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Collagen peptides supplementation improves function, pain, and physical and mental outcomes in active adults (2023)

https://doi.org/10.1080/15502783.2023.2243252

 

해당 논문은 콜라겐 펩타이드(Collagen Peptides, CP) 보충이 신체적으로 활발한 중년 성인의 통증, 신체 기능, 그리고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것이다. 연구는 3, 6, 9개월 동안 CP를 섭취했을 때, 특히 일상생활에서의 활동 능력(ADLs)과 통증 감소, 그리고 정신적 웰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평가했다.

 

주요 내용 요약

  1. 통증 감소 및 일상 활동 능력 향상

    • CP를 섭취한 참가자들은 6개월 후 통증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특히 주당 180분 이상 고강도 운동을 하는 그룹에서 효과가 더 컸다.
    • CP 섭취는 일상생활의 활동 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 정신적 건강 개선

    • 10g의 CP를 섭취한 참가자들은 3~9개월 동안 정신적 건강 지수(Mental Component Score, MCS)에서 개선을 보였다. 특히 여성 참가자와 고빈도 운동 그룹에서 개선 효과가 두드러졌다.
  3. 신체적 건강 개선

    • 여성 참가자 중 20g의 CP를 섭취한 그룹은 9개월 후 신체적 건강 지수(Physical Component Score, PCS)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 실험 유형: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실험
    • 대상자: 86명의 신체적으로 활발한 중년 남녀 참가자
    • 기간: 3개월, 6개월, 9개월 동안의 단계별 평가
    • 보충제 섭취 그룹: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위약(0g), 10g, 20g의 콜라겐 펩타이드(CP) 섭취
  2. 평가 항목

    • 설문 조사: KOOS(Knee Injury and Osteoarthritis Outcome Score)와 VR-12(Veterans Rand 12)를 사용하여 통증, 기능, 정신 및 신체 건강 평가
    • 평가 항목 상세:
      • KOOS: 통증, 증상, 일상생활의 활동(ADLs),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기능, 무릎 관련 삶의 질(QOL)
      • VR-12: 정신적 건강(Mental Component Score, MCS) 및 신체적 건강(Physical Component Score, PCS)
    • 체력 활동 설문: 주간 운동 빈도와 강도 기록 (고강도와 저/중강도 운동으로 구분)
  3. 참가자 기준

    • 연령: 40~65세
    • 운동 습관: 지난 15년 동안 매주 4시간 이상의 계획된 신체 활동을 유지
    • 건강 상태: 지속적 또는 주기적인 관절 및 근골격 통증 경험자
    • 제외 조건: CP 보충제 복용 중인 자, 진통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자, 최근 호르몬 대체 요법을 시작한 자, 기타 특정 질환 보유자 등
  4. 통제 요인

    • 식이 관리: 모든 참가자들이 매달 3일간의 식사 기록 제출
    • 운동 및 식습관 제어: 모든 참가자는 방문 전 12시간 동안 음식과 칼로리 음료 섭취 금지, 24시간 동안 신체 활동 금지 지침을 따름

 

Collagen_Peptides_Effects_Combined.png

 

그래프 설명

  1.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 ADL 점수는 일상생활 활동 능력을 나타낸다.
    • 10g과 20g CP 보충 그룹은 3~6개월 동안 ADL 점수가 증가하여 일상생활 활동 능력이 향상된 반면, 위약 그룹은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2. Pain Score (통증 점수)

    • 통증 점수는 통증 수준을 나타낸다. 점수가 낮을수록 통증이 적음을 의미한다.
    • 10g과 20g CP 그룹에서 통증이 감소했으며, 특히 10g CP 그룹의 감소가 두드러진다. 반면 위약 그룹은 통증이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3. Mental Component Score (MCS)

    • MCS는 정신적 건강 상태를 나타낸다.
    • 10g CP 보충 그룹에서 MCS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정신적 건강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20g CP 그룹과 위약 그룹은 상대적으로 변동이 적었다.
  4. Physical Component Score (PCS)

    • PCS는 신체적 건강 상태를 나타냅니다.
    • 20g CP 보충 그룹은 특히 9개월 후에 신체적 건강 지수가 가장 많이 개선되었다. 10g CP 그룹도 향상을 보였지만 위약 그룹은 비교적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연구 결과

  1. 일상 활동 능력(ADLs) 향상

    • 6개월 평가: 10g CP 섭취 그룹에서 ADL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됨
    • 운동 빈도에 따른 차이: 주당 180분 이상의 고빈도 운동 그룹에서 특히 효과가 두드러짐
    • 9개월 평가: ADL 향상 효과가 다소 감소했으나, 여전히 보호 효과가 관찰됨
  2. 통증 완화

    • 10g CP 섭취 그룹: 6개월 후 통증이 유의미하게 감소
    • 고강도 운동자: 통증 완화 효과가 고강도 운동 그룹에서 주로 관찰됨
    • 통제군 변화: 위약 그룹에서는 운동 빈도 증가와 함께 통증이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3. 정신적 건강(MCS) 개선

    • 10g CP 섭취 그룹: 3~9개월 동안 정신적 건강 지수(MCS)가 유의미하게 증가
    • 성별에 따른 차이: 여성 그룹에서 개선 효과가 두드러짐
    • 운동 빈도: 고빈도 운동 그룹에서 정신적 건강 지수 개선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남
  4. 신체적 건강(PCS) 개선

    • 20g CP 섭취 여성 그룹: 9개월 후 신체적 건강 지수(PCS)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관찰됨
    • 성별 차이: 남성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으나 여성에서는 20g 섭취 시 개선 효과가 큼
  5.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

    • 고빈도 운동 그룹: 통증 감소와 함께 QOL이 향상되는 경향
    • 저빈도 운동 그룹: QOL 점수가 다소 감소했으나, 20g CP 섭취 시 감소 폭이 줄어드는 보호 효과가 나타남

 

연구 결론

이 연구는 CP 보충이 중년의 활동적인 사람들에게 통증 완화와 일상 활동 능력 향상, 정신적/신체적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일주일에 180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CP의 효과를 더 잘 경험할 수 있으며, 여성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용량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CP 보충이 통증 관리와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만성 통증으로 인해 신체 활동에 제한을 받는 사람들이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쿠팡에서 콜라겐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Y2HDr
아이허브 콜라겐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collagen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1. No Image notice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3814 Votes0
    read more
  2. NF-κB, TGF-β 억제를 통한 테아닌의 간 섬유화 방지 연구 결과

    Date2024.11.1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3 Votes0 file
    Read More
  3. BCAA, 운동 후 근육 손상 감소와 회복 촉진 효과 입증

    Date2024.11.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44 Votes0 file
    Read More
  4. 8주간의 밀크씨슬 보충제 효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및 간 건강 증진 연구

    Date2024.11.1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3 Votes0 file
    Read More
  5. 간 건강과 산화 스트레스 관리: 밀크씨슬 보충제의 항산화 효과 분석

    Date2024.11.1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8 Votes0 file
    Read More
  6. 콜라겐 펩타이드 보충의 효과: 통증 감소와 삶의 질 향상 연구

    Date2024.11.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92 Votes0 file
    Read More
  7. 대기오염 노출이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르기닌의 보호 효과 분석

    Date2024.11.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8. 대사증후군 환자를 위한 글리신 보충제: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혈압 개선 연구

    Date2024.10.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2 Votes0 file
    Read More
  9. 글리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염증 완화 및 면역 반응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3 Votes0 file
    Read More
  10. 칼로리 제한과 글리신: 비만 쥐 모델에서 지방 감소와 근육 손실 예방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1 Votes0 file
    Read More
  11. 글리신 보충, 수명 연장 및 질병 예방 가능성 연구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1 Votes0 file
    Read More
  12. 글리신, 수면 부족 시 피로와 주간 집중력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0 Votes0 file
    Read More
  13. 알츠하이머와 비오틴의 상관관계: 타우 단백질 독성 완화 가능성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3 Votes0 file
    Read More
  14. 다발성 경화증에 비오틴의 새로운 가능성: 장애 개선 및 악화 억제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1 Votes0 file
    Read More
  15. 비오틴의 역할과 치료 가능성: 임신, 유전자 발현, 다발성 경화증, 그리고 임상 검사 간섭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3 Votes0 file
    Read More
  16. 오메가-3 보충제가 아동의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성별과 정신병적 성향에 따른 차이

    Date2024.10.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3 Votes0 file
    Read More
  17. 오메가-3 섭취가 영아 학대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일본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

    Date2024.10.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8. 개의 공격성과 오메가-3 지방산의 연관성: DHA 결핍이 미치는 영향

    Date2024.10.2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0 Votes0 file
    Read More
  19. 오메가-3와 공격성의 연관성: 교도소 수감자 연구로 본 주의력 결핍과 적대감

    Date2024.10.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8 Votes0 file
    Read More
  20. 마그네슘 보충제가 우울증과 불안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

    Date2024.10.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2 Votes0 file
    Read More
  21. 비타민 D와 오메가-3 지방산, 자가면역질환 위험 감소 효과 확인 - VITAL 임상시험 요약

    Date2024.10.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8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