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조회 수 1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ssessment of Acute Adverse Events of Glycine Ingestion at a High Dose in Human Volunteers (2006)

https://doi.org/10.11468/seikatsueisei.50.27

 

글리신은 체내에서 다양한 생리적 역할을 수행하는 아미노산으로, 이전 연구에서 3g의 글리신을 취침 전에 섭취하면 수면 질이 유의미하게 개선된다는 결과가 있었다. 이번 연구는 글리신 섭취량을 3배로 늘려 9g을 섭취했을 때의 안전성과 다음 날 졸음 유발 여부를 평가하고, 글리신의 잠재적인 부작용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9g의 고용량 글리신 섭취는 일부 생리학적 변화를 유발했지만, 이는 정상 범위 내에서 관찰되었고, 경미한 소화기 증상 외에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연구 방법

  1. 참가자 구성

    • 인원: 건강한 성인 남녀 12명(남성 6명, 여성 6명)
    • 연령: 25~38세(평균 34세)
    • 생활 패턴: 주간 근무자로 일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연구 중 추가 약물이나 보충제를 피하도록 지침을 받음
  2. 연구 기간
    총 17일 동안 진행된 연구는 다음 세 단계로 나뉘었다.

    • 사전 섭취 기간(7일): 글리신 대신 저감미당을 섭취
    • 글리신 섭취 기간(7일)
      • 첫 2일: 식사 후 30분에 3g씩 하루 3회 섭취
      • 이후 2일: 하루 한 끼 식사 후 9g 한 번 섭취
      • 마지막 3일: 취침 전 1시간 이내 9g 한 번 섭취
    • 사후 관찰 기간(3일): 글리신 섭취 중단 후 변화 관찰
  3. 측정 항목

    • 혈액 검사: 21개 아미노산, 백혈구(WBC), 적혈구(RBC), 헤모글로빈(Hb), 알부민/글로불린 비율(A/G ratio) 등
    • 소변 검사: pH, 특정 중금속 농도, 요단백, 요산 등
    • 설문조사: 피로감, 졸음, 기분 변화 등 자가 보고
    • 임상 인터뷰: 연구 전후 4회 실시
  4. 윤리적 승인: 연구는 헬싱키 선언, Good Clinical Practice 기준에 따라 설계되었으며, 모든 참가자로부터 서면 동의를 받음

 

연구 결과

1. 혈액 내 아미노산 변화

  • 글리신 섭취 전후 21개 아미노산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글리신과 관련된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 증가: 글리신(+51%), 세린(+31%), 시스틴(+16%)
    • 감소: 히스티딘(-16%), 트립토판(-13%), 류신(-18%)
  • 모든 변화는 생리적 정상 범위 내에서 관찰되었으며,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없었음

2. 임상 검사 결과

  • 일부 혈액 지표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이는 모두 정상 범위 내
    • 백혈구(WBC): 5612.5 → 5116.67/µL (-9%)
    • 평균 적혈구 용적(MCV): 94.33 → 95.00 fL (+0.7%)
    • 알부민/글로불린 비율(A/G ratio): 1.51 → 1.87 (+23.8%)
  • 소변 검사에서는 특이한 이상 반응이 관찰되지 않음

3. 부작용

  • 글리신 섭취 후 경미한 소화기 증상 보고
    • 복통: 참가자 2명에서 발생, 주로 취침 전 9g 섭취 시 나타남
    • 설사 및 묽은 변: 참가자 3명에서 관찰
    • 원인: 취침 전 공복 상태에서 고용량 아미노산 섭취로 인해 장내 삼투압이 일시적으로 높아진 결과로 추정
  • 모든 증상은 연구 종료 후 자연적으로 회복되었으며, 지속적 섭취도 가능했음

4. 졸음 및 피로

  • 설문조사 및 ANOVA 분석 결과, 9g의 글리신 섭취는 다음 날 졸음, 피로, 집중력 저하 등을 유발하지 않음
  • 글리신 섭취 기간 동안 낮 시간대 피로도 점수 변화는 무의미한 수준

 

글리신 섭취 시 고려 사항

  1. 수면 개선 효과

    • 기존 연구에 따르면 글리신 3g은 수면의 질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며, 이 효과는 비교적 소량 섭취에서도 충분히 나타남
    • 이번 연구에서 9g 섭취는 추가적인 수면 개선 효과보다는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용도로 설정되었음
  2. 안전성

    • 고용량 글리신 섭취는 대부분의 생리적 지표에서 정상 범위 내에서 변화를 보였으며, 건강한 성인에게 안전한 것으로 확인됨
    •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나, 이는 경미하고 일시적임
  3. 졸음 유발 없음

    • 9g 섭취 후에도 낮 시간대 졸음이나 피로가 증가하지 않았으므로, 글리신은 수면 개선을 위한 안전한 선택지로 볼 수 있음

 

output.png

 

글리신 섭취 전후 아미노산 농도 변화

1. Glycine (글리신)

  • 변화: 섭취 후 농도가 51% 이상 증가
  • 의미: 글리신 보충제가 혈중 글리신 농도를 크게 높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글리신이 체내에 빠르게 흡수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 건강에 미치는 영향: 글리신은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며, 수면 개선, 스트레스 완화, 뇌 기능 지원 등 다양한 생리적 효과가 있다. 수면 질 개선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2. Histidine, Phenylalanine, Tryptophan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 변화: 글리신 섭취 후 각각 16%, 13%, 13% 감소
  • 의미: 글리신이 대사 과정에서 이들 아미노산과 경쟁하거나, 글리신 섭취로 인해 이들 아미노산의 사용량이 증가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히스티딘: 면역 체계와 관련된 중요한 아미노산으로, 감소가 장기화되면 면역 기능 저하 가능성
    • 페닐알라닌: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전구체로, 감소는 기분 조절과 에너지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트립토판: 세로토닌 합성과 수면-기분 조절에 중요한데, 감소는 장기적으로 기분 저하나 수면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3. Valine, Isoleucine, Leucine (발린, 이소류신, 류신)

  • 변화: 각각 14~18% 감소
  • 의미: 이들은 필수 아미노산으로, 특히 근육 대사와 관련이 깊다. 글리신 섭취로 인해 대사적 우선순위가 글리신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 건강에 미치는 영향
    • 근육 합성과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감소가 지속되면 근육 손실 가능성
    • 운동 선수나 체력 회복이 필요한 사람들은 주의가 필요하다.

4. Serine, Cystine (세린, 시스틴)

  • 변화: 각각 31%, 16% 증가
  • 의미: 글리신 대사가 증가하면서 관련 경로에서 세린과 시스틴의 농도가 동반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다.
  •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세린: 뇌 기능과 신경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증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시스틴: 항산화 작용과 관련이 있어, 세포 손상을 줄이고 면역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5. 종합적인 건강 영향

글리신 섭취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특정 아미노산 농도가 감소하거나 증가한 것은 개별적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는 것이 좋다. (주; 9g은 일반적인 섭취량 대비 3배 높다.)

  1. 수면 및 스트레스 관리: 글리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면 질과 신경 안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균형 유지: 필수 아미노산(발린, 이소류신, 류신 등)의 감소는 단백질 대사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아미노산 섭취가 중요하다.
  3. 맞춤형 섭취: 글리신은 특정 상황(예: 스트레스 해소, 수면 문제)에 긍정적이지만, 과도한 섭취는 아미노산 불균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결론

글리신은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며, 고용량 섭취도 안전성이 높은 아미노산이다. 특히 취침 전 섭취는 수면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일상적인 섭취량(3g)은 부작용 없이 안전하다. 다만, 고용량 섭취 시 발생할 수 있는 소화기 증상을 최소화하려면 식사 후 섭취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글리신은 건강한 수면 패턴 형성과 함께 피로 회복을 위한 유용한 보충제로 활용될 수 있다.

 

쿠팡에서 글리신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X5eWU
아이허브 글리신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l-glycine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서플팩트 2024.12.01 3814 0
116 아연의 효능: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의 감소 file 서플팩트 2024.12.21 268 0
115 노인 건강을 지키는 비결: 아연 농도와 폐렴의 상관관계 file 서플팩트 2024.12.21 157 0
114 아연 보충제가 감기 예방에 미치는 효과, 과학으로 살펴보다 file 서플팩트 2024.12.20 168 0
113 아연 보충이 노인의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는 비결 file 서플팩트 2024.12.20 158 0
112 아연 보충으로 산화 스트레스와 감염 줄이기: SCD 환자 연구 file 서플팩트 2024.12.20 154 0
111 아연과 노인 건강: 면역력 강화의 과학적 근거 file 서플팩트 2024.12.19 197 0
110 염증 지표 CRP와 IL-6를 낮추는 PQQ의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15 374 0
109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촉진: PQQ 보충제의 새로운 가능성 file 서플팩트 2024.12.15 191 0
108 피롤로퀴놀린 퀴논(PQQ), 수면과 삶의 질을 높인다 file 서플팩트 2024.12.14 281 0
107 글리신 및 시스테인 보충으로 HIV 환자의 체지방 감소와 근력 회복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14 136 0
106 당뇨병과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및 글리신 보충으로 산화 스트레스 개선하기 file 서플팩트 2024.12.14 72 0
105 NMDA 수용체와 글리신: 수면 과학의 비밀 file 서플팩트 2024.12.14 108 0
104 글리신, 기억력과 뇌 건강을 회복시키는 신경 보호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14 121 0
» 글리신 9g 고용량 섭취의 건강 효과와 부작용 Assessment of Acute Adverse Events of Glycine Ingestion at a High Dose in Human Volunteers (2006) https://doi.org/10.11468/seikatsueisei.50.27 글리신은... file 서플팩트 2024.12.14 116 0
102 글리신 섭취 후 뇌의 변화: 세로토닌 증가로 확인된 잠재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14 240 0
101 글리신 섭취가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 과학적 연구 결과 file 서플팩트 2024.12.14 60 0
100 글리신 섭취가 아침 피로를 줄이는 이유: 수면 질 개선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14 102 0
99 항산화제로서 글리신: 혈관 기능 회복에 도움 file 서플팩트 2024.12.14 68 0
98 글리신 보충제, 지방세포 축소와 혈압 정상화에 도움 file 서플팩트 2024.12.14 128 0
97 신생아 산화 스트레스 감소: 루테인의 과학적 효과 file 서플팩트 2024.12.08 135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