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A western dietary pattern during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2025)

https://doi.org/10.1038/s42255-025-01230-z

 

해당 논문은 임신 중 서구식 식단이 자녀의 신경발달장애(특히 ADHD와 자폐증) 발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한 연구이다. 임신 중 식단이 태아의 뇌 발달과 신경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으며, 이를 위해 덴마크의 COPSAC2010 코호트(n=508)와 DNBC, VDAART, COPSAC2000 등 총 3개의 독립 코호트 데이터를 사용해 결과를 검증했다.

 

연구에서는 임신 중 식단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PCA(주성분 분석)를 활용해 다음 두 가지 주요 식단 유형을 구분했다.

  • 다양한 식단(varied dietary pattern): 과일, 생선, 채소, 통곡물 등 다양한 건강한 식품을 포함한 식단
  • 서구식 식단(western dietary pattern): 동물성 지방, 가공육, 정제 곡물, 고열량 음료 섭취가 많고, 과일, 생선, 채소 섭취가 적은 식단

이 연구는 서구식 식단과 자녀의 신경발달장애 간의 강한 상관관계를 밝혔으며, 특히 ADHD자폐증에 대한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 COPSAC2010 코호트: 덴마크의 508명의 임신부와 출생 후 10세까지 추적된 자녀를 대상으로 연구 수행

  • ADHD 및 자폐증 진단은 국제 기준인 ICD-10DSM-5를 사용해 평가
  • 신경발달장애 진단 외에도 ADHD 증상, 자폐증 증상 점수 및 기타 정신질환 증상 데이터 포함

2. 데이터 수집 방법

  • 임신 24주차에 식단에 관한 설문조사(FFQ)를 통해 산모의 식단 패턴을 분석
  • 자녀의 신경발달 상태는 6세, 8세, 10세 시점에서 평가
  • 대사체 분석을 통해 혈액 내 특정 대사물질을 측정하여 임신 중 식단의 생리적 영향을 확인

 

연구 결과

1. 서구식 식단과 신경발달장애의 연관성

  • 서구식 식단을 섭취한 임산부의 자녀는 신경발달장애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 구체적인 진단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DHD 진단: 오즈비(OR) 1.66 (1.21–2.27), P=0.002
    • 자폐증 진단: 오즈비(OR) 2.22 (1.33–3.74), P=0.002
    • 신경발달장애 전체 진단: 오즈비(OR) 1.53 (1.17–2.00), P=0.002
  • ADHD와 자폐증 진단뿐만 아니라 증상 수준에서도 서구식 식단과 강한 상관성이 나타났다.

    • ADHD 증상 점수: β 1.73 (0.98–2.49), P<0.001
    • 자폐증 증상 점수: β 3.21 (1.69–4.74), P<0.001

2. ADHD 증상과의 관계

  • 서구식 식단을 섭취한 임산부의 자녀는 ADHD 증상 점수가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ADHD 증상은 6세, 8세, 10세 시점에서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서구식 식단과 ADHD 증상 간의 연관성은 강하게 유지되었다.

3. 서구식 식단과 특정 대사체의 상관관계

  • 임신 중 혈액 대사체 분석에서 서구식 식단과 관련된 43개 대사체가 확인되었다.

  • 이 중 15개 대사체는 ADHD 및 기타 신경발달장애의 발생을 매개하는 주요 대사체로 밝혀졌다.
  • 주요 대사체의 특성:
    • 보호 효과를 나타낸 대사체: 에르고티오네인, 카로틴 디올, 타르타르산
    • 신경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대사체: 카프레이트(caprate), 카프릴레이트(caprylate) 등 중쇄지방산(MCFA)

4. 시기별 서구식 식단의 영향

  • 서구식 식단이 신경발달장애에 미친 영향은 주로 임신 초기~중기(임신 24주차)에 집중되었다.

  • 출산 직후, 생후 6개월, 18개월, 6세 시점에서는 ADHD 증상과의 상관관계가 약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 이는 태아의 뇌 발달이 임신 초기~중기에 집중되며, 이 시기가 서구식 식단의 부정적 영향에 더 민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 유전자 및 기타 요인과의 상호작용

서구식 식단과 신경발달장애의 관계는 특정 조건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 임신 전 BMI가 높은 산모: BMI 25.4 이상일 경우 ADHD 및 자폐증 발생 위험이 더 크게 나타났다.
  • ADHD 및 자폐증에 대한 유전적 위험이 높은 자녀에서 서구식 식단의 부정적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 남아의 경우 서구식 식단과 ADHD/자폐증 간의 상관관계가 여아보다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fig1.jpg

 

서구식 식단과 ADHD·자폐증 위험: 식단 유형에 따른 영향 비교

1. 두 가지 식단 유형

연구에서는 산모의 식단을 PCA(주성분 분석) 기법을 통해 다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 다양한 식단 (Varied dietary pattern)

    • 과일, 생선, 채소, 통곡물, 견과류 등 다양한 건강 식품을 고르게 포함한 식단
    • 영양 균형이 잘 맞는 식단으로 볼 수 있음
  • 서구식 식단 (Western dietary pattern)

    • 동물성 지방, 가공육, 정제 곡물, 고열량 음료 섭취가 많고, 과일, 생선, 채소 섭취가 적은 식단
    • 지방과 정제 탄수화물 비율이 높은 불균형한 식단

2. 식단 유형과 ADHD/자폐증 진단 위험

  • 다양한 식단은 ADHD, 자폐증, 신경발달장애 진단과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 ADHD 위험: P=0.491 (유의미한 차이 없음)
    • 자폐증 위험: P=0.288 (유의미한 차이 없음)
    • 전체 신경발달장애 위험: P=0.42 (유의미한 차이 없음)
  • 서구식 식단은 ADHD, 자폐증, 전체 신경발달장애의 위험을 모두 유의하게 높였다.

    • ADHD 위험: 오즈비(OR) 1.66 (1.21–2.27), P=0.002
    • 자폐증 위험: 오즈비(OR) 2.22 (1.33–3.74), P=0.002
    • 전체 신경발달장애 위험: 오즈비(OR) 1.53 (1.17–2.00), P=0.002

3. 서구식 식단의 특징적 식품군

  • 다양한 식단과 강하게 연관된 식품군

    • 과일, 생선, 채소, 통곡물, 견과류 등 영양 밀도가 높은 건강한 식품
  • 서구식 식단과 강하게 연관된 식품군

    • 가공육, 정제 곡물, 고지방 유제품, 고열량 음료 등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식품

4. 핵심 메시지

  • 서구식 식단은 ADHD, 자폐증, 신경발달장애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 반면, 다양한 식단은 신경발달장애와 관련된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서구식 식단을 피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임신 중 중요한 건강 관리 방법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 이번 연구는 서구식 식단이 자녀의 신경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 특히 임신 초기~중기 시점에 서구식 식단을 피하고, 과일, 생선, 채소 등을 포함한 균형 잡힌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 ADHD 및 자폐증에 대한 유전적 위험이 높은 경우, 더욱 신중한 식단 관리가 필요하다.
  • 연구는 서구식 식단이 ADHD 및 자폐증뿐만 아니라 경미한 신경발달장애 증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광범위한 예방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 결론

임신 중 서구식 식단은 자녀의 ADHD 및 자폐증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특정 대사체의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구식 식단이 유도하는 중쇄지방산(MCFA)과 같은 대사체는 신경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에르고티오네인과 같은 항산화 대사체는 보호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는 임신 초기부터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고, 뇌 발달에 유익한 성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40 Votes0
    read more
  2. 운동과 게임의 결합, 노인의 인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Date2025.03.3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3. 저녁형 인간이 우울감을 더 자주 느끼는 과학적 이유

    Date2025.03.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5 Votes0 file
    Read More
  4. 하루 4g의 계피, 혈당과 중성지방 관리에 도움될 수 있다

    Date2025.03.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5. 자연을 보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줄어든다

    Date2025.03.1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6. 임신 중 모체의 대사 건강이 태아의 비만 위험을 결정한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7. 임신 초기 비만, 자녀의 정신 및 행동 장애와 연관 있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6 Votes0 file
    Read More
  8. ADHD와 자폐증 위험을 높이는 의외의 요인: 임신 중 서구식 식단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3 Votes0 file
    Read More
  9. 향신료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법

    Date2025.03.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0. 장내 유익균을 늘리는 방법 - 향신료 섭취의 과학적 근거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1. 향신료가 장내 환경을 바꾼다? 박테로이데스와 비피도박테리움 변화 분석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2. 요거트와 장내 세균, 대장암 예방 효과 연구 결과

    Date2025.02.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3. 정신질환의 유전적 원인: 신경 발달과 단백질 네트워크의 숨겨진 역할

    Date2025.02.1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14. 미세플라스틱이 혈관을 막아 뇌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0 Votes0 file
    Read More
  15. 근육 속 지방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BMI와 내장지방보다 더 중요한 건강 지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2 Votes0 file
    Read More
  16. 부모 이혼이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 연구 결과 분석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89 Votes0 file
    Read More
  17. 치매 환자의 뇌에서 미세플라스틱 5배 더 검출, 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8. 코로나19 감염 후 치매 위험 증가? 알츠하이머와의 연관성 연구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19. 커피는 언제 마셔야 할까? 아침 커피가 건강에 더 좋은 이유

    Date2025.0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5 Votes0 file
    Read More
  20. IL-6와 뇌 건강: 염증이 인지 능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21. 염증과 대사 증후군, 뇌 건강을 위협한다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7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