.12.26 109 0
105 커피 섭취와 암: 두경부암 예방 효과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22 132 0
104 편도 제거 수술, 스트레스 장애 위험 높인다? 연구 결과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2.22 117 0
103 NUPR1과 철분: 노화가 세포와 암에 미치는 영향 file 서플팩트 2024.12.21 93 0
102 치매 환자의 13%, 간경변이 원인일 수 있다 file 서플팩트 2024.12.21 104 0
101 식초로 심혈관 건강 지키는 법: 연구로 본 가능성 file 서플팩트 2024.12.17 104 0
100 미녹시딜 대체제? 2-디옥시-D-리보스의 탈모 치료 효과 1 file 서플팩트 2024.12.17 80 0
99 제2형 당뇨병에서 식초 섭취의 혈당 및 지질 대사 개선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17 88 0
98 흑초, 지방 축적 억제와 심혈관 건강 개선에 효과적 file 서플팩트 2024.12.16 104 0
97 ADHD 환자의 뇌 백질 변화가 주의력 저하를 설명한다 file 서플팩트 2024.12.13 110 0
96 ADHD 연구: 백질 무결성 손상과 주의력 저하의 관계 file 서플팩트 2024.12.13 112 0
95 ADHD 진단 시기: IQ와 성별이 미치는 영향 분석 file 서플팩트 2024.12.13 208 0
94 노인을 위한 수면과 운동의 중요성: 기억력과 주의력 개선 file 서플팩트 2024.12.13 101 0
93 근시 진행을 막는 새로운 방법: 반복적 적색광 치료 file 서플팩트 2024.12.09 128 0
92 소아 근시 관리: 저수준 적색광 치료의 효과와 원리 file 서플팩트 2024.12.09 96 0
91 어린이 근시 해결책: 안전하고 효과적인 적색광 치료 file 서플팩트 2024.12.09 103 0
» 650nm 적색광 치료의 근시 억제 효과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650-nm Red-Light Feeding Instruments in the Control of Myopia (2023) https://doi.org/10.1159/000529819 해당 논문은 650n... file 서플팩트 2024.12.09 503 0
89 670nm 광선 치료: 황반변성 염증 억제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09 76 0
88 670nm 근적외선,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로 시력 보호 file 서플팩트 2024.12.09 93 0
87 670nm 빛의 염증 억제 효과, 노화된 눈을 살리다 file 서플팩트 2024.12.08 112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