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조회 수 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Disturbed structural connectivity is related to inattention and impulsivity in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2010)

https://doi.org/10.1111/j.1460-9568.2010.07110.x

 

ADHD(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는 소아기에 시작해 성인까지 지속되는 신경 발달 장애다. 성인 ADHD의 핵심 증상은 주의력 결핍과 충동성이며, 이는 주로 전두-기저핵(Fronto-striatal) 네트워크와 전두-소뇌(Fronto-cerebellar) 네트워크의 이상과 관련이 깊다고 알려져 있다. 이전 연구들은 주로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구조적 MRI 연구를 통해 ADHD 환자의 뇌에서 전두엽, 기저핵, 소뇌의 부피 감소를 밝혀냈다. 그러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다. 이 연구는 확산 텐서 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 DTI)을 이용해 성인 ADHD 환자의 백질(White Matter) 연결성을 분석하고, 이와 주의력 및 충동성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 방법

대상자

  • ADHD 환자: 37명 (평균 나이 32.5세, 약물 치료 미진행 상태)
  • 대조군: 건강한 성인 34명 (평균 나이 30.2세)
  • 선정 기준
    • ADHD 환자는 DSM-IV 기준으로 복합형(Combined type) 진단을 받은 성인
    • 약물 치료 경험이 없는 순수 ADHD 환자만 포함
    • 주요 정신적 질환이나 신경학적 문제를 동반하지 않은 경우
  • 검사 기간: 약 4년 동안 신중하게 선별된 참여자

검사 도구

  1. DTI(확산 텐서 영상)

    • FA(분획 이방성): 백질 무결성을 나타내는 지표
    • MD(평균 확산도): 백질의 손상 정도를 반영하는 지표
  2. 신경심리학적 검사

    • TOVA: 주의력 평가와 충동성 오류 수 측정
    • 반응 시간(Reaction Time): 주의력 측정 지표
    • BADDS: 현재 ADHD 증상 심각도 평가
  3. 통계 분석

    • ADHD 환자와 대조군 간의 FA와 MD 수치 비교
    • 주의력 및 충동성과 뇌 백질 무결성(FA, MD) 간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결과

1. ADHD 환자의 뇌 백질 구조 변화

ADHD 환자는 대조군과 비교해 다음과 같은 백질 변화가 나타났다.

  • FA 수치 변화 (백질 무결성 저하)
    • 감소 영역

      • 우측 전대상다발(Anterior Cingulum Bundle)

      • 양측 전두엽 백질

      • 이 영역들은 주의력 및 인지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손상이 주의력 결핍과 연결될 수 있다.

    • 증가 영역

      • 양측 측두엽 백질

      • 주로 하부 전두-후두다발(Inferior Frontoccipital Fasciculus, IFO)갈고리다발(Uncinate Fasciculus) 영역

      • 이 부위에서 FA 수치 증가가 발견된 것은 비정상적 백질 재구성을 시사한다.

  • MD 수치 변화 (확산도 증가 → 백질 손상)
    • 증가 영역

      • 좌측 상종다발(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 SLF)

      • 양측 전두엽 백질

      • 이 부위는 인지 및 주의력 조절과 관련이 깊으며, MD 수치 증가는 백질 무결성이 손상되었음을 나타낸다.

2. 주의력과 뇌 구조의 상관관계

ADHD 환자군의 주의력 평가(ADHD 점수)백질 무결성(FA)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 우측 상종다발(SLF)에서 FA 수치와 주의력 점수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SLF는 전두엽과 후두엽-두정엽을 연결하는 백질 경로로, 시각적 정보와 주의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SLF의 손상은 주의력 결핍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3. 충동성과 뇌 구조의 상관관계

충동성 평가(오류 수)와 백질 구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 FA 감소

    • 우측 안와전두백질(Orbitofrontal WM)
    • 이 부위는 전두엽기저핵을 연결하며, 행동 억제와 충동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손상이 있을 경우 충동성이 증가할 수 있다.
  • MD 증가:

    • 양측 혀이랑(Lingual Gyrus)에서 MD와 충동성 오류 수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이 영역은 시각 처리와 감정 조절에 관여하지만, 충동성과의 연관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fig1.jpg

 

성인 ADHD 환자와 대조군 간의 백질 무결성 차이

  1. FA 감소 (ADHD 환자군)

    • 오른쪽 전대상다발 (Anterior Cingulum Bundle)
    • 양측 전두엽 백질
      • 전대상다발과 전두엽 백질은 주의력집행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ADHD 환자군에서는 이 영역들의 무결성이 감소했다.
      • 이는 주의력 결핍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FA 증가 (ADHD 환자군)

    • 양측 측두엽 백질
      • 주로 하부 전두-후두다발 (Inferior Frontoccipital Fasciculus, IFO)갈고리다발 (Uncinate Fasciculus)
    • 이 영역에서는 비정상적인 FA 증가가 나타났는데, 이는 뇌의 재구성 혹은 보상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3. MD 증가 (ADHD 환자군)

    • 좌측 상종다발 (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 SLF)
    • 양측 전두엽 백질
      • MD의 증가는 백질 무결성의 손상을 의미하며, 주로 인지 및 주의력 조절과 관련된 경로에서 나타났다.
  4. 핵심 요약

    • ADHD 환자의 전두엽 및 전대상다발에서 FA가 감소하고 MD가 증가

    • 이는 주의력 결핍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깊다.
    • 양측 측두엽에서 나타난 FA 증가는 ADHD 환자의 뇌가 구조적으로 비정상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fig3.jpg

 

성인 ADHD 환자의 백질 구조(FA, MD)와 주의력 및 충동성

  1. 주의력과 상관관계

    • 오른쪽 상종다발(SLF)
      • FA(분획 이방성)와 주의력 점수(ADHD 점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FA 수치가 높을수록 주의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MD(평균 확산도)와 주의력 점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MD 수치가 낮을수록 주의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우측 상종다발은 주의력 조절과 밀접하게 연결된 핵심 백질 경로이며, 이 경로의 무결성이 ADHD 환자의 주의력 문제와 관련이 있다.
  2. 충동성과 상관관계

    • 우측 안와전두백질 (Orbitofrontal WM)
      • FA와 충동성 오류 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FA 수치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양측 혀이랑(Lingual Gyrus)
      • MD와 충동성 오류 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MD 수치가 높을수록 충동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안와전두백질의 연결이 손상되면 충동적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연구 결론

ADHD는 뇌 구조적, 기능적 이상과 깊이 연결된 신경발달장애로 확인된다. 전두엽과 기저핵의 부피 감소, 백질 무결성 저하, 기본 모드 네트워크(DMN)의 비정상화가 ADHD 증상인 주의력 저하와 충동성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뇌 성숙 지연과 보상 시스템의 기능 저하는 ADHD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40 Votes0
    read more
  2. 영장류의 장내 미생물과 대사 경로: 뇌와 몸의 에너지 분배

    Date2024.12.26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3. 커피 섭취와 암: 두경부암 예방 효과 연구 결과

    Date2024.12.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2 Votes0 file
    Read More
  4. 편도 제거 수술, 스트레스 장애 위험 높인다? 연구 결과 분석

    Date2024.12.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7 Votes0 file
    Read More
  5. NUPR1과 철분: 노화가 세포와 암에 미치는 영향

    Date2024.12.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93 Votes0 file
    Read More
  6. 치매 환자의 13%, 간경변이 원인일 수 있다

    Date2024.12.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4 Votes0 file
    Read More
  7. 식초로 심혈관 건강 지키는 법: 연구로 본 가능성

    Date2024.12.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4 Votes0 file
    Read More
  8. 미녹시딜 대체제? 2-디옥시-D-리보스의 탈모 치료 효과

    Date2024.12.17 By서플팩트 Reply1 Views80 Votes0 file
    Read More
  9. 제2형 당뇨병에서 식초 섭취의 혈당 및 지질 대사 개선 효과

    Date2024.12.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88 Votes0 file
    Read More
  10. 흑초, 지방 축적 억제와 심혈관 건강 개선에 효과적

    Date2024.12.16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4 Votes0 file
    Read More
  11. ADHD 환자의 뇌 백질 변화가 주의력 저하를 설명한다

    Date2024.12.1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0 Votes0 file
    Read More
  12. ADHD 연구: 백질 무결성 손상과 주의력 저하의 관계

    Date2024.12.1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2 Votes0 file
    Read More
  13. ADHD 진단 시기: IQ와 성별이 미치는 영향 분석

    Date2024.12.13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8 Votes0 file
    Read More
  14. 노인을 위한 수면과 운동의 중요성: 기억력과 주의력 개선

    Date2024.12.1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1 Votes0 file
    Read More
  15. 근시 진행을 막는 새로운 방법: 반복적 적색광 치료

    Date2024.1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8 Votes0 file
    Read More
  16. 소아 근시 관리: 저수준 적색광 치료의 효과와 원리

    Date2024.1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6 Votes0 file
    Read More
  17. 어린이 근시 해결책: 안전하고 효과적인 적색광 치료

    Date2024.1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3 Votes0 file
    Read More
  18. 650nm 적색광 치료의 근시 억제 효과

    Date2024.1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503 Votes0 file
    Read More
  19. 670nm 광선 치료: 황반변성 염증 억제 효과

    Date2024.1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76 Votes0 file
    Read More
  20. 670nm 근적외선,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로 시력 보호

    Date2024.1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3 Votes0 file
    Read More
  21. 670nm 빛의 염증 억제 효과, 노화된 눈을 살리다

    Date2024.12.0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2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