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기타 의학 정보

조회 수 1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Cognitive Decline and Markers of Inflammation and Hemostasis: The Edinburgh Artery Study (2007)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7.01158.x

 

이 연구는 염증과 지혈 관련 생체 마커(혈액 내 IL-6, ICAM-1, 피브리노겐 등)가 노인들의 인지 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염증 반응은 심혈관 질환과 신경 퇴행성 질환(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의 발병과 연관이 깊다. 특히, 만성적이고 낮은 강도의 염증 반응이 뇌의 인지 기능 저하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해 연구자들은 주목하고 있다.

 

연구 설계

  1. 연구 대상

    • 55~74세 남녀 452명으로 구성
    • 에든버러 지역 11개 일반 진료소에서 무작위로 모집
    • 초기 모집은 1987~1988년에 이루어졌으며, 총 16년간 추적 연구 진행
  2. 측정 항목 및 방법

    • 생체 마커: 혈액 내 C-반응성 단백질(CRP), IL-6(인터루킨-6), ICAM-1(세포간 접착 분자-1), 피브리노겐 등 다양한 염증 및 지혈 마커를 분석
    • 인지 기능 테스트
      • 언어 기억(Wechsler Logical Memory Test, LMT)
      • 비언어적 추론(Raven’s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 언어 유창성(Verbal Fluency Test)
      • 정보 처리 속도(Digit Symbol-Coding Test)
      • 일반 인지 능력(GCF; 위 테스트들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점수)
  3. 추적 기간

    • 1987/88년: 생체 마커 데이터 수집
    • 1998/99년: 첫 인지 기능 평가
    • 2002/03년: 두 번째 인지 기능 평가
    • 데이터 분석은 초기 생체 마커 수준과 4년간의 인지 저하 간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춤

 

연구 결과

  1. 염증 마커와 인지 기능 간의 관계

    • IL-6(인터루킨-6)
      • IL-6 수치가 높을수록 정보 처리 속도 및 전반적인 인지 능력 저하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짐
      • 특히 4년간의 정보 처리 속도 감소와 일반 인지 능력 저하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나타남
    • ICAM-1(세포간 접착 분자-1)
      • 비언어적 추론 및 전반적인 인지 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연관됨
      • 4년간의 비언어적 추론 저하를 유의미하게 예측
    • 피브리노겐
      • 4년 동안의 비언어적 추론 능력 감소를 강력하게 예측함
  2. 다중 회귀 분석 결과

    • 염증 마커와 인지 저하 간의 관계는 심혈관 질환, 우울증, 흡연, 음주 등의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유효
    • IL-6과 ICAM-1은 서로 독립적으로 인지 저하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
  3. 기존 인지 능력과의 상관성

    • 이전 최대 인지 능력(국가 성인 읽기 테스트, NART)과 염증 마커의 상관관계가 현재 인지 기능보다 강하게 나타남
    • 이는 염증 마커가 오랜 기간에 걸친 누적적인 인지 저하를 반영할 가능성을 시사
  4. 염증 마커의 역할

    • IL-6은 알츠하이머병에서 발견되는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과도 연관될 가능성이 있으며, 혈관 병변을 유발해 신경 손상에 기여할 수 있음
    • ICAM-1은 뇌졸중 및 경미한 뇌 허혈과 관련된 염증 반응을 나타낼 수 있음
    • 피브리노겐은 혈액 점도를 증가시켜 뇌혈류를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혈전 형성을 촉진해 인지 저하를 유발할 수 있음

 

output.png

 

염증 및 지혈 마커가 노년기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1. Logical Memory Test

  • Fibrinogen: 논리적 기억 능력(Logical Memory)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점수: +1.46). 이는 기억 능력 감소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IL-6: 논리적 기억 능력에 약간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점수: -1.43). 이는 IL-6가 만성 염증을 유발하며 기억 형성이나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을 보여준다.
  • ICAM-1: 영향이 미미하지만, 점수는 음수로 나타났다(-0.026). 이는 ICAM-1이 기억력 저하와 약간의 관련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2. Raven's Matrices

  • Fibrinogen: 비언어적 추론 능력(Raven’s Matrices)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점수: -1.25). 이는 혈액 점도 증가와 같은 피브리노겐 관련 기전이 뇌 혈류에 영향을 주어 비언어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IL-6: 강한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다(점수: -2.98). IL-6는 신경 염증과 혈관 손상을 통해 비언어적 추론 능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 ICAM-1: 비언어적 추론 능력에 중간 정도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점수: -0.048). 이는 ICAM-1이 혈관 내 염증과 뇌 기능 저하에 기여할 가능성을 나타낸다.

3. Verbal Fluency Test

  • Fibrinogen: 언어 유창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점수: -2.31). 이는 혈액 응고와 관련된 기전이 뇌의 언어 생성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IL-6: 언어 유창성에서 가장 큰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점수: -3.13). IL-6와 관련된 염증 반응이 뇌의 언어 중심 부위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ICAM-1: 언어 유창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점수: -0.041). 이는 ICAM-1이 뇌의 신경 염증과 관련된 마커임을 보여준다.

4. Digit Symbol-Coding Test

  • Fibrinogen: 정보 처리 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점수: -2.21). 이는 피브리노겐이 뇌 혈류와 정보 처리에 필요한 산소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IL-6: 정보 처리 속도에서 가장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점수: -3.94). IL-6는 염증 반응을 통해 신경 전달 속도를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 ICAM-1: 정보 처리 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점수: -0.043). 이는 ICAM-1이 만성적인 염증과 관련되어 뇌의 처리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론

IL-6와 ICAM-1은 만성 염증과 뇌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L-6는 특히 정보 처리 속도와 전반적인 인지 능력 저하에 강하게 연관되었고, 피브리노겐은 논리적 기억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비언어적 추론 등에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염증 및 지혈 마커를 조절하는 것이 노화로 인한 인지 저하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1. No Image notice

    영양제를 제외한 의학 정보와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640 Votes0
    read more
  2. 운동과 게임의 결합, 노인의 인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Date2025.03.3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9 Votes0 file
    Read More
  3. 저녁형 인간이 우울감을 더 자주 느끼는 과학적 이유

    Date2025.03.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5 Votes0 file
    Read More
  4. 하루 4g의 계피, 혈당과 중성지방 관리에 도움될 수 있다

    Date2025.03.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5. 자연을 보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줄어든다

    Date2025.03.1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6. 임신 중 모체의 대사 건강이 태아의 비만 위험을 결정한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7. 임신 초기 비만, 자녀의 정신 및 행동 장애와 연관 있다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6 Votes0 file
    Read More
  8. ADHD와 자폐증 위험을 높이는 의외의 요인: 임신 중 서구식 식단

    Date2025.03.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3 Votes0 file
    Read More
  9. 향신료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법

    Date2025.03.04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0. 장내 유익균을 늘리는 방법 - 향신료 섭취의 과학적 근거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84 Votes0 file
    Read More
  11. 향신료가 장내 환경을 바꾼다? 박테로이데스와 비피도박테리움 변화 분석

    Date2025.03.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2. 요거트와 장내 세균, 대장암 예방 효과 연구 결과

    Date2025.02.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3. 정신질환의 유전적 원인: 신경 발달과 단백질 네트워크의 숨겨진 역할

    Date2025.02.1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1 Votes0 file
    Read More
  14. 미세플라스틱이 혈관을 막아 뇌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0 Votes0 file
    Read More
  15. 근육 속 지방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BMI와 내장지방보다 더 중요한 건강 지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2 Votes0 file
    Read More
  16. 부모 이혼이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 연구 결과 분석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89 Votes0 file
    Read More
  17. 치매 환자의 뇌에서 미세플라스틱 5배 더 검출, 왜?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4 Votes0 file
    Read More
  18. 코로나19 감염 후 치매 위험 증가? 알츠하이머와의 연관성 연구

    Date2025.02.09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19. 커피는 언제 마셔야 할까? 아침 커피가 건강에 더 좋은 이유

    Date2025.02.03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5 Votes0 file
    Read More
  20. IL-6와 뇌 건강: 염증이 인지 능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20 Votes0 file
    Read More
  21. 염증과 대사 증후군, 뇌 건강을 위협한다

    Date2024.12.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7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