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ppleFact.com

일반 영양제 정보

조회 수 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is reduced in resistance-trained males by branched chain amino acid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2022)

https://doi.org/10.1186/1550-2783-9-20

 

운동 유발 근육 손상(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EIMD)은 강도 높은 운동 후 나타나는 근육 기능 저하, 통증, 부종 등을 동반한다. 특히 길이 변화 운동(예: 드롭 점프)에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운동 후 회복 기간 동안 근육의 추가적인 손상과 염증 반응이 이어질 수 있다. 해당 논문은 저항성 운동을 수행한 남성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BCAA 보충제가 근육 손상을 줄이고 회복을 촉진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연구 결과 BCAA는 크레아틴 키나아제(CK) 수치를 낮추고, 근육통과 근육 기능 회복을 개선하며, 전반적인 운동 후 회복 속도를 가속화했다.

 

주요 내용 요약

1. 근육 손상 감소

  • CK 상승 억제: BCAA 그룹은 CK 수치 상승이 위약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음

    • CK 최고치는 운동 후 24시간에 기록되었으며, BCAA 군은 약 312 IU/L, 위약군은 약 398 IU/L로 3~4배의 상승 폭을 보임
    • 이는 BCAA가 근육 세포막 손상을 줄이고 염증 반응을 억제했음을 시사
  • 근육통 감소: 운동 후 24시간과 48시간 동안 BCAA 그룹의 근육통 지수가 위약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음

    • BCAA는 48시간 후에도 통증 완화 효과를 유지, 위약군 대비 빠른 회복 속도 확인

2. 근육 기능 회복

  • MVC 회복 가속화: BCAA 군은 운동 후 72시간 이내에 MVC가 약 90% 이상 회복된 반면, 위약군은 80% 수준에 머무름

    • 근육 손상 지연 없이 빠르게 힘을 회복하도록 도움을 줌
  • 수직 점프 성능(VJ): 점프 높이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BCAA 군에서 전반적으로 더 빠른 회복 경향

3. 효과적인 보충 방식

  • BCAA 보충은 운동 전후 즉시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하루 20g의 충분한 섭취량이 요구됨
  • 장기간 섭취(운동 7일 전부터 준비)가 손상 완화와 회복 촉진에 중요한 역할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 대상자 수: 12명
    • 평균 나이: 23세
    • 평균 신장: 178.3cm
    • 평균 체중: 79.6kg
  • 운동 경력: 저항 훈련(주 2회 이상)과 스포츠 활동(럭비, 축구 등)에 정기적으로 참여
  • 선별 기준
    • 연구 시작 전 건강 검진 통과
    • 근육 손상 및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 추가 보충제 복용 금지

2. 연구 설계

  • 연구 설계 방식
    • 무작위 이중맹검
    • 두 그룹(BCAA 보충 그룹 vs 위약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 실험
  • 보충 프로토콜
    • BCAA 그룹: 류신:이소류신:발린 = 2:1:1 비율의 보충제 섭취
      • 섭취량: 하루 20g(아침/저녁으로 나눠 섭취)
      • 운동 전후 추가 20g 섭취(운동 전 1시간 및 직후)
      • 총 280g 섭취(7일 로딩 기간 포함)
    • 위약 그룹: 무열량 인공 감미료 기반 보충제 섭취

3. 운동 프로토콜

  • 운동 유형: 드롭 점프 100회(고강도 근육 손상 유발)
    • 1세트당 20회 수행, 5세트 진행
    • 점프 높이: 0.6m 플랫폼에서 시작
    • 각 점프 후 최대 높이로 수직 점프 시도
    • 점프 간 10초 휴식, 세트 간 2분 휴식 제공
  • 프로토콜 목적: 고강도 길이 늘림 수축으로 근육 손상 유발

4. 측정 항목

  • 근육 손상 지표
    1. 크레아틴 키나아제(CK): 근육 손상으로 인해 혈액으로 유출되는 효소 수준 측정
    2. 근육통(DOMS):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200mm 기준)로 통증 정도 평가
  • 근육 기능 지표
    1. 최대 자발적 수축력(MVC): 운동 전후 근육 힘 감소 비율
    2. 수직 점프 성능(VJ): 운동 후 점프 높이 변화
    3. 팔다리 둘레: 허벅지와 종아리 둘레 측정을 통해 부종 정도 평가
  • 측정 시간: 운동 전, 운동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Creatine Kinase (CK) Levels Over Time

  • CK는 근육 손상의 지표로, 운동 후 근육 세포 손상으로 인해 혈액 내로 방출된다.
    • BCAA 그룹에서 운동 후 CK 수준이 위약 그룹보다 낮으며, 회복 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 BCAA는 근육 손상을 줄이고 회복을 가속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2.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Levels Over Time

  • DOMS는 운동 후 근육통을 나타내며, 손상된 근육의 염증 반응과 관련된다.
    • BCAA 그룹에서 운동 후 24시간, 48시간 동안 DOMS 수준이 위약 그룹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 BCAA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근육통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3.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MVC) Recovery Over Time

  • VC는 운동 후 근육 기능 회복 정도를 나타낸다.
    • BCAA 그룹에서 운동 후 72시간 내에 약 90% 이상의 근육 기능을 회복했으나 위약 그룹에서는 동일 시간 동안 약 80% 수준에서 회복이 멈췄다.
    • BCAA는 근육의 기능적 회복을 촉진하며, 운동 후 성과 유지를 돕는다.

 

연구 결과

1. 근육 손상 감소

  • CK 수치
    • 24시간 시점: BCAA 군의 CK 상승폭이 위약군보다 유의미하게 낮음
      • BCAA 군: 312 IU/L
      • 위약군: 398 IU/L
    • 근육 세포막 손상을 억제하여 CK 유출을 감소시킴
  • 근육통(DOMS)
    • 운동 후 24시간과 48시간 동안 BCAA 그룹의 통증 수준이 위약군보다 낮음
    • 최대 통증 감소 시간: 48시간

2. 근육 기능 회복

  • 최대 자발적 수축력(MVC)

    • 72시간 회복률
      • BCAA 군: MVC의 약 90% 이상 회복
      • 위약군: 약 80% 수준
    • 의미: 근육 손상으로 인한 기능 저하를 더 빠르게 회복
  • 수직 점프 성능(VJ)

    • 두 그룹 간 큰 차이는 없으나, BCAA 군에서 전반적으로 회복 속도가 더 빠름
  • 팔다리 둘레

    • 허벅지와 종아리 둘레 변화에서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음

3. BCAA 보충의 추가 효과

  • 운동 전후 섭취
    • 운동 직전과 직후 BCAA 섭취가 근육 손상 억제와 회복 촉진에 효과적
  • 로딩 효과
    • 운동 7일 전부터 보충을 시작한 것이 근육 염증 반응을 줄이고 회복을 가속화

 

연구 결론

BCAA는 단순한 운동 보충제를 넘어, 근육 보호와 빠른 회복에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고강도 운동을 정기적으로 수행하거나, 근육통 완화와 회복 속도가 중요한 개인에게 유용한 보충제이다.

 

쿠팡에서 BCAA 영양제 찾기 - https://link.coupang.com/a/b0uMRy
아이허브 BCAA 영양제 링크 - https://www.iherb.com/c/bcaa

해당 링크로 쿠팡 및 아이허브 제품을 구매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1. No Image notice

    일반 영양제의 효능과 관련된 원저 논문을 정리하여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2024.12.01 By서플팩트 Reply0 Views3814 Votes0
    read more
  2. NF-κB, TGF-β 억제를 통한 테아닌의 간 섬유화 방지 연구 결과

    Date2024.11.1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3 Votes0 file
    Read More
  3. BCAA, 운동 후 근육 손상 감소와 회복 촉진 효과 입증

    Date2024.11.17 By서플팩트 Reply0 Views44 Votes0 file
    Read More
  4. 8주간의 밀크씨슬 보충제 효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및 간 건강 증진 연구

    Date2024.11.1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3 Votes0 file
    Read More
  5. 간 건강과 산화 스트레스 관리: 밀크씨슬 보충제의 항산화 효과 분석

    Date2024.11.1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98 Votes0 file
    Read More
  6. 콜라겐 펩타이드 보충의 효과: 통증 감소와 삶의 질 향상 연구

    Date2024.11.05 By서플팩트 Reply0 Views92 Votes0 file
    Read More
  7. 대기오염 노출이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르기닌의 보호 효과 분석

    Date2024.11.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97 Votes0 file
    Read More
  8. 대사증후군 환자를 위한 글리신 보충제: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혈압 개선 연구

    Date2024.10.2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2 Votes0 file
    Read More
  9. 글리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염증 완화 및 면역 반응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23 Votes0 file
    Read More
  10. 칼로리 제한과 글리신: 비만 쥐 모델에서 지방 감소와 근육 손실 예방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51 Votes0 file
    Read More
  11. 글리신 보충, 수명 연장 및 질병 예방 가능성 연구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201 Votes0 file
    Read More
  12. 글리신, 수면 부족 시 피로와 주간 집중력 개선 효과 확인

    Date2024.10.28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0 Votes0 file
    Read More
  13. 알츠하이머와 비오틴의 상관관계: 타우 단백질 독성 완화 가능성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3 Votes0 file
    Read More
  14. 다발성 경화증에 비오틴의 새로운 가능성: 장애 개선 및 악화 억제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1 Votes0 file
    Read More
  15. 비오틴의 역할과 치료 가능성: 임신, 유전자 발현, 다발성 경화증, 그리고 임상 검사 간섭

    Date2024.10.27 By서플팩트 Reply0 Views173 Votes0 file
    Read More
  16. 오메가-3 보충제가 아동의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성별과 정신병적 성향에 따른 차이

    Date2024.10.2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3 Votes0 file
    Read More
  17. 오메가-3 섭취가 영아 학대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일본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

    Date2024.10.21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2 Votes0 file
    Read More
  18. 개의 공격성과 오메가-3 지방산의 연관성: DHA 결핍이 미치는 영향

    Date2024.10.20 By서플팩트 Reply0 Views110 Votes0 file
    Read More
  19. 오메가-3와 공격성의 연관성: 교도소 수감자 연구로 본 주의력 결핍과 적대감

    Date2024.10.19 By서플팩트 Reply0 Views138 Votes0 file
    Read More
  20. 마그네슘 보충제가 우울증과 불안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

    Date2024.10.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42 Votes0 file
    Read More
  21. 비타민 D와 오메가-3 지방산, 자가면역질환 위험 감소 효과 확인 - VITAL 임상시험 요약

    Date2024.10.02 By서플팩트 Reply0 Views108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